DOI QR코드

DOI QR Code

Vegetation of Liana Dominating in the Vicinity of Onsan Industrial Complex

공단지역에 우점하고 있는 덩굴식물류의 식생변화

  • Park, Eun-Hee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 ;
  • Kim, Jong-Kab (Division of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 ;
  • Lee, Jeong-Hwan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 ;
  • Cho, Hyun-Se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Jinju National Univ.) ;
  • Min, Jae-Ki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and Environment, Sangju National Univ.)
  • 박은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김종갑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
  • 이정환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조현서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민재기 (상주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n liana dominating at the vicinity of Onsan Industrial Complex declining P. thunbergii foersts. It was surveyed 16 species, 30 species and 50 species at upper, middle and understory, respectively. It was dominant P. thunbergii at upperstory, and P. densiflora, P. thunbergii, Quercus dentata and Q. serrata at middlestory, and Smilax china, Paederia scandens, Symplocos chinensis var. sinuata, Styrax japonica, Lonicera japonica and Q. serrata etc. at understory. It was the highest importance value(13.2) of S. china among all liana, and in order of L. japonica (11.7), P. scandens (11.5) and Cocculus trilobus (7.7). Number of species, Species diversity, Maximum species diversity, Evenness and Dominance of woody plants at upperstory and middlestory by each survey site were higher in forest areas than industrial complex, but those of understory highly showed at industrial complex, and ratio of liana at understory was high. It showed total 50 species at herbaceous plants, and was high I.V. of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Spodiopogon cotulifer, Commerelina commuris, Phytolacca americana, Rubus parvifolius, Miscanthussinensis var. purpurascens and Calamagrostis arundinacea, etc.

우리나라 공업단지 중 화학비료를 생산하고 있는 온산공단주변의 해송림이 쇠퇴된 이후 그곳에 덩굴식물류의 우점현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하층식생에 덩굴식물류의 중요치는 청미래덩굴(Smilax china)이 13.2로 가장 높았으며, 인동(Lonicera japonica)이 11.7, 계요등(Paederia scandens) 11.5, 댕댕이덩굴(Cocclus trilobus)이 7.7의 순으로 높아 대기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훼손지역의 1차 식생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각 조사지별 목본류의 종수와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를 층위별로 나타낸 결과상층, 중층 식생에서는 종수,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가 산림지역이 공단지 역보다 높게 나타나 공단 주변 식생의 단순함을 보였으며, 하층 식생에서는 공단지역이 산림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덩굴식물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높은 것이 원인인 것 같다. 초본류 조사에서는 총 59종이 출현하였으며, 고사리, 기름새, 닭의장풀, 미국자리공, 멍석딸기, 억새, 실새풀 등에서 중요치가 높아 대기오염지역의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종수,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에서는 지역간의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공단지역이 산림지역보다는 덩굴식물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접한 경기화학의 영향으로 상층식생의 쇠퇴에 따른 광조건에 의하여 열대성 식물인 덩굴식물이 우점종으로 나타나 생태계의 교란으로 인한 사막화 현상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지구. 1986. 공업 도시화에 따른 울산.온산지구의 환경과 식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1 p
  2. 김재봉 외 10인. 1988. 오염지역 생태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1)-여천 공단 주변지역의 식생을 중심으로-. 국립환경연구원보 10: 89-110
  3. 김점수. 1994. 사상공단주변의 대기오염이 산림식생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4 p
  4. 김종갑, 김재생. 1989. 대기오염지역의 산림식생구조와 엽내오염물질 함량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8(4): 360-371
  5. 김종갑. 1992. 온산공단 주변의 해송림의 초본식생에 관한 조사. 한국생태학회지 15(53): 247-255
  6. 김준선. 1992. 대기오염물질이 여천공단주변 해송의 양료동태와 군락구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01
  7. 김태욱, 김수인. 1982. 사대공단 주변의 식생에 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57: 8-13
  8. 김태욱, 박인협, 이경재. 환경오염에 의한 울산지역의 산림생태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58: 60-69
  9. 심경구, 안영희, 류미선. 1985. 덩굴성 식물의 광합성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26(1): 44-50
  10. 박용진. 1997. 입면녹화용 덩굴식물의 분포 특성. 환경생태학회지. 11(3): 270-276
  11. 우보명. 1978. 환경녹화용 만경식물의 이용성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 서울대학교 농학연구. 3(1): 63-79
  12. 이경준, 한상섭, 김기홍, 김은식. 1996. 산림생태학. 향문사. 395 p
  13. 한상욱 외 9인. 1989. 대기오염에 의한 식물군집의 피해평가 및 유지방안에 관한 연구(I). -온산공단 주변지역의 식생을 중심으로-. 국립환경연구원보 11: 185-206
  14. Braun-Blanquet, J. 1932.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Translated by G.D. Fuller and H.S. Conard, 1965). Mcgraw-Hill Book Compnay Inc., London. 377 p
  15. Brown,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ubl. Iowa. 1-184
  16. Curtis, J.T. and R.P. Mcl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m in the pairie forest bolder region Wisconsin. Ecology 9: 161-166
  17. Czuba, M. and D.P. Ormrod. 1981. Cadmium concentrations in cress shoots in relation to cadmium enhanced ozone phyto-toxicity. Environmental Pollution 25: 67-76 https://doi.org/10.1016/0143-1471(81)90115-X
  18. Margalef, R. 1972. Homage to Evelyn Hutchinson, or why is there an upper limit to diversity. Trans. Connect. Acad. Arts Science. 44: 211-35
  19. Putz, F.E. 1983. Lianas Biomass and Leaf Area of a 'Tierra Firme' Forest in the Rio Negro Basin, Venezuela. Biotropica.15(3): 185-189 https://doi.org/10.2307/2387827
  20. Putz, F.E. 1984. How Trees Avoid and Shed Lianas. Biotropica. 16(1): 19-23 https://doi.org/10.2307/2387889
  21. Richard, P.W. 1952. The tropical rain forest, Cambridge Univ. Press. 450 p
  22. Smith, W.H. 1981. Air Pollution and Forests - Interaction between Air Contaminants and Forest Ecosystems-Springer-Verlag, New York. 379 p
  23. Whitemore, E. 1975. Ecology of plants. Oxford. 422 p
  24. Whittaker, R.H. 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250-25 https://doi.org/10.1126/science.147.3655.250

Cited by

  1. Comparison of Vegetation Structure between Natural Forest(Pinus densiflora Forest and Quercus mongolica Forest) and Larix kaempferi Forest in Mt. Janggunbong vol.52, pp.4, 2018, https://doi.org/10.14397/jals.2018.52.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