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standing toward nature of scienc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9초

Biological Inspiration toward Artificial Photostystem

  • Park, Jimin;Lee, Jung-Ho;Park, Yong-Sun;Jin, Kyoungsuk;Nam, Ki Tae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91-91
    • /
    • 2013
  • Imagine a world where we could biomanufacture hybrid nanomaterials having atomic-scale resolution over functionality and architecture. Toward this vision, a fundamental challenge in materials science is how to design and synthesize protein-like material that can be fully self-assembled and exhibit information-specific process. In an ongoing effort to extend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protein structure to non-natural systems, we have designed a class of short peptides to fold like proteins and assemble into defined nanostructures. In this talk, I will talk about new strategies to drive the self-assembled structures designing sequence of peptide. I will also discuss about the specific interaction between proteins and inorganics that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hybrid solar energy devices. Splitting water into hydrogen and oxygen is one of the promising pathways for solar to energy convertsion and storage system. The oxygen evolution reaction (OER) has been regarded as a major bottleneck in the overall water splitting process due to the slow transfer rate of four electrons and the high activation energy barrier for O-O bond formation. In nature, there is a water oxidation complex (WOC) in photosystem II (PSII) comprised of the earthabundant elements Mn and Ca. The WOC in photosystem II, in the form of a cubical CaMn4O5 cluster, efficiently catalyzes water oxidation under neutral conditions with extremely low overpotential (~160 mV) and a high TOF number. The cluster is stabilized by a surrounding redox-active peptide ligand, and undergo successive changes in oxidation state by PCET (proton-coupled electron transfer) reaction with the peptide ligand. It is fundamental challenge to achieve a level of structural complexity and functionality that rivals that seen in the cubane Mn4CaO5 cluster and surrounding peptide in nature. In this presentation, I will present a new strategy to mimic the natural photosystem. The approach is based on the atomically defined assembly based on the short redox-active peptide sequences. Additionally, I will show a newly identified manganese based compound that is very close to manganese clusters in photosystem II.

  • PDF

Morjorie M. Brown의 가정과 교과과정 모형에 근거한 ‘인간발달과 가족관계’ 영역의 학습지도안 개발 (Lesson Plan Development Based on Marjorie M. Brown’s Home Economics Curriculum Paradiam in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 장혜경;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9-131
    • /
    • 1994
  • This study developed and proposed a lesson plan for the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in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current educational practice in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employed goal and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are neither stated specifically nor closely interrelated. This problem has led us not being able to achieve pursuing go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o employ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In view of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lesson plan reflecting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inefficiency in the current practice of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lesson plan was based on the Marjorie M. Brown’s philosophy of home economics which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goal of home economics is to help individuals and families to become autonomous in their own family life and to be mor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others in behalf of well-being of the family and of social evolution toward a free society. 2. The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is conceptualized as practical science and personal service profession. 3. the nature of problems which home economics should deal with is perennial and practial. 4. Practial reasoning composed of historical understanding, critical action, and reflective thinking is appropriate for the previously mentioned goal and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and for dealing with perennial practial problems. The lesson plan was proposed for one of perennial problem, “How should we understand, create, and maintain our family culture\ulcorner”by employing practial reasoning and teaching models such as “role play”and “classroom meeting.”

  • PDF

가정과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가정과의 성격, 내용구조, 가정과교육을 통하여 갖추어야 할 소양에 대한 기초 연구(I): 델파이 조사연구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on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Structure of Home Economics, Literacy through Home Economics Education(I): A Delphi Study)

  • 유태명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49-171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a basic fundamental research to propos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Home Economics curriculum. This research employed the Delphi Method to reach a consensus with the experts in each related educational field of study for putting forth a newly proposed theoretical framework of a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finally proposed theoretical framework will definitely play a crucial role in establishing a standard framework for educational goals and curriculum content for Home Economics curriculum since it is put forth with a strong agreement from a high proportion of the expert groups. Results on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framework of curriculum contents, and literacy through Home Economics were drawn from the 3-round Delphi survey: 1. Home economics has a liberal and practical-critical nature and it promotes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through a practical problem-solving process in maintaining family life. 2. The structural framework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tents is organized with three-dimensional components of content area (dimension 1), process area (dimension 2), focus of organizing content (dimension 3). 3. One's empowering capability through home economics education is proposed: inquiring knowledge and understanding phenomena for future society, solving practical problems in family life, developing higher order thinking skill, cultivating a positive attitude and a values system toward life.

새로운 자원관리 및 환경 패러다임에 대한 산림정책 이해관계자 집단의 태도 (Attitudes of Korean Forest Policy Interest Groups toward the New Environment and Resource Management Paradigms)

  • 김용하;김세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4호
    • /
    • pp.374-384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 산림청의 다양한 이해관계자 집단이 서구사회에서 제기되고 있는 새로운 자원관리 패러다임 및 환경 패러다임에 대해 어떤 태도를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2차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1차 조사는 1995년도 9월부터 11월까지 산주단체, 임산업단체, 한국산악회, 자연공원협회, 임정연구회 등 5개 집단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2차 조사는 2006년도 12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임업후계자협회 강원지회, 강릉 생명의숲, 백두대간보전회 등 3개 집단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해관계자 집단에 따라 산림의 다목적 이용,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과 산림자원관리 패러다임 등에 대한 태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산주단체, 임산업단체, 임업후계자협회 등과 같이 목재생산 중심의 임업을 중시하는 집단은 자연공원협회, 생명의숲, 한국산악회, 백두대간보전회 등과 같은 환경보전 지향적인 집단에 비해 산림의 다목적 이용을 더 선호하는 반면 새로운 자원관리 패러다임과 환경 패러다임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을 지지하는 선구집단은 환경보전단체라는 기존의 연구 결과들과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산림정책 방향 설정과 산림자원의 이용과 관리방식 결정 등과 관련된 한국의 산림정책 이해관계자 집단의 태도를 이해하는데 좋은 정보를 제공해 주며, 앞으로 산림자원관리와 관련된 정책결정에 있어서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마르틴 부버의 사상(나와 너)과 간호철학 (The Philosophy of Martin Buber(I and Thou) and Nursing Philosophy)

  • 이명숙;한성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5-107
    • /
    • 1997
  • 간호학의 독자적인 지식체계의 구축을 위해서는 먼저 간호 연구가들의 간호철학 정립이 필요하다. 그러한 간호철학 정립을 워해 우선 간호학의 본질과 영역 그리고 간호학의 학문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소외의 개념과 소외가 발생되는 상황 및 마르틴 부버의 사상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들의 이해는 간호사들이 상호작용과 관계에 대한 문제점을 깨닫게 하여 관계와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게 된다. 소외는 현대 사회의 중요한 문제로 문화적 소외, 정치적 소외, 경제적 소외 기술과 기계에 의한 소외, 종교적 소외 등이 있다. 소외극복을 위한 간호의 한 방안으로 마르틴 부버의 관계사상에 기초를 둔 참된 만남의 상호관계 및 돌봄이 필요하다. 마르틴 부버 사상의 본질은 "너와 나" 관계이며 너와 나 관계는 5가지 특성이 있다. 1) 상호성 2) 직접성 3) 현재성 4) 강렬성 5) 표현불가능성 의료기술이 발전되고 복잡해짐에 따라 환자상태를 사정하는데 가계에 의존하며, 기계의 성능과 기계의 관리에 촛점이 맞추어지면서 환자와의 의미있는 의사소통은 점점 더 적어지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의료진과 환자와의 "너와 나" 관계가 중요한데, 이 관계에는 의료진이 환자에게 성실하게 관심을 가지고 존경심과 온화함으로 대해야함이 포함되어야 한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가 "나와 너" 관계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간호교육의 간호철학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PDF

한식에 대한 인식이 한식에 대한 이미지, 태도, 세계화와의 영향 관계 - 영어권.일본.중화권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Understanding Korean Food on Image, Attitude, and Globalization Regarding Korean Food)

  • 권용주;신봉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6-154
    • /
    • 2010
  • 본 연구에서 한식에 대한 인식, 이미지, 태도, 세계화에 대한 구성요인들과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들 요인간의 영향 관계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1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 $\alpha$값을 분석하고,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 및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식에 대한 인식은 한식의 이미지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식에 대한 이미지는 한식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식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는 한식의 세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문 및 한식 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식에 대한 인식, 이미지, 태도, 세계화에 적합한 한식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켜 한식의 이미지 제고 및 한식의 세계화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한식을 통해 한국 제품과 문화를 세계화할 수 있는 세부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문화된 한식에 대한 음식 관광을 유도하여 한식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경제적 이익과 더불어 한국 국민의 삶에 대한 희망과 자긍심을 부여할 수 있다. 넷째, 로하스와 웰빙 음식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난 한식과 우리 문화관광지를 연계하여 음식 관광 자원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자연 친화적이고 건강적인 한국 고유 음식 문화의 발굴로 우리나라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가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 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한식의 세계화 및 상품화에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자들의 참여를 촉진하여 보다 활발한 연구에 기폭제가 될 것이다.

  • PDF

도시권 지하철.전철의 운행평가 분석 (The assessment analysis of rail transit oper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임강원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1-125
    • /
    • 197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ne-year performance of the Seoul Metropolitan Rail Transit(SMRT) operation. It intends to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for railway oper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reby for making rational transport policy. The paper is conceptually comprised of four sections; analysis of passenger travel characteristics; SMRT costing and traffic cost function: its operating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inance and utilization; primary social benefits of SMRT and suggestions. In the first year of operation (1974), the average daily traffic was about 335,000, After the drastic increases of fare in both Subway and KNR rail-lines, the travel volume has been cut by almost 10 percent, though most pronounced on intra-Subway lin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assengers indicates that travelers use the SMRT line mainly for uninterrupted direct travel toward the CBD. In the prospective costing, the opereting expense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ose which vary directly with volume; those partially variable with volume; and those entirely unrelated to volume change, With this information, cost function was derived for varying schedules of operation. Primary social benefits of the SMRT are assessed, though preliminary. Account should be taken of the nature of common costs of the SMRT in fare-rate making, especially when much of the operating expenses are accounted for by the fixed costs such that the revenue may not readily turn into break-even. The accounting results of the one-year operation coincide reasonably well with the prospective costing estimate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annd another travelers' behavior studies, managerial effort would bring more revenue gain to the SMRT than fare increase does, not to speak of greater social benefits by so doing.

  • PDF

생물 교수 맥락 내에서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의 본성 교수내용학적 지식의 구축 (Construction o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NO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ithin Biology Teaching Context)

  • 김선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47-158
    • /
    • 2016
  • 본 논문은 예비 생물교사들을 대상으로 약 9개월에 걸친 연구기간 동안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의 본성과 과학의 본성 교수에 대한 태도의 변화, 과학의 본성 교수 계획 및 실행 과정, 과학의 본성 교수에 대한 신념 및 과학의 본성 교수 전략 등의 과학의 본성 교수내용학적 지식의 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예비 생물교사들은 3학년 1학기 <교과교육론>과목을 통해 과학이란 어떤 학문인지, 과학 지식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과학의 본성에 대해 명시적으로 토론하고 반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뿐만 아니라 과학사의 에피소드를 통해 과학의 본성 요소를 찾아보는 과정을 거쳤으며,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과학의 본성 학습목표를 도입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성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과학 지식의 가변성, 과학 지식의 발달에 있어서 창의적 측면, 사회적 협의의 역할, 과학의 이론의존적 탐구, 과학 지식의 발달에 있어서 사회 문화적 영향 등을 과학의 본성 교수학습 목표로 도입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성하고 수업에 이를 반영하였다. 또한 3학년 2학기 <교재연구 및 지도법>과목을 통해 과학의 본성 요소를 도입한 모의수업의 경험을 가졌다. 연구결과, <교과교육론> 과목에서 예비교사들은 과학의 본성과 과학의 본성 교수에 대한 관점에 향상을 나타냈으며, <교재연구 및 지도법>과목 후에는 두 요소에 대한 이해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모의 수업 후 적은 반성적 일지에서 과학의 본성 요소를 중등학교 생물수업에 도입할 때 어려웠던 점, 과학의 본성 교수의 필요성, 그리고 어떤 교수법이 효과적인지 제안하는 모습을 보여 예비교사 스스로 과학의 본성 교수내용학적 지식을 구축해나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우리 과학 문화 해설사 되어보기 활동을 통한 전통 과학 지식의 교육적 활용 방안 탐색 (Exploring the Use of Traditional Science Knowledge by 'Being a Commentator on Korean Traditional Science Culture' Activities)

  • 이지혜;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3-214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 전통 과학의 고유한 의미를 유지하며 TSK를 과학 교육에 접목할 수 있는 방향 모색의 방법으로 '우리 과학 문화 해설사'라는 과학 활동을 통해 중학교 학생들이 이해한 TSK의 소재는 무엇인지, TSK의 이해에 영향을 준 학습 맥락은 무엇인지, 학생들이 구성한 TSK 가치관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7명의 중학교 1학년 남 여 학생들은 7개월 동안 창덕궁의 전통 과학 소재를 발굴하고 전통 과학 문화 해설 대본을 만들어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해설을 실시했다. 분석 대상으로 학생들의 수업 과정, 해설 대본, 활동지, 조사지, 활동 후 개별 면담 등이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TSK의 소재를 전통 자연관, 전통 과학 기술, 과학을 이용한 삶, 자연 과학 소재 등의 네 가지 유형으로 이해했다. 학생들의 전통 과학 학습 경험에서의 주요 학습 맥락은 소통으로 현장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소통, 활동 과정에서 동료 혹은 어른들과의 의사소통, 해설사 역할로써 동생들과의 소통 등은 학생들의 TSK에 대한 경험적 이해와 맥락적이고 감각적인 과학 지식 형성, 과학의 다양한 형태와 표현에 대한 이해 그리고 과학의 설득적, 이해적, 전달적 설명 방법에 대한 경험 등에 도움을 주었다. 학생들은 TSK의 과학성, 인간적이고 소박한 특징, 과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 문화로서 TSK를 지키고 유지할 필요성 등의 가치관을 형성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TSK가 과학 교육에서 통합적이고 실제 맥락적인 교육 현장을 제공하고 과학과 과학 방법에 대한 문화적 다양성과 동양 과학적 사고의 특성 이해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전통 문화에 대한 TSK와 학교 과학의 동시적 접근은 우리 전통 문화를 바라보는 올바른 시각 형성과 주체적 태도에 기여할 수 있다.

죽음의 태도에 관한 조사연구 -임종환자의 간호를 위하여- (A Study On The Attitudes Toward Death -For Nursing Care of The Terminally Ill-)

  • 유계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62-178
    • /
    • 1974
  • The present study is purported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to be utilized by nurses to care and attend effectively for patients nearing the moment of death. Therefore, the primary purpose of the study has been placed upon grasping an understanding of the trends of death in general. For this purpose: 1. By utilizing the schneidman questionnaire, the trend of death has been categorized by 6 parts and analyzed. 2. A search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dying patient's needs, nurse's attitudes viewed by the patient, and nurse attitudes to dying patient. The followings are itemized results of analysis: 1. Analysis by the schneidman questionnaire. (1) In general concepts of death. the first sighting of the occurrence of death was experienced upon strangers, grandfather and great grandfather. The death is openly discussed among people of all ages and sex. Ages in which the death is mostly feared were from 12 to well over 70 yews old that are evenly distributed regardless of difference in age. (2) As to the attitudes toward death the occurrence of death to most closely associated person influenced most upon the attitude of their own termination of lives. Among the reading materials, the maximum influence was effected by the Bible. In terms of religion, the thoughts of death were Influenced by religions education in case of the believers of the western religions (36%), and by their own health and physical conditions in case of the believers in the oriental religions (35%). In case of non-believer, their attitude toward death were largely determined through their own thinking meditation (45%). People aged 20 or thereunder revealed that they wished to know the day of their own death to be occurred (58%). However, the older the less thor wanted to know. (3) As to the choosing the time of death, 57% preferred senility, and 30% preferred the time in mediately following the prime period of their lives in general. In terms of religion, 85% of the believer in the oriental religion preferred senility, and 67% in the western religion, 58% in others, Therefore. the desiring of their lives to be terminated in earlier stage, not by the natural senility. sequenced as follows : Others, western religions and oriental religions. (4) Referring to the disposal of the corpse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had already occurred, majority desired the burial system. There has been seen a slight tendency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holding funeral services for the sake of survivors. Concerning the life insurance policy, it showed that the nurse had less belief in it than the patient (5) Upon the subject of life-after-death. religion wise, 72% of western religion believers preferred to have an existence of life-after-death: Among the believers of oriental regions, 35% desired this category, 30% did not mind either way. and 35% did not desire the existence of such a life-after-death. In others, 53% did not mind whether or not such a life existed. (6) In general, serious thoughts were not being attended to the commitment of suicide. 37% emphasized that such an act should be prevented. However, 30% insisted that such commitment should not be bothered, and that society possesses no right to prevented it. More male wished to commit suicide (13%) than females (9%). 2. Nurse's attitudes toward terminal patients and patient's needs. In the instance where the patient realized that their death is imminent, most of them showed desire to discuses mainly on the problems of life. When faced a situation of this nature, it is revealed that 40% of nurses could not furnish appropriate care for th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