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standing

검색결과 26,197건 처리시간 0.048초

현대 과학문화의 간학문적 이해에 대한 연구 - '과학기술과 사회' 교양강좌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of Modern Science Culture - Focusing on Case Study of 'STS Course')

  • 김동광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33-66
    • /
    • 2004
  • 오늘날 과학은 더 이상 과학지식으로 환원될 수 없을 만큼 복잡하고 포괄적인 과학활동으로 증대되었고, 이 활동에 관여하는 행위자들 역시 과학기술자의 좁은 범위를 넘어 연구지원체계, 언론, 교육, 기업 등 넓은 범위로 확산되었다. 따라서 과학이라고 총칭되는 이 활동은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문화인 셈이다. 오늘날 우리에게 요구되는 소통은 문화로서의 과학에 대한 이해이다. 그리고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은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만들어지는 과학"이다. 흔히 STS라 불리는 과학기술학은 이처럼 포괄적이고 끊임없이 변모하는 과학을 이해하기 위한 간학문적 접근방식이다. STS라고 총칭되는 학문 영역이 탄생하게 된 배경자체가 날로 사회에 대한 규정력이 높아가는 과학에 대한 이해의 시급한 필요성 때문이었다. 따라서 간학문적 접근방식인 STS의 연구성과를 과학교육을 비롯한 과학커뮤니케이션에 적용시키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지난 2002년에서 2004년까지 고려대학교의 자유교양 과목으로 개설되었던 "과학기술과 사회" 강좌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학문적 배경과 관심사가 다양한 학부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새롭고 낮선 과학기술적 주제에 어떻게 접근하는지, 그리고 어떤 주제에 관심을 가지는지를 분석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날로 복잡해지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다양한 쟁점들을 이해하는데 간학문적 접근방식이 어떤 도움이 되는지 밝히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과학문화의 간학문적 이해라는 주제에 접근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 80년대 후반이후 과학기술과 대중의 소통을 연구한 "대중의 과학이해(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S)"의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오늘날 과학지식과 이해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천되었는지 분석한다. 그리고 "과학기술과 사회"의 사례 분석은 발표와 토론 수업에서 수강자들이 간학문적 접근방식을 통해 "만들어지고 있는 과학"에 대한 이해를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 PDF

초등교사의 과학적 탐구 이해의 수준과 실태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Level and Actual State About Scientific Inquiry)

  • 이동승;박종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4호
    • /
    • pp.280-288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 수준과 실태를 조사하여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D광역시 초등교사 42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탐구에 관한 관점(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한 결과를 분석 준거에 따라 초등교사의 8가지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 수준을 3단계(전문가적, 과도기적, 초보자적)로 구분하여 과학적 탐구의 이해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의 특성이 과학적 탐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과학적 탐구의 8가지 특성 중 '탐구 방법은 의문 해결에 적합해야 한다'와 '탐구 결론은 반드시 수집된 자료와 일치해야 한다'는 2가지 특성에서 전문가적 수준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나머지 관점에서는 대부분의 초등교사가 과도기와 초보자적 수준으로 나타났고 전문가적 수준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이는 현장에서 탐구에 대해 가르치고 있는 초등교사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가 제한적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연구대상의 경력, 과학관련 연수이수 여부는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을 지도한 경험과 현재까지 개설된 과학관련 연수들이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 탐구 지도를 위해 초등교사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한 기존의 교사 교육 방식과 다른 형태의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목록 업무의 아웃소싱에 대한 인식도 연구 (A Study on Degree of Understanding Toward Outsourcing of Technical Processing in University Library)

  • 김포옥;노옥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5-171
    • /
    • 2004
  • 본 연구는 정리업무에서 시행하고 있는 목록업무의 아웃소싱에 대한 전국 대학도서관의 실태를 조사하여 아웃소싱된 목록을 DB화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업체에서 입력한 목록에 대한 사서의 견해를 심층적인 각도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도서관 사서와 업체 직원간의 목록기술 내용에 대한 양자간의 인식도의 차이를 면밀히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해결점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동시 현 국립중앙도서관의 CIP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ERIS)의 참조목록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을 재조명하여, 미래 우리나라 도서관의 정리업무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유아 이해하기 - '유아 문화'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Understanding Child - A Hermeneutic Understaning of Child's Cultures)

  • 한선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886-890
    • /
    • 2009
  • 유아를 '이해한다'는 것은 최근 유아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는 유아를 발달단계상 특징으로만 이해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기존의 양적 연구방식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심층적 이해가 필요하다는 공감에서 비롯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으로서 해석학적 관점으로 유아문화 읽기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의 이해 대상인 유아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포함한 심층적 이해와 해석이 가능하며, 그들의 삶과 문화를 공유하는 하나의 소통 방식이 되길 기대한다.

경제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 및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ramatic Play Using Economic-Fairy Tales on Preschoolers' Basic-Economic Understanding and Consumer Behavior)

  • 채영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43-453
    • /
    • 2010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dramatic play using Economic-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basic- economic understanding and the consumer behavior.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2 young children who attended a kindergarten in G city.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was 70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Dramatic play using Economic-fairy tale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a 'Discussion activity using Economic-fairy tales'. The experiment used 'The Basic-Economic Concept Test' and 'The Consumer Behavior Test' in the collection of data and T-test was us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dat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in both the post-test score of Basic-Economic Understanding and of Consumer Behavior NOT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technique of dramatic play using Economic-fairy tales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probably effective in developing young children's basic-economic understanding and consumer behavior.

초등 컴퓨터 교과서 주요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수준 분석 - 충청북도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Students' Understanding on Basic Terms in Computer Textbooks for Elementary Education)

  • 성미경;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67-376
    • /
    • 2005
  • 지식정보사회에서 컴퓨터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제 컴퓨터는 하나의 필수도구처럼 인식되고 있으나 컴퓨터교육의 주요 매체인 컴퓨터 교과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충청북도 내 초등학생 4.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에 대한 이해 수준을 파악하고 개인 변인에 따른 이해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수준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개인 변인 중 지역, 학년, 컴퓨터 소유 여부, 과거 컴퓨터교육의 경험 유무, 컴퓨터 수업 진행 형태, 컴퓨터 수업의 호응도, 컴퓨터 수업의 참여도, 성적 수준 등에 따라서 용어의 이해 수준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 PDF

3, 4, 5세 유아의 공격행동에 대한 도덕 판단 및 정당화 추론과 틀린믿음 이해와의 관계 (The Moral Judgment and Justification Reasoning in terms of Aggressive Behavior by 3, 4 and 5 Year Olds : The Relationship to Children's False Belief Understanding)

  • 김유미;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9-69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children's moral judgment, justification reasoning in terms of aggressive behavior, and (2)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to false belief understanding. Children aged between 3 to 5 years(N = 120)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child was interviewed individually and responded questions designed to measure his/her moral judgment and justification reasoning and false belief understanding. The 12 pictorial tasks consisted of selfish and altruistic intentions and three different types of acts (physical, verbal, relational) as responses to aggressive behavio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kind of moral judgment used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tention and the types of a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justification reasoning according to the age and the types of ac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alse belief understanding and moral judgment, justification reasoning. This paper also provided a detailed discussion of the results and recommendations in the context of more general cognitive developmental changes.

The Effect of Using Graphing Calculators on Students' Understanding Functions and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and Graphing Calculators

  • Kwon, Oh-Nam;Kim, Min-Kyeo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4권1호
    • /
    • pp.1-2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graphing calculator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linear and quadratic function concepts. The populators of this study are tenth graders at high school in Seoul, one class for the treatment group and another class for the comparison group, and experiment period is 14 weeks including two weeks for school regular exams.Function tests used in the study was proposed which described a conceptual knowledge of functions in terms of the following components: a) Conceptual understanding, b) Interpreting a function in terms of a verbal experission, c) Translating between different representations of functions, and d) Mathematical modeling a real-world situation using functions. Even though the group test means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conceptual understanding, interpreting, translating, mathematical modeling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re is evidence that the two groups differed in their performance on conceptual understanding. It was shown that students learned algebra using graphing calculators view graphs more globally. The attitude survey assessed students' attitudes and perceptions about the value of mathematics, the usefulness of graphs in mathematics, mathematical confidence, mathematics anxiety, and their feelings about calculators. The overall t-tes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levels of anxiety toward mathematics.

  • PDF

자연수와 분수 연산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Operations with Whole Numbers and Fractions)

  • 김경미;황우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1호
    • /
    • pp.21-45
    • /
    • 2012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tudents understand each operations with whole numbers and frac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knowledge of operations with whole number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operations on fractions. Researchers categorized students' understanding of operations with whole numbers and fractions based on their semantic structure of these operation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understanding of operations with whole numbers and fractions. As the results, some students who understood multiplications with whole numbers as only situations of "equal groups" did not properly conceptualize multiplications of fractions as they interpreted wrongly multiplying two fractions as adding two fractions. On the other hand, some students who understood multiplications with whole numbers as situations of "multiplicative comparison" appropriately conceptualize multiplications of fractions. They naturally constructed knowledge of fractions as they build on their prior knowledge of whole numbers compared to other students. In the case of division, we found that some students who understood divisions with whole numbers as only situations of "sharing" had difficulty in constructing division knowledge of fractions from previous division knowledge of whole numbers.

시스템 생리학에 기반한 한열 변증의 이해 (Understanding Cold and Hot Pattern Classification Based on Systems Biology)

  • 이수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376-384
    • /
    • 2016
  • Systems biology is an emerging field aiming at a systems level understanding of living organisms and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network of them. The emergence of systems biology is partly because of the availability of huge amounts of data on organisms and the extensive support of computational technologies as the tools for understanding complex biological systems.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Korean medicine has been obstructed because of the lack of proper methods examining the complex nature and the unique property of it. However, systems biology could give a chance understanding Korean medicine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Pattern classification is a unique tool of Korean medicine to diagnose and treat patients and systems biology would give a useful tool to interpret pattern classification. Various omics technologies has been used to explain the relations between pattern classification and biological factors and then many characteristics of pattern classification in various diseases have been discovered. Therefore, pattern classification could be a bridge to understand the features and differences of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and it could be a basis to develop pattern-based personalized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