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ground excavation

검색결과 836건 처리시간 0.037초

발파 굴착에 의한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굴착공기 분석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excavation sequence of a room-and-pillar underground structure by the drill-and-blast method)

  • 이철호;현영환;송준호;장수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605-614
    • /
    • 2015
  • 주방식 지하구조물은 여러 개의 암주의 룸으로 구성된 격자 형태의 구조물로 굴착순서에 따라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시공성과 경제성이 좌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굴착공정에서 중요하게 다뤄질 수 있는 발파굴착 공정을 장비 운영과 현행 발파 규정 및 건설공사 표준품셈에 근거하여 검토하였다. 굴착공법으로는 점보드릴을 이용한 발파공법을 가정하였으며, 기존연구에서 제시한 가로 세로 순차시공방식으로 검토하였다. 주방식 지하구조의 계획부지 크기에 따라 굴착공기와 장비운영 등을 고려하여 전체 굴착공정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막장운영 계획에 따라 운영가능한 장비수를 고려하여 전체 굴착공기를 예상할 수 있었다.

워터젯 자유면을 이용한 암반발파 굴착공법의 효과 (Effects of free surface using waterjet cutting for rock blasting excavation)

  • 오태민;조계춘;지인택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49-57
    • /
    • 2013
  • 기존 발파를 이용한 암반굴착 공법은 효율적이나 심각한 수준의 발파진동 및 여굴/미굴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워터젯 절삭기술을 이용하여 터널 계획선을 따라 자유면을 형성한 후 발파하는 공법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공법은 (1) 발파진동/소음을 저감시키고, (2) 여굴/미굴을 최소화 시키고, (3) 굴착효율 극대화가 가능하다. 제안공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기존에 널리 쓰이고 있는 스무스 블라스팅(smooth blasting) 공법을 실험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현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발파 진동은 최대 55% 감소하고 여굴/미굴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굴착효율은 기존공법에 비해 뛰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워터젯 자유면을 이용한 암반 발파공법은 도심지 굴착공사뿐만 아니라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장계측과 수치해석을 이용한 가설 흙막이 구조물의 변형특성 연구 (Deformation Behaviors of Temporary Tieback Wall during Excavation Works)

  • 김종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5권3호
    • /
    • pp.223-229
    • /
    • 1995
  • During excavation works for underground facilities, temporary tieback wall with earth anchor system was investigated for safety's sake. An excavation 9.7 meter deep was monitored by slope inclinometer in twelve measuring points. Instrumented lateral displacements of the wall during 177 days are represented. Especially, lateral displacements of the two positions under completely different condition a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ckfilling between soldier pile and the soil behind wall. The deformation behaviors of the wall according to both depth and elasped time are discussed. Finally, a numerical analysis by the program FLAC was performed, and calculated displacements are compared to measured ones.

  • PDF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발파 굴착공정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xcavation cycle by the drill-and-blast method for a room-and-pillar underground structure)

  • 이철호;현영환;황제돈;최순욱;강태호;장수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511-524
    • /
    • 2016
  • 주방식 지하구조물은 룸과 암주로 이루어진 격자 형태의 지하구조물로 굴착순서에 따라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시공성과 경제성이 좌우될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굴착공정에서 중요하게 다뤄질 수 있는 발파굴착 공정을 장비 운영과 현행 발파 규정 및 건설공사 표준품셈에 근거하여 검토하였다. 굴착공법으로는 점보드릴을 이용한 발파공법을 가정하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가로 세로 병행시공방식으로 검토하였다. 연구에서 고려한 단면의 크기에 따라 필요한 착암 공정에 대한 천공시간을 산정하였으며 기존 도로터널 사례를 통해 버력처리 및 지보재 설치 공정의 소요시간을 산정하였다. 굴진면 운용 수를 고려하여 굴착 사이클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운영가능한 천공장비의 최대 대수와 최소 대수를 수식화하여 제시하였다.

앵카지지 굴착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방토압 (Lateral Pressure on ,anchored Excavation Retention walls)

  • 홍원표;이기준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8권4호
    • /
    • pp.81-98
    • /
    • 1992
  • 고층건물이나 지하철등의 건설시 지하굴착을 깊게 실시하므로서 지하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지하를 연직으로 굴착하기 위하여는 흙막이벽과 지지구조를 안전하게 설계 시공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지하굴착시 지하작업공간확보등의 이점 때문에 흙막이벽지지 구조로 앵가를 만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질토지반의 지하굴착을 실시한 8개 감각현장에서 굴착을 위한 흙막이벽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 앵카에 하중계를 부착하여 앵카의 축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앵카축력으로부터 환산된 측방토압은 흙락이벽체의 강성에 관계없이 지표면으로 탁터 굴착깊이의 30%에 해당되는 깊이까지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그 깊이 아래부터는 일정분포를 보이는 사다지꼴모양의 분포를 보였다. 이 일정토압 분포부분의 토압은 평균적으로 최종굴착 깊이에서의 Rankine 주동토압의 63%에 해당하거나 쳔직상개입의 17점에 해당하였다. 이 연구 결과 사질토지반의 앵카지지 흙막이벽의 앵카축력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측방토압으로는 Terzaghi-Peck이나 Tschebotarioff의 경험적분포를 다소 수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각관 추진 굴착시 궤도노반의 침하경향 실험분석 (Test and analysis of settlement pattern of trackbed during pipe roof excavation)

  • 정관동;엄기영;최찬용;조수익;황인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95-902
    • /
    • 2010
  • The method in a bid to make better use of limited urban space amidst increasingly expanding urban area have been attempted in various ways. Efficient using underground space is one of the examples. The pipe roof and excavation for underground crossing implemented in this study was the part of evaluation of such attempt. However, the pipe roof method for underground crossing may cause the ground surface to be uplifted or settled down, having effect on structure above the ground. Thus in this study, a laboratory model test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n surface during implementing pipe roof and excavation was carried out. The ground displacement during pipe roof advancing and excavation is usually occurred in a radial shape but as the study focused on trackbed, the evaluation included ground settlement only. Thus, appropriately-scaled model was selected considering domestic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high-speed rail trains and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displacement was carried out with a certain ground loss depending on excavation after categorizing trackbed settlement pattern depending on depth of top soil.

  • PDF

지하 터파기 버팀시스템의 전산해석 사례 및 평가 (Evaluation of Computerized Methods for Stepwise Underground Excavation and Support System)

  • 장찬수;우홍기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지반공학에서의 컴퓨터 활용 COMPUTER UTILIZATION IN GEOTECHNICAL ENGINEERING
    • /
    • pp.289-311
    • /
    • 1991
  • Analysis of supported excavation system by Elasto-Plastic Isoparametric Finite Element Method and Elasto-Plastic Beam Method have been conducted for the simulation of stepwise underground excavation. Conventional methods, fixed Supported Beam and Spring Supported Beam method, also have been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elasto-plastic beam method and field data. Except unavoidable result of upward ground settlement near the top of retaining wall and relatively high bending moment of wall at each excavation level, satisfactory results have been derived using elasto-plastic isopara metric finite element method. The results from elasto-plastic beam analysis program, developed by the author, are proved to be fit field data in acceptable variance as shown in the paper. Displacement and bending moment, of the wall by conventional methods, both fixed supported beam and spring supported beam, are always underestimated than field data, and attention must be given that the diffence increases with deeper excavation depth and lower horizontal subgrade reaction of the ground.

  • PDF

PS검층에 의한 터널굴착에 따른 주변암반의 이완영역 평가 (Estimation of Disturbed Zone Around Rock Masses with Tunnel Excavation Using PS Logging)

  • 박삼규;김희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31권6호
    • /
    • pp.527-534
    • /
    • 1998
  • Excavation of underground openings changes stress distribution around the opening. The survey of this disturbed zone in excavation is very important to design and construct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tunnel, gas and oil storage, power plant and disposal site of high- and low-level radioactive wastes. This paper presents a zoning of rock masses with tunnel excavation using PS logging. Compressional and shear wave velocities are measured in boreholes drilled in the tunnel wall, which was constructed with blasting and/or machine excavation. The disturbed zone in excavation can be estimated by comparing PS logging data with a tomographic image of compressional wave velocity and compressional and shear wave velocities of core samples. In the side wall of tunnel, the disturbed zone reaches 1.5 m and 1.0 m in thickness for blocks of blasting and machine excavations, respectively. In the roof of tunnel, however, the disturbed zone is 1.0 m and 0.75 m thick for the two block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width of the disturbed zone is larger in the side wall of tunnel than in the roof, and 1.3 to 1.5 times larger for the blasting excavation than for the machine excavation.

  • PDF

도심지 공사시 지하안전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동향 (Technological Development Trends for Underground Safety in Urban Construction)

  • 백용;김우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7권6호
    • /
    • pp.343-350
    • /
    • 2017
  • 최근 도심지 지상공간의 포화로 전세계적으로 지하공간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상 및 지하구조물에 인접하여 굴착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굴착공사 중 시공 부주의나 시공기술 미흡, 지하수 유출, 급격한 지층의 변화, 토류 시스템 구성품의 문제 등으로 인해 각종 지반함몰 사고가 발생하여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국가적으로 이를 대응하기 위하여 도심지 지하 시설물에 대한 예방중심의 선제적 재난 재해 관리 및 신속 복구 시스템 구축을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굴착공사 시 지반 내부적인 변화 요소(지하수위 변화, 지하매설물 손상 등)와 외부적인 변화요소(차량하중, 지진, 지반굴착 등)를 고려한 지하안전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동향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지반거동 해석 및 지반함몰 평가기술과 지반함몰 예방을 위한 안전한 굴착 및 보강기술, 지반함몰 발생시 긴급복구 기술의 개선 및 국내 자립화가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 도심지 굴착공사시 지반함몰 예방을 위한 기술개발 현황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현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부분도 있으나 크게 분류하여 예측/평가기술, 복합탐사기술, 차수보강기술, 긴급복구기술, 굴착기술의 5개 분야로 설명하고자 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지하연구시설에서의 굴착손상영역 평가 (An Estimation of the Excavation Damaged Zone at the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 이창수;권상기;최종원;전석원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1권5호
    • /
    • pp.359-36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굴착 전 후에 채취한 암석시료들에 대해 물리적, 역학적 그리고 열적 물성을 조사하여,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KURT)의 건설로 인해 발생된 굴착손상영역(EDZ)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굴착손상영역에서 공극률은 약 140% 정도 증가하였고, 탄성파속도, 탄성계수, 그리고 일축압축강도는 각각 약 11, 37, 그리고 16% 정도 감소하였다. 또한 굴착손상영역에서의 열전도도는 약 20% 정도 감소하였다. 암석물성변화를 이용하여 KURT 굴착손상영역의 범위를 판단한 결과 약 1.1-2.4 m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