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ground dam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4초

전기비저항 탐사시 지하매설물에 의한 간섭효과 연구 (Interference effect by underground utilities at electric resistivity Survey)

  • 김재홍;오병현;임은상;이종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961-965
    • /
    • 2009
  • Using much electric resistivity survey to design or preservation administration of facilities. However, By survey method that electric resistivity survey grasps special quality in base by potential difference creating artificial current in underground, Is influenced in electric resistance propensitys of various underground utilities in base. This Study selects dam 1 place that could grasp well underground situation and studied electricity interference effect by effect of underground utilities. Grasp underground utilities of dam interior, and control and observed accuracy with survey wave because various pole space. Through this Study, wish to present survey method of electric resistivity survey at design or survey of preservation administration dimension after with drawn result.

  • PDF

지하댐 설치 시 섬진강 하류 염수침입 방지 효과의 모델기반 분석 (Effect of Underground Dam for the Prevention of Seawater Intrusion at the Seom-jin River)

  • 김성윤;김규범;박준형;신선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8호
    • /
    • pp.51-57
    • /
    • 2011
  • 섬진강 하류지역은 1978년 이후 지속적인 하상 세굴로 인하여 염수 침입이 확대된 지역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댐 설치 시의 염수침입 차단 효과를 수치모델로서 평가하였다. 현재 섬진강 하류 지표수의 염소이온농도는 상류로 가면서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며, 지하수내 농도는 지표수의 1/10 이내로 나타난다. 하구로부터 4.6km 지점에 암반 상부로부터 25m 높이의 지하댐을 설치하는 조건으로 FEM 모델인 FEFLOW를 수행한 결과, 지하댐 상류의 퇴적 작용으로 현재보다 충적층의 두께가 5m 정도 두꺼워진다면 하구로부터 25km 지점에서의 염소이온농도(0.25psu)가 하류로 약 3km 정도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하댐 상류에 퇴적물이 쌓이지 않을 경우에는 지하댐 설치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해안지역 지하수댐 염수침입 방지기술 개선 방안 (Countermeasure to Prevent Seawater Intrusion on Coastal Area)

  • 부성안;이기철;김진성;정교철;고양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48-154
    • /
    • 2002
  • Groundwater Dam is one of the reliable techniques to get huge amount of groundwater abstraction for municipal, agricultural, drinking, industrial water supply system. It can be a major technique to solve water shortage problems when it based on the sufficient watershed, proper topology, and adequate aquifer distribution and pollution control. It is suggested that the two consecutive underground wall in the coastal area to prevent seawater intrusion beneath a single wall.

  • PDF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한 지하댐 적지분석 (Site Suitability Analysis for Underground Dam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이상일;김병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4호
    • /
    • pp.36-44
    • /
    • 2003
  • 전 세계적으로 물부족 사태는 매우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2011년에는 약 18억 $\textrm{m}^3$, 2020년에는 약 26억 $\textrm{m}^3$의 용수부족이 예상된다 지하수는 이러한 문제를 일부 지역에서 해결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지하댐은 위치와 규모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지상댐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지하댐 적지분석을 위해 댐건설 지연과 물부족을 겪고 있는 네 지역을 선정하여, 갈등을 해결하고 대안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분석도구인 계층분석과정(AHP)을 작용하였다. 또한 AHP를 이용한 분석결과를 기존 연구와 비교하였다. 개발된 지하댐 적지분석 방법론은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게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판단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호주 Olympic Dam 사례를 바탕으로 한 MT 기반 심부 지하 광물자원 탐사의 국내 적용성 (Domestic applicability of MT-based deep underground resource exploration based on the Australia Olympic Dam case)

  • 정동호;류경호;오석훈
    • 산업기술연구
    • /
    • 제41권1호
    • /
    • pp.21-24
    • /
    • 2021
  •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electric vehicles and hydrogen vehicles are presented as a method for realizing carbon-neutral. Accordingly, the demand and need for development of underground metal mineral resources such as copper and nickel has increase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using MT survey, which is very useful for deep exploration such as mineral resources and oil exploration because of it's low cost and explorable depth. In Korea, there are very few cases of MT exploration in terms of mineral development, so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MT exploration conducted previously in AusLAMP, Australia.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T exploration data conducted to identify the ore body in the deep area of the Olympic Dam in Australia, with the data directly calculated in 2D inversion,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ossibility of resource development and carbon neutrality using MT exploration in Korea.

U-CDS의 자연환기를 위한 AirDam시스템의 효과에 대한 연구 (System Effectiveness of AirDam for Natural Ventilation by U-CDS)

  • 김승철;신부현;오기대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8권2호
    • /
    • pp.87-92
    • /
    • 2022
  •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electric equipment installed on the ground to be installed in an underground space. Accordingly, U-CDS (Underground-Compact Distribution Station)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is supplied, and to improve its weak ventilation performance, an Airdam-type structure was applied and the effect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around the transformer was reduced by up to 9.5 degrees, and the air flow increased by up to 1.17 m/s. Airdam structure can be supplied in the form of various sculptures because it is possible to design freely while maintaining its principle.

지하수댐 물막이벽 시공법과 해안지역 염수침입 방지기술 개선 방안 (The Study on Constructing Underground Wall to Prevent Seawater Intrusion on Coastal Areas)

  • 부성안;이기철;김진성;정교철;고양수
    • 지질공학
    • /
    • 제12권2호
    • /
    • pp.215-234
    • /
    • 2002
  • 지하수댐은 대용량의 지하수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시설로서 저류수는 유역조건과 대수층조건, 상류부 오염원 분포와 수질에 따라 상수도용, 중수도용, 농업용 또는 공업용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지하수범 설치 방법은 용수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주요 기술의 하나이다. 지하수법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대수층 위치 및 지층에 맞는 적절한 차수공법의 선택과 정밀한 물막이벽 시공, 대수층 구조·수문·물수지 등의 정확한 분석, 장기적인 지하수 이용계획과 저류역내 수질보전대책 수립, 수위·수질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 실시로 지속적인 유지관리, 지속가능한 대용량 취수기술에 대한 조속한 연구, 지하수댐 개발로 인한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철저한 분석 및 대책 수립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해안지역 지하수법에서 발생하는 염수침입 현상을 방지하는 방안으로 물막이벽을 이중으로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발파하중이 인접 댐에 미치는 진동영향에 대한 연계해석적 검토 (Coupled analysis for the influence of blasting-induced vibration on adjacent dam)

  • 박인준;김성인;남기천;곽창원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41-5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기존댐 인접지에 터널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한 발파시, 폭괴하중으로 인한 지반진통이 댐 제체와 간극수암에 마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댐의 안정성 검토는 발파시 발생하는 코어부의 최대입자속도 (Peak Particle Velocity)를 계산하여 수행하였다. 간극수와 지반진동간의 상호 연계해석을 위하여 댐 제체에 대한 정상상태 흐름해석을 수행하여 간극수압 분포를 파악하고, 유발된 과잉간극수암 및 유효응력분포로 발파하중이 인접지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발파와 같은 급속하중 재하 후 과잉간극수압의 증가 및 소산현상 해석을 위하여 Finn & Byrne Model을 적용하여 하중재하 전후의 유효응력 변화양상을 검토하였다.

  • PDF

필댐의 전기비저항 탐사시 전기매체에 의한 영향 분석 연구 (Interference effect by electric utilities at electric resistivity Survey of fill dam)

  • 김재홍;신동훈;임은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037-1040
    • /
    • 2009
  • Using much most electricity electric resistivity survey by nondestructiveness inquiry enforcement design of country base equipment business and facilities preservation administration dimension electric resistivity survey sends and cause much effects in survey believability by electricity medium of survey personality survey contiguity that grasp base special quality by potential difference flowing current artificially in base. Is item that enforce in most in-suite although when make electric resistivity survey until present, electricity medium or effect research by electricity origination was gone much. There is shortcoming that must be difficult to know correct underground utilities establishment state in-suite in this research and do comparison examination running parallel drilling investigation to heighten believability of electric resistivity survey. Did to dam that censure data that regulate grading from construction and is censure construction which can know correctly interior base situation comparatively to electricity medium of interior and electricity eruption won of contiguity and base condition (base rock).

  • PDF

쌍천 지하댐의 효용성 평가를 위한 지표수-지하수 통합 수문해석 (Integrated Surface-Groundwater Hydrologic Analysis for Evaluating Effectiveness of Groundwater Dam in Ssangcheon Watershed)

  • 김남원;나한나;정일문
    • 자원환경지질
    • /
    • 제44권6호
    • /
    • pp.525-532
    • /
    • 2011
  • 지속가능한 지하수 자원의 개발과 관리능력의 수단으로서의 지하댐의 이용과 그 효율성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완전연동형 지표수-지하수 통합해석 모형인 SWAT-MODFLOW를 쌍천유역에 적용하여 지하댐 건설에 따른 영향평가를 수행하였다. 지하댐 건설 후에는 댐 상류의 지하수위 상승이 일어나며 하류부는 지하수가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지표수-지하수의 상호교환량은 상류에서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댐 건설에 따라 상류부 대수층의 저류량이 증가함으로써 가용한 지하수의 개발량은 그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지하댐의 기능이 대수층의 가용 저류량을 증대시키는 매우 유용한 시설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통합 수문해석 방법론은 지하댐 건설에 따른 영향 뿐 아니라 설계와 운영을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기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