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ground Transmission Systems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2초

초고압 XLPE 케이블 접속함의 부분방전 펄스파형 시뮬레이션 (Pulse Waveform Simulation of Partial Discharges for HV XLPE Cable Joints)

  • 김정태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7권1호
    • /
    • pp.75-81
    • /
    • 2018
  • In this study, the simulation of partial discharge pulse waveform have been performed for the typical joints such as EBA and PMJ in the HV underground transmission XLPE cable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partial discharge pulse waveform and the on-site measurement accuracy of partial discharges. FDTD simulation technique was adopted for the simulation and has been shown to be suitable for partial discharge simulation of power cables in terms of puls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nd waveform formation. The simulation results for the EBA showed that the second not-so-large opposite polarity peak appeared after the first negative polarity peak and the measurement sensitivity was the highest near the bottom of the EBA copper box. In the analysis results for PMJ, the magnitude of the second opposite polarity peak was large enough to compare with the first peak, and the measurement sensitivity at the end of the PMJ copper box was the highest. These simulation results show considerable similarity with the on-site measurement, and it would be very useful for the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 of HV XLPE cable systems.

MEMS 센서 기반 지반진동 정보 크라우드소싱 수집시스템 개발 현황 (Development Status of Crowdsourced Ground Vibration Data Collection System Based on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Sensor)

  • 이상호;권지회;류동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8권6호
    • /
    • pp.547-554
    • /
    • 2018
  • 크라우드소싱을 활용한 센서 자료 수집은 기존의 방식으로 얻기 어려운 고밀도 지반 진동 정보의 수집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 탑재된 MEMS 센서를 활용한 크라우드소싱 방식 지반 진동 수집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한 기반 체계 설계 및 클라이언트와 서버에 대한 구현을 수행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Android 기반의 스마트폰이나 Android Things 기반의 고정식 장비를 통해 진동 데이터를 신속히 수집하면서 하드웨어의 전력 및 데이터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전력구 터널 건설안전 확보를 위한 디스크커터 마모측정시스템 시작품 개발 및 성능검증 (Development of disc cutter wear sensor prototype and its verification for ensuring construction safety of utility cable tunnels)

  • 김정주;류희환;송승우;도승철;이지윤;정호영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91-111
    • /
    • 2024
  • 전력구 터널은 송전선로 지중화 사업의 일환으로 대부분의 경우 쉴드 TBM을 활용하여 건설된다. TBM 챔버는 터널 내부 중 유일하게 암반과 흙을 마주하는 공간이며, 붕락과 부딪힘 사고 등 사고노출 빈도가 가장 높은 곳이다. 현재 챔버 외부에서 디스크커터 마모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부재하기 때문에 근로자의 수시점검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BM 챔버 내부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챔버 오픈회수 절감을 통해 공사기간 단축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하여 디스크커터 마모측정 기술 개념을 정립하고, 시작품을 제작하였다. 선행기술을 고찰하여 자기센서가 굴착환경에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자기센서, 무선통신 모듈, 전원공급, 외부 케이싱, 그리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종합한 마모측정 센서 패키지를 개발하였다. 실제 굴착환경에서 시작품 성능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3.6 m 토압식 쉴드 TBM을 활용한 실대형 굴진시험을 수행하였다. 실대형 굴진시험 결과 8개의 시작품 중 5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였다. 최대 3,000 kN의 추력과 1.5 RPM의 회전속도 안에서 센서측정값이 무선통신을 통해 시스템에 원활하게 표출되는지 확인하였고, 센서 케이싱이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력선 용량증대를 위한 해저케이블 설계 (Design of Submarine Cable for Capacity Extension of Power Line)

  • 손홍철;문채주;김동섭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7-84
    • /
    • 2022
  • 해저 전력케이블은 수면 아래로 전력을 운송하는 송전케이블이다. 최근 해저케이블은 해상의 재생에너지인 풍력, 파력 및 조류시스템 등의 전력을 육지로 전송하며, 이 케이블이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 해저에 매설하거나 해저면에 놓여진다. 전력케이블은 극한 환경에서 이용되어 왔기 때문에 가혹한 조건들과 온도 및 강한 조류를 견디도록 제작되나, 해저조건은 해상케이블에 대해 수 많은 종류의 심각한 손상을 만들기에 충분한 조건을 갖는다. 이러한 원인은 전력전송을 중단시키는 케이블 손상을 가져온다. 본 논문에서는 케이블에 대한 설계기준과 시공절차와 난제 그리고 케이블 전환 접속시스템에 대하여 연구한다. 설계된 해저케이블의 규격은 154kV 기존 케이블 1회선과 신규 케이블 2회선 등 3회선으로 구성되고, 선로당 100MVA 전력용량을 갖는다. 해저케이블 매설깊이를 결정하고 기존 및 신규 케이블을 함께 배치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지중선로에 대한 해저케이블의 전력용량 허용값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 케이블 선로당 100MW 이상의 전력용량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타공사 감시를 위한 광섬유 가속도계의 개발 (Development of Fiber Optic Accelerometer for Third-Party Damage Detection)

  • 박호림;최재붕;김영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5권10호
    • /
    • pp.1551-1558
    • /
    • 2001
  • Recently, a number of underground pipelines have been drastically increased. The integrity of these buried pipelines, especially gas transmitting pipelines, is of importance due to an explosive characteristic of natural gas. The third party damage is known as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 which causes fatal accidents. For this reason, a number of systems detecting third party damage are under development. The major concern in the development of third party damage detection system is to transmit vibration signals out of accelerometer to signal conditioner and data acquisition system without any interference caused by nois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e a fiber optic accelerometer applicable to third party damage detection system. A fiber optic accelerometer was developed by use of combining principles of one degree of freedom vibration model and an extrinsic Fabry-Perot interferometer. The developed fiber optic accelerometer was designed to perform with a sensitivity of 0.06mVg, a frequency range of less than 6kHz and an amplitude range of -200g to 200g. The developed, accelerometer was compared with a piezoelectric accelerometer and calibrated. In order to verify the developed accelerometer, the field experiment was performed. From the field experiment, vibration signals and the location of impact were successfully detected. The developed accelerometer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third party damage detection system which requires long distance transmission of signals.

전력선 통신 기술을 활용한 변압기 및 전력선로 추적 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Power Transformer and Lines Tracing Method based on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 변희정;최상준;손수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5-508
    • /
    • 2016
  • 도심에서 배전선로는 지중과 가공 선로의 구성, 연가, 건물과 나무로 인한 시야 방해로 추적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3상 4선식 배전계통에서 특정 수용가가 어떤 변압기 또는 어떤 배전선로로부터 공급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현장의 전기 기술자에게 어려운 문제다. 배전선로의 부하 평형등을 위해 선로의 정확한 추적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전력 고주파 신호를 사용하는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식별 방법을 제안한다. 배전선로에 고주파 전력 신호를 주입하여 분석 한 결과 고주파 신호는 배전선 및 변압기에서 전달을 억제하게 된다. 이러한 제안된 전송제한 방법을 사용하여 변압기도 식별하고 배전선로도 식별하고자 한다. 배전계통에서 전력선 통신 신호의 전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변압기, 3상 선로, 부하 등에 대한 시뮬레이션 해석 모델을 기술한다. 그리고 시스템은 전력선 통신 모듈을 바탕으로 송수신기로 구성된다. 이론적 개념을 검증하기 위해서 일반 상업용 건물에서 실험이 행하여진다. 또한 MATLAB 시뮬링크를 사용하여 개념에 대한 이해를 위한 시뮬레이션이 수행된다.

  • PDF

삼상 다중 접지 배전계통에서 활선로 추적 방법 (Live Lines Tracing Method in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3-phase-4 wires)

  • 정언붕;변희정;손수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59-562
    • /
    • 2017
  • 도심에서 배전선로는 지중과 가공 선로의 구성, 연가, 건물과 나무로 인한 시야 방해로 추적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3상 4선식 배전계통에서 특정 수용가가 어떤 변압기 또는 어떤 선로로부터 공급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현장의 전기 기술자에게 어려운 문제다. 배전선로 사이의 부하 평형 등을 위해 선로의 정확한 추적기술이 필요하다. 기존의 임펄스 전류를 사선에 주입하는 방식과는 다르게 활선에 고주파 신호를 주입하는 식별 방법을 제안한다. 배전선로에 고주파 전력 신호를 주입하여 분석 한 결과 고주파 신호는 배전선에서 전달 능력에 한계 능력을 갖는다. 보통 배전계통의 전력 변압기는 그러한 고주파 신호의 전달을 차폐하게 된다. 이러한 전송제한 특성을 사용하여 변압기와 배전선로를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측정 배전선로의 양단에서 전기신호에 대한 동일 선로 여부를 판별하는 방식이다. 어려운 점은 원격 두 지점이 동기화되어야 하는데, 동기화 시간을 제공하는 GPS를 사용하지 않고 두 지점에 동기화를 달성한다. 새로운 형태의 선로 및 변압기 식별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시스템은 전력선 통신 모듈을 바탕으로 송수신기로 구성된다. 이론적 개념을 검증하기 위해서 일반 상업용 건물에서 실험이 행하여진다.

  • PDF

유도파를 이용한 시간-주파수 영역 해석을 통한 록볼트 건전도 실험의 경암지반 현장 적용성 평가 (Rock Bolt Integrity Assessment in Time-Frequency Domain : In-situ Application at Hard Rock Site)

  • 이인모;한신인;민복기;이종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2호
    • /
    • pp.5-12
    • /
    • 2009
  • 록볼트는 터널과 지하공간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주요 지보재 중 하나이며, 이러한 록볼트의 건전도가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현장에서 투과법을 적용하여 록볼트를 따라 전파되는 유도파를 통해 록볼트의 건전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비파괴 실험의 각기 다른 결함비율을 가진 록볼트 시험체를 제작하여 콘크리트 블록 및 실제현장에 매설한 후, 피에조 디스크 엘리먼트로 유도파를 발생시키고 AE(acoustic emission) 센서를 이용하여 신호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신호는 가버 웨이브렛을 사용한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하여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였다.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각 파군별 최대 에너지가 나타나는 지점의 시간차는 각 반사파군 간의 이동 시간차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계산된 유도파의 에너지 속도는 록볼트의 결함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적합한 양생기간을 제안하였으며 그에 따른 두 번의 현장 실험을 통해 록볼트 건전도 실험의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였고, 제안된 실험방법이 록볼트의 건전도 평가에 있어서 유용한 평가방안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