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3초

지하 공간의 방재장비 관리를 위한 검색 시스템 설계 (The Design of a Retrieval System for Management of Emergency Equipment in the Underground Space)

  • 박명길;신성현;정현군;김창수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41-644
    • /
    • 2008
  • 지하공간은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폐쇄적인 공간이라는 특성 때문에 재해 시 큰 인명피해를 초래한다. 그래서 재해 시인명피해를 최소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방재 장비가 구비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관리 하는 관리자의 측면에서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체계적인 장비의 관리를 위해서 장비의 속성 정보와, 공간 정보로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지하공간 u-방재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 기술 (Ubiquitous Disaster Protection Infrastructure for Underground Space)

  • 유창호;박승엽;최윤수;권기욱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5-499
    • /
    • 2006
  • While the use of large scale underground complex space is increasing currently, this research suggests the methodology of servicing advanced service for civilian and constructing active disaster protection system in order to be free from danger problem of underground complex space by applying new ubiquitous technology. Synchronization between virtual space and real space and construction of ubiquitous disaster protection system arc the core technology. Based on RFID, USN technology, usually, user centered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are presented. it can be convert to disaster protection system on emergency situation without delay. Through these technology. we can ensure the safety of underground space where the floating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moreover, utilize for infrastructure that presents various civilian services. Then we can satisfy the increasing civilians desire for safety and welfare and finally, it will contribute to construction of productive city and creation of new conceptual market.

  • PDF

지진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 DB 구축 및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Plan of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DB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 김수겸;장용구;김창규;강인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9호
    • /
    • pp.49-56
    • /
    • 2013
  • 우리나라의 지난 33년간 지진발생 추이를 보면 3.0 이상의 지진이 연간 평균 약 9회에 걸쳐서 일어나고 있으며, 지진의 진앙지 역시 해안가에서 내륙지방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처럼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지진방재용 통합 지하공간정보활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는 지진 재해 취약지역의 지질 및 지반 특성 파악 자료가 부족하므로, 전국 단위로 신규 지질, 지반조사 자료를 수집하고 기존의 지하공간정보와 공동 활용을 통한 지진방재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 방재를 위하여 요구되는 지하공간정보 DB의 구축범위를 결정하고, 지하공간정보의 정적 및 동적 DB에 대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축된 지진 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진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 DB의 범위, 구축 및 활용 방안의 수립으로 구축되는 지진방재용 지하공간정보는 소방방재청의 지진 및 급경사지 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 및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될 예정이다.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 참조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Reference Model for Integrated Urban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

  • 홍상기;조성윤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9-27
    • /
    • 2009
  •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은 도시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 특히 지상 및 지하시설물 관리에 필요한 센서 및 미들웨어 기술, 유무선 네트워크, GIS-USN 연계 등의 요소기술이 집적된 지능형 도시운영 시스템 기반 환경으로 정의된다.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은 도시 시설물 관리 대상 시설물인 상수도, 하수도, 가스, 난방, 송유, 전력, 통신의 지하시설물과 교량, 육교, 터널 등 도시 지상시설물 등 도로기반시설물 관리를 지능화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 참조모델 개발을 위해 개방형 분산처리 레퍼런스 모델 (RM-ODP, Reference Model for Open Distributed Processing)의 적용을 통해 표준화된 참조모델을 도출하였다.

  • PDF

PRODUCTION OF GROUND SUBSIDENCE SUSCEPTIBILITY MAP AT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USING FUZZY LOGIC

  • Choi, Jong-Kuk;Kim, Ki-Do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717-720
    • /
    • 2006
  • In this study, we predicted locations vulnerable to ground subsidence hazard using fuzzy logic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est was carried out at an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in Samcheok City, Korea. Estimation of relative ratings of eight major factors influencing subsidence and determination of effective fuzzy operators are presented. Eight major factors causing ground subsidence were extracted and constructed as a spatial database using the spatial analysis and the probability analysis functions. The eight factors include geology, slope, landuse, depth of mined tunnel, distance from mined tunnel, RMR, permeability, and depth of ground water. A frequency ratio model was applied to calculate relative rating of each factor, and the ratings were integrated using fuzzy membership function and five different fuzzy operators to produce a ground subsidence susceptibility map. The ground subsidence susceptibility map was verified by comparing it with the existing ground subsidences. The obtained susceptibility map well agreed with the actual ground subsidence areas. Especially, ${\gamma}-operator$ and algebraic product operator were the most effective among the tested fuzzy operators.

  • PDF

지하시설물 품질등급 정보의 활용을 위한 관련 규정 및 건설기준 개정 방안 (Revision of related Regulations and Construction Standards for the Use of Information on Underground Facilities Quality Level)

  • 박준규;김태훈;김원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43-350
    • /
    • 2022
  • 우리나라에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것은 1994년 12월 서울 북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에 이어 1995년 4월 대구 지하철 폭발 사고 이후부터이며, 이와 같은 대형 가스 폭발 사고로 인해 인명 피해와 잠재적 편익을 포함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지하시설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전산화 필요성이 사회적으로 크게 부각되었다. 우리나라는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 기본계획에 따라 지하시설물에 대한 전산화를 수행하고 있지만 지하시설물 정보의 관리 및 활용 확산을 위해서는 지하시설물 데이터의 품질등급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 정보 구축 및 관리 현황과 법령 및 규정 조사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하시설물 정보의 품질등급 정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건설공사에 지하시설물 품질등급 정보가 연계 활용될 수 있도록 「공공측량 작업규정」과 설계기준, 표준시방서, 전문시방서 등 건설공사기준과 가스기술기준, 전기설비 및 정보통신공사의 설계기준 및 표준시방서의 연계성을 조사하여 지하시설물 품질등급 정보의 활용이 가능한 대상을 도출하고 건설기준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지하시설물의 품질등급이 확립된다면 건설 분야에서 지하시설물 품질등급 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고, 현장 적용에 있어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IS를 이용한 철도 연변 낙석, 산사태 정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ailroad Rockfall and Landslide Information System using GIS)

  • 이사로;송원경;박종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1권1호
    • /
    • pp.64-7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철도 연변 낙석, 산사태 관련 공간정보를 검색 및 출력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철도 노선 중 낙석 및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춘선, 영동선, 중앙선, 태백선, 정선선의 2.5 km 혹은 5 km 반경 지역에 대해 철도 관련 정보, 각종 지도 관련 정보, 지형분석 정보, 수문기상 정보, 현장 조사된 낙석 관련 정보 등 각종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철도 연변 낙석, 산사태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정보시스템은 보기환경, 테이블환경, 차트환경, 레이아웃환경, 프로젝트환경 등 5개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정보시스템의 기능은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입력, 검색, 출력 뿐 아니라 자료 변환, 자료 및 범례 편집, 라벨 생성, 화면 확대, 축소, 지도 작성 그림 편집, 문자 DB 관리, 차트작성, 도움말 등 다양하다. 본 정보시스템은 ArcView의 스크립트 언어인 Avenue를 이용하여 개발되었고 풀다운 메뉴 및 아이콘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게 개발되었다.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와 개발된 정보시스템은 낙석 및 산사태 관리 및 분석을 위한 기본 자료 및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재귀반사체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위치측정 타깃의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Analysis of Position Measurement Target for Underground Facilities by Retro-reflection)

  • 민관식;김재명;최윤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45-52
    • /
    • 2013
  • 최근 도심기반 지하시설물 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현장시공 시 되메우기 전에 시설물에 대한 3차원 측량을 권장하고 있다. 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측정 요구 증가와 함께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각종 지하시설물의 DB 구축을 위해서는 타깃을 포함한 측량방법의 간소화로 비용의 절감 및 데이터 구축의 일관성을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 DB 구축을 위한 시설물 위치측정 방법으로 현재 측량에 이용되는 광학프리즘의 재귀반사 원리를 이용하여 최적의 반사체 타깃을 제작(삼각형, 사각형 및 반구형)하여 현장에서 측량자에 의해 되메우기 전에 위치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측량타깃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새로운 측량타깃은 지하시설물 측량이 가능하고 데이터의 신뢰성 및 정확도 확보를 위해 유형별로 토털스테이션 측량좌표와의 정량적 비교를 통하여 위치 측정의 정확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연구결과 시설물 위치측정을 위한 반사체 타깃의 유용성을 입증 하였으며 새로운 타깃의 사용으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량자에 의해 지하시설물 DB 구축을 위한 3차원 위치를 획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