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nderground Pipe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27초

지상 및 지하구조물 해체공사를 위한 구조 안전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Structural Safety Management Plan for Above Ground and Underground Structure Dismantling work)

  • 심학보;전현수;석원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4-195
    • /
    • 2021
  • Due to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r changes in the living environment,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demolish old buildings that have lost their functions. Demolition of above ground and underground structures is an important construction project that greatly affects the construction period and safety of the entire proces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safety officer to manage the demolition work due to the lack of specific and diverse data applicable to the site of the demolition plan. Therefore, in this study, item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structural safety when the above-ground and underground structures are demolished are reviewed and organized. For the main contents of structural safety management in demolition work, 1) structural review reflecting the order of demolition work, 2)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steel pipe scaffolding and dust nets, 3)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system scaffolding, 4)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fall prevention nets, 5) jack support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6) movement of equipment, movement and planning between floors, 7) equipment for demolition of structures, height of remnants, 8) site cleanup, and 9) equipment operators were categorized and arranged.

  • PDF

터널 현장 계측결과를 통한 강관보강 그라우팅의 거동 메커니즘 (Mechanism of steel pipe reinforcement grouting based on tunnel field measurement results)

  • 신현강;정혁상;이용주;김낙영;고성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33-149
    • /
    • 2021
  • 본 논문은 터널 굴착 시 굴착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매우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강관보강 그라우팅의 거동 메커니즘을 실제 현장의 계측결과를 이용하여 연구한 결과를 수록하였다. 계측방법은 12 m의 강관에 형상변위계와 변형률계를 부착하여 실제 터널면에 보강을 시행한 다음 강관의 변형과 응력의 계측값을 분석하여 거동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6 m마다 강관이 중첩되는 것을 고려하여 7 m 굴착 시까지의 계측결과를 활용하였다. 또한, 허용응력이 다른 강관(SGT275와 SGT550)을 적용하여 강도차이에 따른 강관 보강재의 거동 특성도 확인하였다. 굴착면에 강관을 설치하고 최초 1 m 굴착 후 다음 굴착이 진행되기 전까지 7시간 동안의 강관 거동을 분석한 결과 굴착 이완하중에 따른 아칭효과로 응력이 재분배되는 거동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m씩 굴착됨에 따라 3차원적인 이완하중의 응력분배로 인해 굴착된 구간은 4~6 m 굴착 시 가장 큰 변형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계측을 통해 굴착 전방지반의 설치된 강관에도 변형과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GT275강관(항복강도 275 MPa)과 SGT550강관(항복강도 550 MPa)의 거동을 비교한 결과 변형량의 차이는 최대 18배, 응력은 최대 12배 정도 차이가 발생되어 강도가 큰 강관일수록 이완하중에 대응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터널 굴착에 따른 강관의 계측결과를 이용하여 이완하중의 아칭효과에 대응하는 강관 보강 그라우팅의 거동 메커니즘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결과를 본 논문에 수록하였다.

금속재질 열교환기의 지중 열교환 효율에 관한 연구 (Study on Efficiency for Underground Heat Transfer of Metal Heat Exchanger)

  • 송재용;김기준;안상곤;김진성;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25권1호
    • /
    • pp.131-148
    • /
    • 2015
  • 본 연구는 지열시스템 열교환 효율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재질의 열교환기인 동관 및 스테인레스관과 기존 지열시스템에 많이 적용되는 PE관을 이용하여 지열열교환기의 재질에 따른 열전달 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지하매질의 지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지하수열을 동시 활용할 경우의 열전달 효율 변화를 평가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열교환기 내의 유속, 유량 및 열교환기의 구경을 조절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재질에 따른 열전달 효율을 평가 후 현장실증시험 설계인자를 도출하였다. 열교환 효율과 유효 열전도도는 현장 열전달 효율 시험 및 열응답 시험을 통해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금속재질이 PE관에 비해 높은 열전달 효율을 보였으며, 유량에서의 구경증대에 따른 열전달효율은 크지 않았으나 유속에서의 구경증대에 따른 열전달효율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탄소섬유를 이용한 Polyethylene배관의 전기융착 기술 (Electrofusion Joining Technology for Polyethylene Pipes Using Carbon Fiber)

  • 안석환;하유성;문창권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93-98
    • /
    • 2013
  • Fuel gas is an important energy source that is being increasingly used because of the convenience and clean energy provided. Natural gas is supplied to consumers safely through an underground gas-pipe network made of a polyethylene material. In electrofusion, which is one of the joining methods used, copper wire is used as the heating wire. However, it takes a long time for fusion to occur because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copper is low. In this study, therefore, electrofusion was conducted by replacing the copper heating wire with carbon fiber to reduce the fusion time and improve the production when joining large pipes. Fusion and tensile tests were performed after the electrofusion joint was made in the polyethylene pipe using carbon fib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usion time was shorter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pipe was higher with an increase in the current value. The ultimate tensile strength of specimens was higher than that of virgin polyethylene pipe, except for polyethylene pipes joined using a current of 0.8 A. The best fusion current value was 0.9 or 1.0 A because of the short fusion time and lack of transformation inside the pipe. Thus, it was shown that carbon fiber can be used to replace the copper heating wire.

한랭지역에서 운영 중인 터널의 누수처리를 위한 유도배수시스템의 장기 성능 평가 (Long-term performance of drainage system for leakage treatment of tunnel operating in cold region)

  • 김동규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1177-119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랭지역에서 운영 중인 터널구조물의 누수를 유도배수하기 위하여 기존 유도배수시스템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유도배수시스템은 유도배수판, 방수재료인 Hotty-gel, Hotty-gel 돌출 방지판, 공압타카, 고정핀, 집수관, 유도배수관, 철망 및 뿜어 붙임 모르타르로 구성되어 있다. 유도배수시스템은 현장 적용성 및 시공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재래식 콘크리트 라이닝 터널에서 시험 시공되었다. 재령 7일, 14일, 21일, 28일,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7개월 및 8개월에 약 1,000 ml의 붉은색 물을 유도배수시스템 배면에 주입하여 유도배수시스템의 방수과 유도배수 성능을 평가하였다. 현장 성능 평가 실험이 진행된 8개월 동안 터널이 위치한 지역의 일일 평균 온도는 $-16.0~25.6^{\circ}C$로 측정되었고, 일일 최저 온도는 $-21.3^{\circ}C$, 일일 최고 온도는 $30.8^{\circ}C$였다. 유도배수시스템의 유도배수판에서는 누수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재령 14일부터 유도배수관에서 누수가 발생하였다. 유도배수관 누수는 고압의 공압타카와 고정핀 사용으로 두께 0.2 cm인 연성플라스틱 재질의 유도배수관이 변형되었고, 누수 방지를 위한 Hotty-gel의 두께와 폭이 충분하지 않아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구조해석을 통한 도시가스 매설배관의 지진 영향 분석 (Seismic Impact Analysis of Buried Citygas Pipes through Structural Analysis)

  • 조윤호;최마리아;양주안;전상일;전지훈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9-26
    • /
    • 2023
  • 지진은 지하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재해 중 하나이다. 도시가스 지하 매설 배관은 지진 발생 시 구조물의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디지털 관측을 시작한 이래로 지진 발생 횟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도시가스배관의 내진 설계 기준은 2008년에 KGS GC204 가스배관 내진설계 기준이 제정되었지만 이는 배관 설치 시 기준으로 지진 발생 시 배관의 영향을 추정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매설배관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는 PE(폴리에틸렌관)배관과 PLP(폴리에틸렌 피복강관) 배관을 대상으로 지진 발생 시 환경 및 배관의 변수에 따른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를 통해 배관을 모델링하고 지반에 변위를 발생시켜 가장 취약한 매설배관의 변수를 찾고자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토양은 탄성계수가 클 수록, 매설심도는 깊을 수록, 관경은 작을 수록, 압력은 높을 수록, PE 보다 PLP 배관이 더 지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매설 도시가스배관의 취약지점을 유추하여 지진발생 시 매설배관의 특별점검에 활용하고자한다.[1]

Field and laboratory assessment of ground subsidence induced by underground cavity under the sewer pipe

  • Kong, Suk-Min;Kim, Dong-Min;Lee, Dae-Young;Jung, Hyuk-Sang;Lee, Yong-Joo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6권3호
    • /
    • pp.285-293
    • /
    • 2018
  • In densely populated urban areas with a large amount of infrastructure, ground subsidence events can result in massive casualties and economic losses. In South Korea, the incidence of ground subsidence in urban area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the number of underground cavities suspected of causing such event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technique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underground and ground subsidence. In this study, a field test, laboratory test, and nume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mpaction degree of the upper support layer of any underground cavity below the level of sewer pipes in order to prevent such cavities from collapsing and leading to ground subsidence accidents. During the field test, an underground cavity was simulated using ice, and the generation of the cavity was confirmed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The ground investigation was performed using a cone penetration test, and the compaction of the ground where ground subsidence occurred was evaluated with a laboratory test. The behaviour of the ground under various conditions was predicted using a numerical analysis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field test and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optimal compaction degree of the ground required to prevent the underground cavity from causing ground subsidence was predicted and presented.

드론을 이용한 실시간 지하시설물도 작성 (Real-time Underground Facility Map Production Using Drones)

  • 노홍석;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54
    • /
    • 2017
  •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0년까지 84개 시군에 대한 지하시설물 전산화가 완료되고 2011년부터 신규로 배관공사가 이루어지거나 기존관로 유지보수 갱신 배관공사에 대하여 2010년 개정된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공공측량작업규정 제134호의 지하시설물도 작성시기에서 정확도 확보를 위하여 되메우기 전 노출관로에 대한 위치 및 심도측량으로 지하시설물도를 작성하게 되어있다. 실시간으로 작성하게 되어 있는 지하시설물도의 작성기법에 대하여 기존 방식과 대비 더욱 효율적이면서 부가가치가 높은 방식으로써 예산절감효과를 도출하여 현업에 적용 할 수 있는 응용기술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적화 된 드론영상자료를 기본으로 지상기준점 배치가 최대한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오차범위에서 벗어난 지상기준점을 소거하고 재프로세싱 하여 양질의 성과를 도출함으로써 드론방식의 지하시설물도를 작성,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수용되는 검증결과를 수립하고, 프로세싱방법의 표준화가 될 수 있는 새로운 작업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네트워크 RTK와 연계한 비금속 상수관의 GPR 탐사 (GPR Exploration of Non-metallic Water Pipes Linked with Network RTK)

  • 이근왕;박준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96-301
    • /
    • 2021
  • GPR은 전자파를 지반 또는 대상물에 방사시켜 반사체에서 돌아온 반사파를 이용하는 탐사법으로써 광산의 지반침하나 건설현장의 비파괴 조사, 지반조사, 지하시설물 탐사 등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RTK와 연계한 GPR을 이용한 비금속 상수관의 탐사에 대한 활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GPR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지 상수관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였으며, 상수관로에 대한 위치 및 매설 심도를 측정하였다. 정확도 평가를 위해 GNSS 관측 성과와 GPR 탐사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0.16m ~ 0.15m의 편차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공측량 작업규정의 기기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GPR을 이용한 상수관의 탐사가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GPR은 기존 금속관로탐지기에서와 같은 접지 설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지하시설물 탐사를 위한 작업의 효율성 증대에 기여할 것이며, GPR을 이용한 탐사는 금속 및 비금속 지하시설물에 대한 위치와 심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어 GIS 시스템 구축을 위한 데이터로 이용이 가능하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금속 및 비금속관로 탐사와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 지면 매질에 따른 탐사 특성비교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GPR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탐사의 다양한 활용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하수관로 검사 및 연결 절단부 로봇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Robot that is Detecting of Sewage Pipe and Cutting of Connection Projecting Part)

  • 정재강;김우진;김재열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22권4호
    • /
    • pp.225-229
    • /
    • 2006
  • The issue with the drainpipe now a day is that they are laid underground. Causing us to perform additional work to repair, such as digging up the ground and peeling off the insulator that surrounds the pipe. And such series works are difficult that concession appears from government and municipal office. However, if we can save time and money. Performance of piping robot that we are studied in existing session through fixing unit and improvement of cutting bit shorten and wished to heighten work efficiency. And we are trying to develop a unit that can cut up the projecting parts which connects with the interior part of the drainpi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