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drainage water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저층배수를 이용한 담수호화 촉진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FRESHENING PROCESS BY MEANS OF UNDERDRAINAGE CONDUIT)

  • 서영제;김진규
    • 물과 미래
    • /
    • 제25권1호
    • /
    • pp.111-119
    • /
    • 1992
  • 간척사업에 있어 용수원이 되는 깊은 담수화호에서는 체절후 온도 및 염분농도차에 의한 이층류가 발생하게 되며 이중 저층염분수는 밀도류 흐름의 구조특성상 배수\ulcorner문만으로 배제가 어려우므로 별도의 저층배수시설을 계획하여 담수호화를 촉진하고 있다. 성층화된 담수화호에서 상층부의 염도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크게 나누어 세가지로 대별한다. 첫째는 상, 하층간의 밀도차에 의한 내부경계면의 난류현상, 둘째는 상층부의 흐름과 요동(바람,파)에 의한 혼합작용, 셋째는 하층부 호저토에서 발생되는 염분의 확산이다. 따라서 담수호화 모형을 위한 이층류흐름의 염분평행방정식을 구획하고 이 모형이 가지는 여러 가지 매개변수를 현장에서 실측된 염분농도변화에 부합하도록 유도하였다.

  • PDF

시설재배지 유공관 암거배수에 의한 염류집적 경감효과 (Effect of Perforated PVC Underdrainage Pipe on Desalting of Plastic Film House Soils)

  • 김대수;양재의;옥용식;유경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65-72
    • /
    • 2006
  • 시설재배지는 노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시비량이 많아 토양의 염류집적이 우려되고 EC가 높아지는 경우 양분과 수분의 흡수가 저해되며 일부 양분은 비유효태로 존재하게 되어 작물에 의한 영양소의 흡수가 저해된다. 본 연구는 연작으로 인하여 염류집적이 발생한 시설하우스 토양을 대상으로 50 cm 깊이에 PVC 유공배수관 (${\phi}10cm$)을 암거배수로 설치함으로써 토양염류를 적정수준으로 제어하고자 수행되었다. 토양의 염류제거 효과를 pH, EC, 양이온 등의 화학성 변화와 작물생육에 근거하여 판정하였다. 유공 암거배수관 설치 후 2년 동안 토양의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EC는 무처리구에서 $3.86-4.53dS\;m^{-1}$이었으나 유공 암거배수관 설치구에서는 $1.42-2.88dS\;m^{-1}$을 나타내어 유공 암거배수관 설치가 토양의 EC를 약 2배까지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유공 암거배수관 처리구 및 무처리구의 pH는 각각 pH 6.9-7.3 및 pH 7.2-7.5로 나타나 처리구가 다소 낮았으나 시설하우스 토양의 pH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토양의 pH와 양이온치환용량 사이에는 $CEC=17.107{\times}pH-106.2$ ($r^2=0.759^{**}$)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상추/상추/쑥갓을 재배한 후 토양의 EC를 깊이별로 조사한 결과 무처리구에서는 0-10, 11-20, 21-30, 31-40, 41-50 cm 깊이에서 각각 3.45, 3.47, 3.03, 2.93, $2.28dS\;m^{-1}$로 나타나 심층으로 갈수록 EC가 낮아졌으나 유공 암거배수관을 설치한 처리구에서는 2.43 2.52, 2.28. 4.00, $4.23dS\;m^{-1}$로 심층으로 갈수록 EC가 증가하였다. 이는 유공관 설치 시 염류가 집적된 표층과 비교적 염류농도가 낮은 심층의 토양이 상호 혼합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토양깊이별 치환성 양이온의 농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 표층에 존재하는 함량에 대한 비율로 보면 Mg > Ca > K 순으로 하양이동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공 암거배수관 설치에 대한 작물 재배시험에서 상추를 정식하고 15일 후 생존율은 98.2%로 나타나 무처리구의 86.6%에 비해 생존율이 11,4%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추의 생육상황을 평가하기 위해 줄기의 지제부직경을 조사한 결과 무처리구는 12.9 mm이었으나 유공 암거배수관 처리구의 경우 13.7 mm로 증가하여 직물생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염류가 집적된 시설재배지 토양의 심토에 암거배수관을 설치할 경우 표토의 집적된 염류를 지하부위로 용탈시켜 토양의 EC를 낮춰주고 작물의 생육과 수량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PVC관을 이용한 배수연구 (A Study on the Underdrainage of Wet Paddy Fields by Using P.V.C. Pipes)

  • 주재홍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60-1964
    • /
    • 1970
  • 본시험사업기간(本試驗事業期間)이 $9{\sim}2$월초(月初) 사이기 때문에 시험포장(試驗圃場)을 임대(賃貸)하여 흡수관리설공사(吸水管理設工事)가 끝나자 이어 장려품질(品質)인 맥류(麥類) 2종(種) (밀 : 농림 4호 쌀보리 : 도원)을 파종하고 발아상태(發芽狀態)와 초기생육(初期生育)만 조사(調査)하고 나머지는 내년(來年) $1{\sim}6$월(月) 사이에 조사(調査)를 완료(完了)하고 이어 벼의 시험(試驗)을 하기로 한다.

  • PDF

암반비수에 의한 저온지이용에 관한 연구(1) (A study on the Use of Low and Wet Land By Underdrainage(1))

  • 주재홍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54-1459
    • /
    • 1968
  • 본(本) 실험(實驗) 실시(實施)함에 있어서 포장(圃場) 10a를 시공구(施工區) 5a, 대비구(對比區) 5a로 나누고 시공구(施工區)는 인력(人力)으로 터파기를 하는데 깊이 1m, 거리 5m 경사(傾斜) 200분지(分之)1로 하고 관경(管徑) 4.5cm의 plastic 제(製) 흡수관(吸水管) (Glass nylon filter 권(卷))을 시공구(施工區) 5a에 pipe 전소요량(全所要量)이 100m (2.5m, 40개)이며 배수조절용수갑(排水調節龍鬚閘)은 2개소(個所) 설치(設置)하여 관개기(灌漑期)에는 매일(每日) 오후(午後) 5시(時)에 개방(開放)하고 오전(午前) 6시(時)에 닫어 지온(地溫)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평균(平均) $1.2^{\circ}C$ 상승(上昇)하고 비관개기(非灌漑期)는 맥류(麥類) 및 서류재배(薯類栽培)를 위(爲)해서 수갑(水閘)을 종일(終日)열어 배수(排水)의 목적(目的)을 달성(達成)시켜 서류(薯類) 및 맥류재배(麥類栽培)가 전연불가능(全然不可能)한 저온지(低溫地)가 재배가능(栽培可能)하였으나 배수(排水)와 지외(地外), 생육(生育), 수량(收量), 토양(土壤), 관개수질조사(灌漑水質調査)는 제이차(第二次) 시험(試驗)에서 취급(取扱)하기로 하겠다.

  • PDF

IMPROVEMENT OF FRESHENING PROCESS BY MEANS OF UNDERDRAINAGE CONDUIT

  • Suh, Young-Jea;Kim, Jin-Kyoo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4권
    • /
    • pp.93-104
    • /
    • 1993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actual comparison analysis for the freshening process in the two selected experimental reservoirs. At the deep freshening reservoir, salinity and depth of the freshwater layer were estimated by simulation technique using the quantitative equation for the two layered flow structures. First of all, it is shown that the effects of underdraiange conduit in the lower layer were reported more effective for the control of upper layer salinity comparing with the case of no underdraiange conduit. Further the results of computation were later compared with the real observed values and the relating parameters of the salt balance equation are conformed even though approximately. Finally it was represented that the salinity of upper layer is easily diluted not only by the tidal gate but also by the underdraiange conduit in the lower layer of the freshening reservoir.

  • PDF

P.V.C 관을 이용한 습답배수 연구 (A Study of the Use of Low and Wet Land by Underdrinage)

  • 주재홍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58-2161
    • /
    • 1971
  • 1969년도(年度) 10월(月) 20일(日) 표류(表類) 2종류(種類)를 파종하고 1970년(年) 6월(月) 15일(日) 수확(收穫)을 이앙하고 본(本) 삼차시험사업(三次試驗事業)으로 하는 이유(理由)는 예산관계(豫算關係)와 제반사정(諸般事情)이 여의(如意)치 못해서 수도(水稻)에 대(對)한 조사연구(調査硏究)는 제사차(第四次) 사업(事業)에서 다루기로 한다.

  • PDF

금호지구 저습답의 암거배수효과에 관한 연구(I) (Studies on Wet Paddy Field Underdrainage Improvement in the Gum-Ho Area (I))

  • 김조웅;김시원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2-95
    • /
    • 1980
  • This paper complies the results of the studies so far made on the subsoil improvement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s for wet paddy fields (those were located in the Gum-Ho area in Kyung Buk province) which had poor permeability and a high water table. In general, a drainage problem is an excess of water on the ground surface which can effect the productivity and bearing capacity of the soil. With drain pipe systems, (According to their depths and spacing) it may be possible to correct that problem. The experimentation consisted of three test plots, two of which included drain pipe systems with varing depths and width spacing of the pipes. The third plot (C) was an ordinary plot being exempt of a drain pipe system. In detail, the depth of plot A was 80 cm, and the width spacings began at 2. Om and increased by 2. Om up to 10. 0m. The depth of plot B was 60cm and the width spacing was the same as plot A. These tests were performed to research specific details; such as crop yeild, bearing capacity of the soil, the amount of underdrainage, surface cracks, root distribution, the water table level, the consumptive water depth and the soil moisture content. The test period lasted three years, from 1977 thru 1979.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During the test period, the weather conditions for the area tested were in accordance with the annual average for that area. Furthermore the precipitation factor during the spring cultivation season, the intermediate drainage period and the harvest drainage period was of optimum conditions for controling surface cracks, because of less precipitation than evaporation. 2.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 ground water table in plots A and B was hardly noticable, but the difference in the test plots and the ord. plot was greatly noticable. The test plots (A, B) were 30 to 40cm lower than the ordinary plot. On the whole, the ground water table of the ord. plot always stayed at a level of 15-20cm beneath the surface of the soil, the ground water table of the test plot A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depth of the pipe lower than the test plot B, while the test plots showed a remarkable descending effect. 3. The soil temperature in plot A was slightly core than in plot B with a difference of 0. 47$^{\circ}$C, but plot A was 1. 6$^{\circ}$C higher than the ord. plot during the flooding period, but after drainage the temperature difference climed to 2. 0$^{\circ}$C. 4. During the 3rd test year, the values of the cracks were recorded with the values of 59cm in plot A, 42cm in plot B and 15cm in the ordinary plot. Plots A and B had increased 2.5 times the value of the first year while the ordinary plot had remained the same. 5. The root weight of the rice was measured at a value of 77.2 gr. for plot A, 73.5 gr. for plot B and 65.3 gr. for the ord. plot. Therefore, the root growths in plots A and B were much more energetic than in the ord. plot. 6. The consumptive water depth measured during the 3rd year resulted in the values of 26. 0mm per day for plot A, and 24.9 mm per day for plot B, respectively. Therefore, both plot A and plot B maintained the optimum consumptive water depths, but the ordinary plot only obtained the value of 12.3 mm per day, which clearly showed less than the optimum consumptive water depth which is 20 to 30 mm/day. 7. The soil moisture content is in direct relationship to the ground water level. During drainage, test plot A decreased in its ground water level much more rapidly than the other two plots. Therefore, plot A had a much less soil moisture content. But this decreased water level could be directly effected by the weather conditions. 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aring capacity and the soil moisture content were directly inversely proportional. It can be assumed that the occurence of soil creaks is limited by the soil moisture content. Therefore, the greater the progress of the surface creaks resulted in a greater bearing capacity. So, tast plot A with a greater amount of surface cracks than the other test plots resulted in a greater bearing capacity. But, the bearing capacity at the harvest season could be effected by the drainage during the intermediate drainage period and by the weather conditions. 9. Comparing the production of the test plots to the ord. plot; there was an increased value of 840kg for plot A, 755kg for plot B and 695kg for the ord. plot in the rough rice. Therefore, plot A had an increase of 20% over the ordinary plot.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double crops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n barley production in the test plots showed a value of 367kg per 10 acres, which substantiated the possibility of double crops because that value showed an increased value over the average yearly yield for those uplands. 10. So as a result, it can be recommended that by including a drain pipe system with the optimum conditions of an (80cm centimeter) depth and a (l0m) spacing will have a definite positive effect on the over all production capacity and quality of wetpaddy fields.

  • PDF

일본 노지채소 집약 재배지역 토양 침출수 중의 NO3-N 농도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자연존재비(δ15N) (Concentrations and Natural 15N Abundances of NO3-N in Groundwater and Percolation Water from Intensive Vegetable Cultivation Area in Japan)

  • 박광래;최재성;백형진;김원일;정구복;윤순강;조진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19-126
    • /
    • 2003
  • 질소 안정동위체 자연존재비(${\delta}^{15}N$)측정을 통해 노지 채소 재배토양에서 침출되어 지하로 이동하는 $NO_3-N$의 동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 m 관정수와 6 m 관정수의 $NO_3-N$ 농도 평균값은 각각 25.7 및 $2.8mg\;L^{-1}$이었으며, ${\delta}^{15}N$는 +3.6 및 +4.7‰이었다. 2) 암거배수의 $NO_3-N$ 농도와 ${\delta}^{15}N$의 평균은 각각 $35.5mg\;L^{-1}$와 +6.6‰로 토양 침투수는 즐인 선상지 전체로부터 모아지며 비교적 민감하게 화학비료, 가축분 퇴비 유래 질소농도의 변화를 반영하였다. 3) 단지 말단부의 용출수의 $NO_3-N$ 농도와 ${\delta}^{15}N$의 평균은 각각 $19.4mg\;L^{-1}$ 및 +7.9‰로서 채소 재배지대의 복류수 중에는 축산폐기물 유래가 침투되어 있는 것을 나타냈다. 4) 본 지구의 채소재배 토양의 ${\delta}^{15}N$은 2 N KCl 추출 가용태 질소로서 +6.1‰, 질산태 질소로서 +5.1‰이며, 주로 사용되는 화학비료의 전질소의 ${\delta}^{15}N$은 질산 억제비료가 -6.1‰, 그리고 완효성비료가 2.2‰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