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aria Pinnatifida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2초

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육상수조사육에 관한 연구 I. 치패성장에 미치는 수조형태 및 사육밀도의 영향 (Indoor Tank Culture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 . Effects of tank shape and stocking density on the growth of young abalone)

  • 정성채;지영주;손팔원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20
    • /
    • 1994
  • 전복을 육상에서 사육하기 위한 시설형태 및 적절한 사육밀도의 구명을 위해 수조형태 및 수용밀도별 사육실험을 한 결과 1. 수조형태, 단별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의 차리는 인정되지 않았고, 유수식과 순환식사육의 비교에서는 유수식의 성장도와 생존율이 좋았다. 2. 수조단수별 (3단)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아 동일량의 사육수로 단위면적 당 3배의 생산이 가능하였다. 3. 밀도별실험에서 $1000-2000마리/m^2$로 수용한 각장 약 20mm치패는 수용밀도에 따른 성장 차가 없었지만, 각각 200-600, 100-300마리의 밀도로 수용한 각장 약 40mm와 50mm의 치패는 수용밀도가 낮을수록 성장이 빨랐다. 4. 일간섭식률과 사료전환효율은 밀도가 낮을수록 높았고, 치패 크기가 작을수록 높았다

  • PDF

미역과 다시마를 이용한 해조묵제조 -3. 두유혼합묵과 분리대두단백질 혼합묵- (Preparation of Seaweed Jelly(Muk) with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and Sea Tangle(Laminaria japonica) -3. Muks Prepared with Soy milk or Soy Protein Isolate-)

  • 정용현;국중렬;장수현;김종배;김건배;최선남;강영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5-330
    • /
    • 1995
  • 해조류 중 생산량이 많고 건강식품 소재로 가능성이 높은 미역과 다시마를 이용하여 두유와 분리대두 단백질이 첨가된 혼합묵의 제조조건을 규명하였다 두유혼합 미역묵의 제조는 두유의 비율을 증가시킴에 따라 겔강도는 감소되었고, 농축한 두유를 혼합할수록 겔강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조체용해액에 대한 두유의 비율을 7 : 1로 혼합하여 $65^{\circ}C$에서 겔화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조체용해액에 분리대두단백질을 $5\%$(w/w)를 혼합하여 $65^{\circ}C$에서 겔화할때 조체묵이나 두유혼합묵에 비해 높은 겔강도$(900g/cm^2)$을 가지는 분리대두단백질 혼합묵제조가 가능하였다

  • PDF

미역과 다시마를 이용한 해조묵제조 -4. 해조묵의 저장성- (Preparation of Seaweed Muk with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and Sea Tangle(Laminaria japonica) -4. Shelf Life of Seaweed Muks-)

  • 정용현;국중렬;장수현;김종배;김건배;최선남;강영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1-337
    • /
    • 1995
  • 해조류 중 생산량이 많고 건강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은 미역과 다시마 해조묵을 제조하여 수침저장 중 저장 온도와 시간에 따른 생균수, pH, 적정산도, 겔강도 및 TVN의 변화를 측정하여 적정저장 조건을 검토한 결과 묵 저장 중 겔강도는 약화되었으며, TVN, 생균수는 증가하였다. 조체묵의 수침저장은 $32^{\circ}C$에서는 3일, $18^{\circ}C$ 이하에서는 15일 저장까지도 가능하였으며, 두유혼합묵은 조체묵 보다는 저장 기간이 짧아서 $18^{\circ}C$ 저장시 3일까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고지방식이 급여 흰쥐에서 대황 및 대황정제환의 혈청 지질 개선 효과 (Effect of Eisenia Bicyclis and Its Pill on Serum Lipid Status in Rats Fed High Fat Diet)

  • 장연희;최상원;조성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1호
    • /
    • pp.5-12
    • /
    • 2008
  •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Eisenia bicyclis (EB)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improves serum lipid status, supplementation of EB powder or EB extract to the high fat/cholesterol diet was tested in 6-week old male Sprague-Dawley rats for four weeks. In the first experiment, four kinds of seaweed powder -Eisenia bicyclis (EB), Undaria pinnatifida (Up), Laminaria japonica (LJ), and Ecklonia stolonifera (ES) were compared with alginic acid (ALG) as well as control. In the second experiment, EB water extract and EB ethanol extract and EB pill containing EB and LJ powder were compared with the EB powder. Amounts of dietary fiber contained in experimental diets were adjusted to provide 5% of diets. Serum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er only in rats fed LJ or EB powder, but HDL cholesterol was higher in rats fed UP, LJ, ES or EB powder. Ratios of HDL-/total cholesterol of all seaweed groups including AL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erum triglyceride was lower in LJ, EB nd ES powder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In comparison of EB extracts, triglyceride level was decreased in rats fed only EB water extract as compared to control rats, but HDL cholesterol was elevated with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were decreased and HDL cholesterol was increased by the EB pill. Serum levels of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were lower in rats fed ES powder, and EB powder, EB water extract or EB pill, as compared to the control rats. Supplementation of EB powder and EB pill reduced serum level of GOT and GPT,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EB and EB pill improve serum lipid status and may be utilized as ingredient of functional food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erum lipid profile and inhibiting peroxidation of lipids.

Macroalgal Community Structure on the Rocky Shores of Ongdo, Jusamdo, and Woejodo Islands of the Yellow Sea, Korea

  • Heo, Jin-Suk;Park, Seo-Kyoung;Yoo, Hyun-Il;Song, Ji-Na;Kim, Bo-Yeon;Choi, Han-Gi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389-397
    • /
    • 2011
  • The benthic algal community structures of the seaweed biomass, vertical distribution of dominant seaweeds, and species composition were examined on the rocky shores of Ongdo, Jusamdo, and Woejodo Islands, Korea, in August 2006. A total of 68 seaweeds were identified, comprising 5 green, 11 brown, and 52 red algae from the three study sites. The number of species at Ongdo (32 species) was less than that at Jusamdo (45 species) and Woejodo (44 species). Jusamdo exhibited the maximum seaweed biomass (73.99 g dry $wt/m^2$), while the minimum value was found at Woejodo (36.90 g dry $wt/m^2$). On the three islands, coarsely branched forms were the most dominant functional group in terms of species number and biomass among benthic algal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ere Gelidium amansii, Chondrus ocellatus, and Chrysymenia wrightii at Ongdo, Sargasum thunbergii, Ulva pertusa, and Sargassum fusiformis at Jusamdo, and U. pertusa, Undaria pinnatifida, and Corallina pilulifera at Woejodo. Perennial seaweeds were abundant at Ongdo (G. amansii and C. ocellatus) and Jusamdo (S. thunbergii and S. fusiformis), whereas the sheet form of U. pertusa was relatively abundant at Woejodo Island.

제브라피쉬(Danio rerio)를 이용한 비소 고함류 3종 해조류 추출물의 급성 독성평가 (Acute Toxicity Assessment in Zebrafish Danio rerio of Arsenic-rich Extracts from Three Species of Seaweeds)

  • 양혜원;김은아;김서영;전유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1-41
    • /
    • 2018
  • Seaweeds are composed of a variety of bioactive substances, including polysaccharides, pigments, minerals, peptides, and polyphenols. Among these substances, the arsenic content of seaweeds has been a significant cause for concern.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toxicity of arsenic from three species of seaweed using a zebrafish Danio rerio model. The arsenic-rich extracts were obtained from Ecklonia cava (ECAE), Undaria pinnatifida (UPAE) and Hizikia fusiformis (HFAE) using a solvent of 50% methanol and 1% $HNO_3$. We investigated the toxicity of the arsenic-rich extracts in zebrafish embryos through survival rate, heart rate, yolk sac edema size, cell death,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nd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hepatotoxicity of arsenic-rich extracts was assessed in the liver of adult zebrafish through real-time PCR and histopathology. The survival rates of embryos and adult zebrafish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at any concentration. At 100 ppm, embryos did not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rt rate, yolk sac edema size, cell death or ROS production. In addition, apoptosis-related genes in larvae and liver tissue were unaffected by treatment with arsenic-rich extracts. These data will help clarify that developmental changes, hepatic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are not associated with toxicity from arsenic-rich seaweed extracts in a zebrafish model.

해조류로부터 Arbitrary 및 ITS Primer들을 사용한 직접 PCR 유전자 증폭반응의 한계 (Limits of Direct PCR Amplification from Seaweeds Using Arbitrary and ITS Primers)

  • 김용국;진형주;박선미;진덕희;홍용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1
    • /
    • 1999
  • PCR 기법을 응용한 RAPD 방법은 대상 생물의 유전정보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도 arbitrary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함으로써 생물 종간의 유전적 표식자를 확인할 수 있는 간편하고 유익한 유전분석 방법이다. 이같은 RAPD 방법을 이용하여 해조류 방사무늬 김, 미역, 구멍갈파래에 대하여 DNA를 추출하지 않고 직접 생 엽체 및 생 사상체, 생 배우체를 PCR template로 사용하여 PCR product를 생산하였다. 그러나 specific primer를 이용한 nulear r DNA의 internal trancribed spacer (ITS) 부위는 생성물을 만들지 못하였다. 간편한 LiCl 방법에 의하여 추출된 DNA를 사용하였을 때는 IST 및 RAPD 모두 PCR product를 생산하였다. 방사무늬 김의 엽체 (haploid)와 사상체 (dip-loid)로 부터의 ITS 생성물은 동일하였으나 RAPD 생성물은 사용한 arbitrary primer에 따라 36-50$\%$의 다른 band가 만들어졌다. 또한 직접 생 조직을 사용하였을때와 추출 DNA를 사용하였을 때도 53-57$\%$의 다른 band가 만들어 줬다. 그러므로 RAPD 방법으로 유전분석 실험에는 동일한 ploidy의 조직을 template로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HepG2 cell에서 식용수산자원 추출물의 지질축적억제효과 (Inhibitory Activity of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by Various Marine Extracts in HepG2 Cells)

  • 김병목;정지희;김동수;김영명;정인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62-366
    • /
    • 2012
  • 수산물 추출물로부터 간세포내 지질축적억제효과 추출물의 탐색을 통해 지방간 형성 억제 활성물질을 밝힐 목적으로, 각 48종의 수산물 추출물의 사람 간암세포유래인 HepG2 세포주에서의 중성지질축적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8개의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지질축적억제효과를 보였고, 그 중 Pagrus major, Octopus minor, Enteroctopus dofleini,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Styela clava, Enteromorpha intenstinalis 등 6개의 추출물이 유효한 효과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질대사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의 발현 정도를 조사하고, 활성물질의 분리 및 정제 등에 관한 연구와 지방간 형성 억제 효과에 대한 기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실에서 사육한 말똥성게 Strongylocentrotus pulcherrimus (A. Agassiz)의 식성과 성장 (Feeding Habits and Growth of the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pulcherrimus (A. Agassiz) Reared in the Laboratory)

  • 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1-133
    • /
    • 1988
  • 고가의 식품으로 이용되는 말똥성게의 생식소의 소비가 증가됨에 따라 연안의 말똥성게 자원은 계속 감소하고 있어 이 종류에 대한 양식 기술개발은 중요한 연구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똥성게를 실내에서 양식할 경우 먹이로서 신선한 해조류를 대치할 수 있는 육상식물을 조사하였다. 해조류 6종류 (미역, 구멍갈파래, 지충이, 개지누아리, 모자반, 곰피), 육상식물 5종류 (시금치, 상치, 무우잎, 배추, 케일), 동물성 먹이 2종류 (바지락. 쇠고기)를 대상으로 말똥성게의 선택적 및 비선택적 식성과 영양 효과를 비교한 결과, 말똥성게의 먹이로서 육상 식물의 이용이 가능하였다. 미역을 공급한 경우 말똥성게의 체중의 성장은 가장 높았으나 생식소지수는 시금치, 무우잎 또는 상치를 공급할 경우가 미역의 경우보다 더 높았다. 시금치와 무우잎의 공급은 생식소가 성장하는 계절에 적합하고, 각이 성장하는 시기에는 상치 또는 배추가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무우잎은 식용으로 이용하지 않고 버려지므로 무우잎을 이용한 말똥성게의 양식은 매우 경제적일 것이다.

  • PDF

한국 연안 해조류 생물량의 연간 변동 양상: 경상남도 욕지도 지역 (Temporal Variation of Seaweed Biomass in Korean Coasts: Yokjido, Gyeongnam Province)

  • 최창근;김정하;정익교
    • ALGAE
    • /
    • 제23권4호
    • /
    • pp.311-316
    • /
    • 2008
  • The seasonal variation of marine algal biomass and community were studied with nondestructive sampling and quadrat method during May 2006 to April 2008 in the intertidal and subtidal zone at Yokjido. As result, total 120 species, 13 Chlorophyta, 34 Phaeophyta, 71 Rhodophyta and 2 Spermatophyta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major species which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total biomass were Ulva pertusa, Undaria pinnatifida, Ecklonia stolonifera, Sargassum horneri, S. serratifolium, Gelidium amansii and Prionitis cornea. The mean biomass was 235.5 g wet wt m$^{-2}$ in intertidal, 1,038.9 g wet wt m$^{-2}$ in 1 m, 1,013.1 g wet wt m$^{-2}$ in 5 m, and 19.7 g wet wt m$^{-2}$ in 10 m depths of mean sea level. Seasonal biomass change in intertidal zone, the peak season was in spring, while the lowest was in autum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marine vegetation was characterized by Ulva pertusa - Gelidium divaricatum - Gloiopeltis furcata - Sargassum thunbergii - Hizikia fusiformis at intertidal zone, and Caulerpa okamurae - Gelidium amansii - Chondrus ocellatus - Ecklonia stolonifera - Sargassum horneri - Gracilaria textorii at subtidal zone. These result indicates that the marine algal species and biomass of 1 m and 5 m depths in subtidal zone are greater than intertidal zone, and Ecklonia stolonifera and Sargassum spp. are the dominant species of Yokji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