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aria Pinnatifida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36초

감마선 조사된 미역귀(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Hot Water Extract of Seamustad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s and Treated with Gamma Irradiation)

  • 김다미;김경희;윤영식;김재훈;이주운;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604-1611
    • /
    • 2011
  • 미역귀를 이용한 가공식품개발을 위해 비조사구와 감마선 조사구의 미역귀 열수추출 분말을 첨가(1, 3, 5, 7%)한 쿠키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쿠키 반죽의 pH는 미역귀 열수추출 분말 첨가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밀도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쿠키의 퍼짐성은 분말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같은 첨가량에서 비조사구에 비해 조사구의 퍼짐성이 높음이 나타났다. 손실률은 대조구 및 실험구 사이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팽창률은 첨가량이 높을수록 증가함을 보였고 비조사구와 조사구를 비교하였을 때는 조사구의 팽창률이 더 높음을 보였다. 쿠키의 색도 측정 결과 중 L값(lightness)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b값(yellowness)은 비조사구에서는 첨가구간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조사구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a값(redness)은 비조사구에서 첨가구간의 유의차를 보이지 않은 반면, 조사구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함을 보였다. 쿠키의 경도는 미역귀 열수추출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항산화 활성 또한 7%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같은 첨가량에서 비조사구에 비해 감마선 조사한 첨가구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쿠키의 관능검사 결과 미역귀 열수추출 분말 첨가는 색, 냄새, 맛,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너무 많은 미역귀 열수추출 분말 첨가는 관능적인 기호도를 오히려 떨어 뜨리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선호도 결과 비조사 3% 첨가구와 조사 1% 첨가구의 선호도가 가장 좋게 나타났다. 이에 미역귀의 항산화 활성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항산화 활성의 유의적인 증가 지점에서 쿠키의 관능 선호도가 감소되므로, 적은 첨가량으로 쿠키의 품질 및 관능 특성, 기능성에서 우수하며 산업적으로도 활용 가능한 조사 1% 첨가구가 최적 조건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마선 조사에 따른 미역귀(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열수추출물 첨가 파운드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Made with Gamma Irradiated Hot Water Extracts of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 김다미;김경희;윤영식;김재훈;이주운;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460-1468
    • /
    • 2011
  • 감마선(50 kGy)을 조사한 미역귀 열수추출 분말을 첨가한 파운드케이크(0, 3, 6, 9%)를 같은 첨가량의 비조사 첨가구와 비교하여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반죽의 pH는 미역귀 열수추출 분말첨가에 의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으며 비조사 첨가구와 비교하여 조사 첨가구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파운드케이크의 높이, 부피, 비용적 및 굽기 손실률은 비조사 및 조사 첨가구에서 첨가량의 증가에 따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색도 측정결과, 명도에서는 미역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rust와 crumb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적색도의 경우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황색도에서는 crust와 crumb에서 경향 차이를 나타내는데, crust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crumb의 경우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역귀 열수추출 분말 첨가에 의한 경도 변화는 비조사 첨가구에 비해 조사 첨가구에서 낮은 값을 보이며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부착성 및 탄력성은 첨가량의 증가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검성 및 씹힘성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성을 나타내며 감소하였다(p<0.05). 저장기간에 따른 경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0일에 비하여 저장기간(5, 10, 15일)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나 저장기간에 따른 경향은 보이지는 않았으며, 탄력성 및 응집성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노화도는 대조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첨가구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파운드케이크의 항산화능 측정에서는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p<0.05)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사 첨가구는 대조구 및 비조사 첨가구보다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보여 감마선 조사에 의한 항산화 활성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에 대한 선호도를 제외하고는 조사 3%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높은 수율, 관능특성 및 기능성을 포함한 산업적 활용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미역귀 열수추출 분말 첨가량은 감마선 조사한 3% 첨가구가 최적 조건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역 (Undaria pinnatifida) 국수의 투유가 랫트 간장중의 활성산소 및 제거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own Algae (Undaria pinnatifida)-Noodle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in Liver of Sprague-Dawley Rats)

  • 최진호;김대익;박수현;김동우;백영호;김창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7-92
    • /
    • 2000
  • 간장중의 활성산소 및 제거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미역의 건조분말을 $10{\%},\;20{\%},\;40{\%}$-첨가 조제한 미역국수 ($10{\%},\;20{\%},\;40{\%}\;FBA-noodle$)를 4주동안 SD계 흰쥐에 투여하여 미역국수의 생리작용을 평가하였다. $10{\%},\;20{\%},\;40{\%}$ FBA-noodle의 투여그룹의 mitochondria의 ${\cdot}OH$ 생성은 대조그룹 대비 각각 $20{\%},\;25{\%},\;35{\%}$의 현저한 OH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10{\%},\;20{\%},\;40{\%}$ FBA-noodle의 투여그룹의 microsome의 ${\cdot}OH$ 생성도 대조그룹 대비 $12{\~}20{\%}$의 유의적인 ${\cdot}OH$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10{\%},\;20{\%},\;40{\%}$ FBA-noodle의 microsome의 $H_2O_2$의 생성은 유의적인 억제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지만, cytosol중의 $O_2^({\cdot}-)$ 생성은 $20{\%},\;40{\%}$ FBA-noodle에서 $10{\%}$$O_2^({\cdot}-)$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10{\%},\;20{\%},\;40{\%}$ FBA-noodle 투여그룹의 간장 mitochondria의 Mn-SOD 활성은 대조그룹 대비 $10{\~}15{\%}$의 Mn-SOD 활성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간장 microsome의 Mn-SOD 활성은 $10{\%} 및 20{\%}$ FBA-noodle 투여그룹은 Mn-SOD 활성의 유의적인 증가 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지만, $40{\%}$ FBA-noodle 투여그룹은 $12{\%}$의 유의적인 Mn-SOD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10{\%},\;20{\%},\;40{\%}$ FBA-noodle의 투여그룹의 간장 cytosol의 Cu, Zn-SOD 활성은 대조그룹 대비 $10{\~}20{\%}$의 Cu, Zn-SOD 활성의 유의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한편 간장 cytosol의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 (GSHPx) 활성을 평가하여 보면 $10{\%}, 20{\%}, 40{\%}$ FBA-noodle 투여그룹의 cytosol의 GSHPx 활성은 대조그룹 대비 $20{\~}40{\%}$의 매우 효과적인 GSHPx활성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10{\%}, 20{\%}, 40{\%}$ FBA-noodle 투여그룹의 mitochondria의 LPO의 함량을 비교하여 보면 $10{\%}$ FBA-noodle은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지만, $20{\%},\;40{\%}$ FBA-noodle은 $10{\%}$의 유의적인 LPO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10{\%},\;20{\%},\;40{\%}$ FBA-noodle 투여그룹의 microsome의 LPO의 함량은 $10{\%}$ FBA-noodle은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지만, $20{\%} 및 40{\%}$ FBA-noodle은 약 $10{\~}12{\%}$의 유의적인 LPO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미역 (Undaria pinnatifida) 국수가 SD계 흰쥐의 혈청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own Algae (Undaria pinnatifida)-Noodle on Lipid Metabolism in Serum of SD-Rats)

  • 최진호;김동우;김정화;김대익;김창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2-45
    • /
    • 1999
  • 미역분말-첨가 미역국수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생리적 효능을 구명하기 위하여 SD계 흰쥐에 4주 동안 미역국수 (BA-noodles)를 투여하여 중성지질 (TG), 총콜레스테롤 (TCh), LDL 및 HDL-콜레스테롤, 그리고 동맥경화지수 (AI)에 미치는 BA-noodles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SD계 흰쥐에 조제사료로써 4주 동안 사육하면서 $10\%,\;20\%\;40\%$ BA-noodles의 TG의 함량은 $84.78\pm3.52\~91.30\pm3.77$ mg/dl serum로서 대조군 ($99.77\pm4.25$ mg/dl serum: $100\%$ ) 대비 $10\~15\%$정도나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10\%,\;20\%\;40\%$ BA-noodles의 TCh의 함량은 $87.28\pm4.97\~91.00\pm3.72$ mg/dl serum로서 대조군 ($99.30\pm4.61$ mg/dl serum: $100\%$)대비 $8\~12\%$정도나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10\%,\;20\%\;40\%$ BA-noodles의 L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44.20\pm4.21\~46.00\pm4.41$ mg/dl serum으로서 대조군 ($53.75\pm2.18$ mg/dl serum: $100\%$)대비 $15\~18\%$나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10\%,\;20\%\;30\%$ BA-noodles 투여군의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각각 $25.36\pm1.12\~27.58\pm1.52$ mg/dl serum로서 대조군 ($23.80\pm0.77$ mg/dl serum: $100\%$) 대비 각각 $7\~16\%$정도나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끝으로 $10\%,\;20\%\;40\%$ BA-noodles 투여군의 AI는 $2.16\pm0.14\~2.59\pm0.17$로서 대조군 ($3.00\pm0.13$ : $100\%$) 대비 $14\~28\%$나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이들 기능성 미역국수의 투여는 성인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전해수 수세, 열풍건조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미역의 미생물 감소 효과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and Hot-Air-Drying with UV for the Reduction of Microbial Populations of Undaria pinnatifida)

  • 박시우;김꽃봉우리;김민지;강보경;박원민;김보람;안나경;최연욱;조영제;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8-44
    • /
    • 2015
  • 15% 전해수로 10분간 세척 후 증류수로 10분씩 5회 수세하여 48°C의 열풍 건조기에 UV 등을 설치하여 미생물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전해수 수세 후 생균수, 대장균군, 곰팡이수에서 모두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수세 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48°C에서 48시간 동안 열풍건조 시 미생물이 다시 검출됨을 확인하였고, 이에 열풍건조기 내에 UV 등을 설치하여, UV 조사 최적 시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UV 조사를 12시간 이상 처리 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전해수 수세 및 열풍건조 미역의 색도 결과, 전해수 수세구는 무처리구와 비교 시 황색도에서만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수세 후 열풍건조 시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색, 향, 맛 및 전체적 호감도 항목에서 무처리구와 전해수 수세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전해수 처리시 미역의 비린 맛 및 비린 향이 감소한다고 하였다. 또한 48°C, 48시간 열풍건조 동안 UV 0-48시간 조사 구간에서도 색, 향, 맛 및 전체적 호감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15% 전해수 수세 시 생미역의 미생물 증식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역의 비린 맛 및 비린 냄새를 줄여 관능적으로 나은 제품을 제조할 수 있었다. 전해수 수세 후 열풍건조 하는 동안 UV 조사를 12시간 실시할 경우 열풍건조기를 통한 미생물 오염을 억제할 수 있어 전해수-열풍건조-UV 병행 처리 시 미생물 제어효과가 우수한 건미역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마선 조사된 채취 미역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Genotoxicological Safety of Undaria pinnatifida Gamma-irradiated after Harvest)

  • 최종일;김재훈;송범석;김재경;이주운;전병수;안동현;변명우;박경숙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1-86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enotoxcity of gamma-irradiated Undaria pinnadifida after harvest for enhancing the storage and microbial safety during drying process. The harvested seaweed was irradiated with the doses of 1 and 10 kGy. The genotoxicity was evaluated by Ames test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and SOS chromotest. The results from all samples were negative in the bacterial reversion assay with S. typhimurium TA98 and TA100. No mutagenicity was detected in the assay, at both with and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The SOS chromotest also indicated that the gamma-irradiated U. pinnadifida did not show any mutagenicity.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d that gamma irradiation could be used for extending the shelf-life of U. pinnadifida.

어린 해삼(Apostichopus japonicus)용 사료 개발을 위한 실험사료의 사육효능 평가 (Evaluation of Experimental Practical Diets for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 김경덕;배기민;김강웅;이봉주;허상우;장지원;한현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66-371
    • /
    • 2017
  • Six experimental diets for juvenile sea cucumbers Apostichopus japonicu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current commercial diets. Sea cucumbers (50 per tank; initial mean weight $2.3{\pm}0.1g$) in three replicates of seven groups were fed one of six experimental diets (ED1, 20% wild-harvested Sargassum thunbergii powder; ED2, 20% commercial S. thunbergii powder; ED3, 20% Undaria pinnatifida and Ascophyllum nodosum powders; ED4, 40% U. pinnatifida and A. nodosum powders; ED5, 10% brewer's yeast; and ED6, 10% sea shell powder) or a commercial diet (CD) for 28 weeks. The survival rate in all groups was 85-94%,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he mean body weight of the sea cucumb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6 weeks after the feeding trial. The final mean weight of the sea cucumbers was highest in ED1, ED3, and ED4, followed by ED6, ED5, ED2, and CD, in decreasing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U. pinnatifida and A. nodosum powders could provide a substitute for the S. thunbergii powder commonly used in commercial sea cucumber diets. Thus, the EP4 diet formulation, which contains no S. thunbergii, could be used as a practical feed for juvenile sea cucumbers.

동해안 중북부 대진 해역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Daeji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 김영대;공용근;전창영;송홍인;박미선;이채성;유현일;김영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32-539
    • /
    • 2010
  • Seaweed biomass was estimated in the rocky subtidal zone of Daeji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using a destructive sampling method from February to November 2007. Monthly sampling was conducted at depths of 5, 10 and 15 m using 50 $\times$ 50 cm quadrats. A total of 73 species, including 5 chlorophytes, 25 phaeophytes, 43 rhodophytes and one seagrass were identified. Average seaweed biomass was 2,852.3 g wet wt. $m^{-2}$ and biomass values varied monthly from 1,189.8 g to 7,523.7 g. The species dominant in biomass were Laminaria japonica (481.7 g), Sargassum confusum (470.85 g), Undaria pinnatifida (422.57 g), Costaria costata (282.16 g), Odonthalia corymbifera (174.46 g), S. sagamianum (163.22 g) and S. horneri (122.18 g).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lgae was characterized by S. confusum and U. pinnatifida at 5 m, L. japonica and U. pinnatifida at 10 m, and O. corymbifera and L. japonica at 15 m depth. The C/P, R/P and (R+C)/P values were 0.20, 1.72 and 1.92, respectively.

Behavioral analysis of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reveals its feeding preference and attraction potential for brown alga, Sargassum horneri

  • Chae-Eun Yu;Yeo-Reum Kim;Gyeong-Eon Noh;Jong-Myoung Kim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5호
    • /
    • pp.355-365
    • /
    • 2023
  • The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s a highly valued and industrially important aquaculture species with growing demands of the expanding abalone aquaculture industry.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using the brown alga, Sargassum horneri, as a potential substitute for abalone feed,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feed preference and attractant effect of S. horneri on Pacific abalone. Our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 feeding-associated movement of abalone could be detected using a video tracking system under indirect illumination with dim red light. To further analyze the attraction potentials of various test materials, preferenc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vicel-coated glass plates with ground powders of various seaweeds (e.g., S. horneri, Saccharina japonica, and Undaria pinnatifida) and commercial abalone feed, together with coffee waste. Heat map analysis indicated greater attraction by the kelp S. japonica than by S. horneri and commercial feed, which showed similar preference levels. Feeding preference based on the area of Avicel eaten by abalone showed a significant preference for U. pinnatifida over S. horneri (feeding area: 68.6 ± 20.1% vs. 37.5 ± 22.4%, p < 0.05). Additionally, the feeding area was significantly greater for plates with S. japonica than for plates with S. horneri (44.0 ± 16.6% vs. 22.6 ± 15.4%,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ding area between commercial feed and S. horneri (31.7 ± 11.6% vs. 31.6 ± 20.2%, p > 0.05). The methanol extracts attracted abalone in the following order: U. pinnatifida > S. horneri > S. japonica > commercial feed > coffee waste. To determine the attractive effects of the components of methanol extracts, mixtures of methanol extracts of commercial fe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S. horneri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feeding preference upon addition of S. horneri up to 50% and 75%, suggesting its potential for use as an appetite-enhancing feed additive. This study identified conditions that can be successfully used to monitor the movement of Pacific abalone; the results of preference analysis confirmed that abalone exhibited similar attraction and feeding preference for S. horneri, compared with commercial feed.

Use of Exo-polygalacturonase to Improve Extraction Yields of Alginic Acid from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 Lee, Seung-Cheol;Oh, Jeong-Hoon;Hwang, Yong-Il;Kim, Jeong-M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3호
    • /
    • pp.317-319
    • /
    • 2002
  • Exo-polygalacturonase (EPG) from Rhizopus sp. was applied to the extraction of alginic acid from sea mustard to increase extraction yield. EPG digestion was examined under distinct conditions within temperatures from $25^{\circ}C$ to 5$0^{\circ}C$, pH 5 to 9, and treatment times from 0 to 36 hr. The optimal conditions fur alginic acid extraction with EPG were: pH 7.0 at 3$0^{\circ}C$ for 24 hrs. The EPG hot water extraction yield was 3.4 times higher yield than hot water extraction alone. Using EPG to extract alginic acid from sea mustard should be considered a viabl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extraction, with the advantage of reducing hazardous wastes such as strong acid and alkali sol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