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va pertusa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4초

Ulva pertusa 및 Sargassum horneri를 이용한 수중 Cd(II) 및 Pb(II) 이온의 제거 (Removal of Cd(II) and Pb(II) Ions in water by the Ulva pertusa and Sargassum horneri)

  • 김영하;박미아;박수인;김택제;이기창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803-809
    • /
    • 1998
  • Heavy metal ions in water were removed using algal biomass as adsorbents. Absorbents were dried for 3 days, ground them by 40~60 mesh and then were swelled in a buffer solution for 1hr. After being packed in the column, commercially available standard solution of Cd(II) and Pb(II) ions were diluted to get the suitable concentration and then it was eluted with the rate of 1mι/min. Heavy metals on the adsorbents were recovered with nitric acid. More amounts of Cd(II) or Pb(II) ions in green algae, Ulva pertusa, than in brown algae, Sargassum horneri, were adsorbed. Pb(II) ion was adsorbed more than Cd(II) ion in both algae. The pH effect of adsorbed amounts of Cd(II), Pb(II) ions on the biomass was shown the following order ; pH 10.5 > 8.5 > 7.0 > 5.5 > 3.5. Recovery ratio of metal ions front algae is shown higher in acidic or neutral conditions than it in alkalic ones. Pb(II) ion is recovered relatively more than Cd(II) ion in our system.

  • PDF

백령도 해조군집의 종조성과 생물량 (The Macroalgal Community of Bagryoungdo Island in Korea)

  • 백재민;황미숙;이재완;이욱재;김종인
    • ALGAE
    • /
    • 제22권2호
    • /
    • pp.117-123
    • /
    • 2007
  • The seasonal change of algal flora and intertidal community structures of Bagryoungdo Island was investigated at Dumujin from February to November 2006. The description of subtidal algal community was made in October by Scientific SCUBA-diving. The total of 43 species, including 6 Chlorophytes, 6 Phaeophytes, 29 Rhodophytes and 2 sea grasses were identified in this survey. The occurrence of species according to season, listed as follows, 26 species in winter, 34 in spring, 18 in summer and 18 in autumn. Three species, Laminaria japonica, Neorhodomela aculeata and Ulva pertusa were dominant. The algal zonation of intertidal zone was figured out by Porphyra spp., Gloiopeltis furcata, Caulacanthus okamurae, Gelidium divaricatum - Neorhodomela aculeata, Enteromorpha compressa - Ulva pertusa, Dumontia simplex, Laminaria japonica from upper to lower zone. The zonation of subtidal zone was figured out by Ulva pertusa - Laminaria japonica - Zostera marina (sea grass), crustacean red algal population in autumn. The average of biomass of macroalgae was measured as 119.4 g∙dry wt/m2.

Food Selection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on Various Diets

  • Kang, Kyoung-Ho;Hwang, Sung-Il;Zhang, Zhi-Feng;Kim, Jae-Min;Kim, Young-Hu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9-93
    • /
    • 2003
  • In this study, the food selection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on four various diets, Ulva pertusa, Laminaria japonica, Navicula spp., and artificial diet, was investigated. The abalones in Ulva pertusa and Navicula spp groups had the higher migration rate than the others. The artificial group had the lowest migration rate. As to the growth, Ulva pertusa group had the highest daily increment and the growth rate, which is 120.7 ${\mu}$m and 2.41%. The value of Navicula spp. group is 102.0 ${\mu}$m and 2.04% and that of Laminaria japonica group is 88.7 ${\mu}$m and 1.77%. The lowest one is 81.7 ${\mu}$m and 1.63%, which appeared at the artificial diet group. We suggest that, when breeding Haliotis discus hannai and the diets which is easy to be ingested and digested, as well as contains much nutrient content, should be used. If the artificial diet is used, it should contain low concentration of flesh-eating content.

  • PDF

Ecotypic Variation in Salinity Responses of Ulva pertusa(Chlorophyta) from the Korean Coast

  • Kim, Kwang-Young;Suh, Hae-Lip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1권1호
    • /
    • pp.1-6
    • /
    • 1996
  • Salinity ecotypes in Ulva pertusa Kjellman were examined for the growth responses of the three isolates taken from different salinity regimes. All isolates showed a broad salinity tolerance, but growth patterns were correlated with the salinity regime of their original habitat. The germlings from Anin exhibited optimum growth at the native salinity of 32%. The germlings from Yongyon which had hypersaline habitats were tolerable to high salinity, i.e. growth rates peaked at 40%, whereas those from Samgando which had low salinities achieved maximum growth rate at 24\%. The germlings of inter-isolate cross demonstrated intermediate growth response between that of their respective parents. Our data also clearly indicated intraspecific differences among the three isolates, which was interpreted as development of different physiological ecotypes. We conclude that U. pertusa may consist of several ecotypes, each of which has some capacity for physiological adaptation to salinity variations.

  • PDF

초기 착생생물 Ulva pertusa 포자와 Nitzschia pungens를 이용한 신방오제의 방오능 검증 (Evaluation of antifouling system of new antifouling agents using spores of the green alga, Ulva pertusa and diatom, Nitzschia pungens)

  • 신현웅;강슬기;손지수;전재혁;이한주;정상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36-742
    • /
    • 2015
  • 대형녹조류인 Ulva pertusa는 전 세계 연안에 서식하는 저서성 종으로 대발생 또는 인공구조물에 착생되어 경제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착생생물을 제어하기 위해 신방오제인 ziram, diruon, zinc pyrithione(ZnPT), copper pyrithione(CuPT), DBNPA, triclosan 등이 방오도료로 사용 중이나, 대형 및 미세조류를 이용한 신방오제들의 방오능 검증과 기초적인 연구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기 우점착생종인 구멍갈파래의 포자를 이용하여 방오제의 효능을 검증하고 생체막 형성의 우점종인 미세조류 Nitzschia pungens를 이용한 방오능을 검증하였다. 구멍갈파래포자의 운동성 검증에서 ziram과 ZnPT는 diuron, CuPT, DBNPA, triclosan보다 50% 높은 운동성 억제를 나타내었고 착생 검증에서는 ziram이 가장 낮은 착생률 1%로 나타났으며 CuPT는 $100{\mu}g/L$의 농도에서 다른 대조군에 비해 80%의 성장율 억제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신방오제의 방오능을 검증하여 향후 방오능 검증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효모 Pichia stipitis를 이용한 구멍갈파래 가수분해 추출물로 부터 바이오 에탄올 생산 (Bioethanol Production using a Yeast Pichia stipitis from the Hydrolysate of Ulva pertusa Kjellman)

  • 이지은;이상은;최운용;강도형;이현용;정경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3-248
    • /
    • 2011
  • 6탄당과 5탄당을 이용할 수 있는 효모 Picha stipitis를 이용하여 해조류인 구멍갈파래 가수분해 추출물의 단당류로부터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하는 반복 회분식 공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공정이 180시간 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으며, 약 30 g/L의 총환원당으로 부터 최고 평균 11.9 g/L의 바이오 에탄올이 생산됨을 확인하였다. 이 때 바이오 에탄올 수율은 0.40 (DNS 방법 기준)과 0.37 (TLC 방법 기준)이었으며, 이는 이론치의 78.4%와 72.5%에 해당하는 바이오 에탄올 수율에 해당한다. 이 결과를 다른 측면에서 분석하면, 본 연구 결과로 얻어진 반복 회분식공정에서 건조 구멍갈파래 1 kg에서 39.67 g의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멍갈파래의 가수분해 추출물로부터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고, 상업적인 대량생산이 가능한 공정기술로서 반복 회분식 방법이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산 용호동 일대의 저서 해조상 및 군집구조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Yongho-dong Area in Pusan, Korea)

  • 남기완;김영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74-384
    • /
    • 1999
  • 부산 용호동 일대의 저서 해조상 및 군집구조가 1996년 7월부터 1997년 4월까지 계절별로 각 transect line을 따라서 방형구법에 의하여 조간대와 조하대 지역에서 조사되었다. 이 지역에서 남조식물 3종, 녹조식물 13종, 갈조식물 26종, 홍조 식물 57종으로 총 99종이 동정 분류되었다. 이중에서 35 분류군은 연중 출현하였으며, Ulva pertusa와 Corallina pilulifera는 4계절 우점 하여 나타났다. Enteromorpha spp.와 Ulva spp.는 주로 상부와 중부에 분포하는 반면에, Symphyocladia latiuscula, Chondria crassicaulis, Corailina pilulifera 및 Sargassum spp.는 주로 하부지역에 분포하였다. 단위면적당 평균생물량은 $1,241 g/m^2\~1,648 g/m^2$의 범위로서, 봄에는 낮았고 여름에 높았다. 종다양도지수는 봄에 최대값을, 가을에 최소값을 기록하였다. UPGAM에 의한 군집분석결과, 조사된 5개의 지점은 외해에 노출되어 있는 지역(transects 1, 2, 3)과 부산항 쪽으로 면하여 있어서 비교적 덜 노출되어 있는 지역 (transeco 4, 5)의 2개의 군으로 분리되었다. 외해에 노출되어 있는 지역은 주로 갈조식물인 Sargassum과 Hizikia가, 덜 노출되어 있는 지역에서는 Ulva pertusa와 Lomentaria가 주로 발견되었으며, 양 지역 모두에서는 석회조류인 Corallina pilulifera가 일년 내내 우점하여 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조사지역에서는 과거에 비하여 출현종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근래에 본 조사지역 인근의 연안 해양환경에 부하될 수 있는 물리, 화학적인 잠재적 오염원을 고려할 때, 차후 본 지역의 해조 식생의 변화에도 시사하는 바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마산만 조간대에 서식하는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분포 패턴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s of Marine Benthic Algae at Intertidal Zone in Masan Bay)

  • 곽석남;허성회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9-185
    • /
    • 2009
  • 마산만 조간대에서 서식하는 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분포패턴을 2007년도에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42종의 해조류가 서식하였으며, 이 중 녹조류 5종, 갈조류 8종, 그리고 홍조류가 29종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Enteromorpha linza, Ulva pertusa, Sargassum thunbergii, Gelidium amansii, G. divaricatum, Corallina pilulifera, Gracilaria textorii, 그리고 Polysiphonia morrowii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점종들은 수직분포가 뚜렷하였는데, 조간대 상부에는 U. pertusa, G. divaricatum가, 중부에는 E. intestinalis, E. linza, S. thunbergii, G. divaricatum이 우점하였다. 한편 하부에는 U. pertusa, Undaria pinnatifida, S. thunbergii, G. amansii, G. divaricatum, C. pilulifera이 주로 출현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출현종수는 계절 및 정점에 따라 변하였다. 겨울에 가장 많은 38종이 출현하였으며, 가을에는 28종으로 가장 적었다. 정점별로는 정점 4, 6에서 가장 많았으며, 정점 1, 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해조류 군집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지도 및 MDS 분석 결과에서는 해조류의 종조성 및 현존량이 각 정점의 지형적인 차이 및 조류, 해수의 움직임과 같은 물리해양학적인 특징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산 영도의 해조상과 곰피(Ecklonia stolonifera Okamura) 군락 (Algal Flora and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Laminariaceae) Population of Youngdo in Busan, Korea)

  • 최창근
    • ALGAE
    • /
    • 제22권4호
    • /
    • pp.313-318
    • /
    • 2007
  • Studies have been made of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at intertidal zone and subtidal zone of Youngdo at Busan. In this area, a total of 69 marine algal species including 10 Chlorophyta, 17 Phaeophyta and 42 Rhodophyta was identified. Dominant species in coverage were Enteromorpha linza, Ulva pertusa, Gelidium divaricatum, Hildenbrandtia rubra and Chondrus ocellatus throughout the year. Enteromorpha linza, Ulva pertusa, Porphyra yezoensis, Gelidium divaricatum, Corallina pilulifera, Grateloupia elliptica and Chondrus ocellatus vertically distributed in intertidal zone, while Ecklonia stolonifera, Gelidium amansii, Prionitis cornea, Gracilaria textorii, Acrosorium polyneurum and Phycodrys fimbriata in subtidal zon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ubtidal zone were characterized by Ecklonia stolonifera at 1 to 5 m depths. During a year, biomass and length of Ecklonia stolonifera gradually decreased from March to January, but increased from February. Zoosporangial sori were observ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In conclusion, number of species in this area was remarkably reduced as compared to the previous data at Busan and it’s vicinity.

구멍갈파래 추출물에 의한 참돔 근육의 화학성분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Muscle from Red Sea Bream (Pagrus major)by Ulva pertusa Extract)

  • 배태진;강동수;최옥수;이영재;김경은;김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447-455
    • /
    • 2000
  • A eight weeks feed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dietary dimethyl-$\beta$-propiothetin (DMPT) levels on growth and chemical components in red sea bream (Pagrus major). The content of DMPT extracted from Ulva pertusa by auroclaving was 32.5mg%. Body weight gain, feed efficiency and feed intak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dietary DMPT level. After eight weeks of feeding trial, moisture content decreased with supplemented DMPT level, while crude protein and lipid contents increased with dietary DMPT level. Amino acid contents of muscle was elevated in the DMPT added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Amino acid composition of muscle in fish fed the diets supplemented DMPT was not different to that of control group. Fatty acid contents of muscle in fish increased with dietary DMPT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