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nar Nerve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6초

원위 상완골 분쇄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 (The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Comminuted Fractures of Distal humerus)

  • 조남수;박성우;정기연;이용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8권2호
    • /
    • pp.97-104
    • /
    • 2005
  • Purpose: To report the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comminuted fractures of distal humeru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comminuted fracture of distal humerus were enrolled. According to the AO classification, A2.3 was 1 case, A3.2, 2 cases, A3.3, 8 cases, B1.3, 1 case, B2.3, 1 case, C2.2, 5 cases, C2.3, 4 cases, C3.2, 3 cases and C3.3, 7 cases. As fixation technique, 17 cases were fixed by double plates, 4 cases by only K-wires, 4 cases by only screws, 3 cases by K-wires and screws and 4 cases by one plate and screws. The mean ag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was 49 years(range, $19{\sim}77$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6 months(range, $8{\sim}51$ months). Results: At the last follow-up, the mean maximum flexion was $116.4^{\circ}\;(range,\;85{\sim}140^{\circ})$ and the mean loss of terminal extension was $11.8^{\circ}\;(range,\;0{\sim}40^{\circ})$. The averag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was $91.4^{\circ}\;(range,\;55{\sim}100^{\circ})$. Overall 29 cases(91%) showed good to excellent results. The mean range of motion of extraarticular and intraarticular fracture group was $105.5^{\circ}\;(range,\;65{\sim}140^{\circ})$ and $104^{\circ}\;(range,\;55{\sim}140^{\circ})$, respectively. The average elbow score of both groups was$93^{\circ}\;(range,\;70{\sim}100^{\circ})$ and $90.7^{\circ}\;(range,\;55{\sim}100^{\circ})$. Over 90% showed more than good results. 30 cases(94%) showed complete bony union but two cases, nonunion. One case of the nonunion cases underwent replating with bone graft as revision surgery and total elbow arthroplasty was performed in the other case. At the last follow-up, 27 patients(84.4%) showed subjective satisfaction. Conclusio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ppropriate surgical technique for comminuted fractures of distal humerus showed good results, which were not affected by age at the time of operation, fixation methods and anterior transposition of the ulnar nerve. Transolecranon approach may be considered as good choice for intraarticular comminuted fractures of distal humerus.

후경골 동맥 유리 피판에 의한 수부 전기 화상의 재건 (Reconstruction of Electrical Burned Hand by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 최수중;서은민;이창주;장준동;김석우;이상훈;이동훈;서영진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4-23
    • /
    • 2004
  • Introduction: The hand and wrist ar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electrical burn. Skin defect with damage or exposure of underlying vital structure requires coverage by skin flap especially in case of the need for late reconstruction. We are reporting 4 cases of electrical burned hand treated by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The commonly used skin flaps such as scapular flap or groin flap are too bulky so that they are not satisfactory in function and cosmetic appearance. So we tried to cover them with a more thin skin flap. Materials and Method: From January 2002 to June 2003, four cases of hand and wrist electrical burn were covered using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All the cases were due to high voltage electrical burn. Age ranged from 31 years to 38 years old and all the cases were male patients. Recipient sites were 2 wrist, one thenar area and one knuckle of 2.3rd MP joint. Additional procedures were flexor tenolysis (simultaneous), FPL tenolysis and digital nerve graft (later) and extensor tendon reconstruction (later). Result: All the flap have survived totally without any complication including circulatory concern about the donar foot. Posterior tibail arterial free flap was so thin that debulking procedure was not required. Conclusion: For skin coverage of the hand & wrist region,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reliable anatomy, easy dissection and easy anastmosis with radial or ulnar artery and possibility of sensory flap. The most helpful advantage for hand coverage is its thinness. So we think this flap is one of the very useful armamentarium for reconstructive hand surgery.

  • PDF

동통과 골성 운동 제한이 있는 주관절에서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변연 절제 관절 성형술 (Debridement Arthroplasty using Posteromedial Approach in Elbow Joint with Pain and Bony Limitation of Motion)

  • 천상진;이동호;차승한;김휘택;서정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67-75
    • /
    • 2009
  • 목적: 동통과 골성 운동 제한이 동반된 주관절에 대해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변연 절제 관절 성형술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주관절의 동통과 골성 운동 제한으로 후내측 도달법을 통한 변연 절제 관절 성형술을 시행 받은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관찰 기간은 평균 27.6(13~52)개월이였다. 통증에 대해서 Visual Analogue Scale, 술 전과 술 후 굴곡, 신전, 운동범위를 측정하고 기능에 대해서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를 측정하여 분석, 평가 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VAS (visual analogue scale )는 술 전 평균 4.5에서 술 후 평균 1.1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p<0.001 )를 보였다. 관절 운동 범위는 술 전 평균 $61.6^{\circ}$(0~90)에서 술 후 $109.4^{\circ}$(80~12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MEPS 역시 술 전 59.4에서 술 후에는 85.6으로 증가하였다(p<0.001). 술 후 혈종이나 주관절 불안정증 같은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후내측 도달법을 이용한 변연 절제 관절 성형술은 쉽게 척골 신경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고 주관절 내측 측부 인대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주관절 전 구획(all compartment)에 광범위한 변연 절제가 가능하여 동통과 골성 관절 운동 제한이 동반된 주관절에서 동통의 감소와 관절 운동 범위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흉곽출구증후군 환자의 수술성적 (The Surgical Outcome of Thoracic Outlet Syndrome)

  • 황정주;정은규;백효채;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2호
    • /
    • pp.844-848
    • /
    • 2005
  • 배경: 흉곽출구증후군은 상지에 분포하는 신경, 혈관 다발의 눌림에 의해 통증, 감각이상 및 부종 등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국내에는 그 보고된 예가 적고 특히 수술까지 이른 경우는 드물다. 상기 질환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의 임상양상 및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상기 질환으로 진단되어 수술까지 시행한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의 적응증은 1)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지장을 줄 정도의 통증 및 감각마비, 부종 등의 증상이 있으며 2) 적절한 물리치료 후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고 3) MRI및 혈관촬영에서 늑골 및 쇄골에 의하여 흉곽 출구의 구조물이 확실하게 눌린 소견이 있으며 4)경추부 추간판 탈출증, 근염, 상완신경총 이하의 신경병변 등을 배제하기 위한 검사를 하여 해당사항이 없는 환자에 한정하였다. 수술 방법은 12예는 액와부접근법을, 2예는 쇄골상부 접근법을, 나머지 2예는 쇄골하부접근법을 사용하였다. 걸과: 환자의 연령은 평균 23.9세($\pm$6.3)였으며 남자가 15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늑골 기형이 있는 환자가 4예(25.0$\%$)였고 나머지는 늑골의 이상은 없었다. 우측병변이 8예(50.0$\%$), 좌측병변이 5예(31.3$\%$), 양측병변이 3예(18.7$\%$)였다. 수술 후 9$\∼$26개월의 추적관찰에서 재발률은 12.5$\%$ (2/16)였다. 합병증으로는 1예에서 수술 중 팔신경얼기의 견인에 의한 손상으로 발생한 척골 신경 마비와 술 후 사진에서 호전되었음에도 지속적인 통증이 1예 있었고, 지방괴사와 혈종에 의한 상처의 파열 및 재수술이 3예였다. 결론: 흉곽유출증후군 환자에서 수술이 효과가 있는가에 대하여는 논란이 되고 있으나, 물리 치료에 반응이 없는 환자에게는 적극적인 수술이 좋은 치료 방법이며 빠른 사회 생활의 복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고령의 상완골 원위부 관절내 분쇄골절의 수술적 치료: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과 일차적 주관절 전치환술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Outcome after Surgical Treatment of Intra-articular Comminuted Fracture of the Distal Humerus in the Elderl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Versus Total Elbow Arthroplasty)

  • 김두섭;윤여승;이창호;우주형;나중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2호
    • /
    • pp.130-137
    • /
    • 2012
  • 목적: 골다공증이 있는 노인환자에서 상완골 원위부 관절부위 골절로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과 주관절 전치환술 시행 후 기능적 결과에 대해서 평가 보고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상완골 원위부 관절내 골절을 주소로 내원한 65세 이상의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8명은 후방 도달법을 이용하여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하고 (Fig. 1), 6명은 주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Fig. 2). 평균 추시 기간은 16.3 개월 이였으며 골절형태는 AO 분류로 8명이 C2, 16명이 C3 형태의 골절이였다. 추시 시 모든 환자들은 방사선촬영 및 신체검사를 시행하였고, Mayo 주관절 수행점수, 및 DASH 점수를 이용하여 임상적 결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Group I 18예 모두 골유합 되었으며 골절부터 골유합까지 평균 기간은 14주였다. 합병증으로 2예에서 주두골 절골부위에 불유합이 관찰되었으며 척골신경증상을 보였던 2예 중 1예는 전방이전술에도 불구하고 개선되지 않았다. Mayo 주관절 수행점수는 평균 87.0점이였으며, DASH 점수는 평균 32.4점이였다. 마지막 추시 시에 시행한 이학적 검사에서 굴곡은 평균 121.0도 (95~145도), 굴곡구축은 평균 12도 (0~35)이였다. Group II 6예 모두 추시 기간내 합병증은 없었으며, Mayo 주관절 수행점수는 평균 89.1점 이였으며, DASH 점수는 평균 44.3점이었다. 마지막 추시 시에 시행한 이학적 검사에서 굴곡은 평균 125.1도 (100~145도), 굴곡 구축은 평균 12.6도 (0~30)이였다. 결론: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의 상완골 원위부 관절내 골절 환자에서 적절한 환자 선택시 내고정술 뿐만 아니라 전치환술에서도 단기 추시 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에 대한 수술적 치료 - 측와위에서 견인을 이용한 관절경 수술 - (Operative Treatment for Degenerative Arthritis of Elbow - Arthroscopic surgery with traction in Lateral position -)

  • 변재용;김보현;황찬하;강신택;김정만;김형준;이동엽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8-183
    • /
    • 2006
  • 목적: 주관절의 퇴행성관절염에 대해 측와위에서 견인 후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고 그 결과와 술식의 유용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주관절의 퇴행성관절염 21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5례 여자가 6례였으며 평균 연령은 47세, 우세지가 14례였다. 모든 례에서 수술은 전신 마취하에 측와위에서 10파운드의 견인 상태로 관절내 활액막염, 골성 유리체, 관절의 전방 및 후방의 골극을 제거 하였다. 수술 후 최대 신전 상태에서 고정을 하였으며 2일부터 CPM을 이용한 운동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전 관절 운동 범위는 평균 $30{\sim}115$도였으며 수술 후 평균 $5{\sim}130$도로, 신전과 굴곡 각각 25도 16도, 전체적으로 41도 증가하였다. 통증에 대한 VAS상 7.5점에서 2.3점으로 감소, 기능 만족도는 1.8에서 9.0으로 증가하였다. 합병증은 2례로 1례는 척골 신경의 이상 감각증상이 있었으나 보존적 치료에 소실되었고, 1례는 수포가 형성되었으나 치유되었다. 결론: 주관절 관절경 수술시 측와위에서의 견인은 넓은 시야 확보에 도움을 주었다. 간단한 견인 방법으로 주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에 대해 관절경 수술을 시행한 바 통증의 의 해결과 관절 운동 범위 회복에 있어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