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iju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1829년 순조 기축진찬의궤(己丑進饌儀軌) 자경전 정일 진찬 미수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Soonjo GichukJinchanEuigwe JagyeongjeonJeongil Misu in 1829)

  • 김하윤;김명희;김아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2-329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Gichuk years JagyeongjeonJeongilJinchan Misu. The banquet, Misu is offered to the king by the crown prince, crown princess, and vassal, according to procedure. JagyeongjeonJeongil Misu are offered as 49 dishes spanning seven courses, so seven dishes in each misu are offered. Various types of food, such as Gawjeong, fruit, soups and side dishes, are placed. Misu involves only the king, crown prince, and crown princess in the banquet. The number of misu dishes are different for the King and prince. The table used is called the Joochil Sowonban and the tableware used is brassware and pottery. Sangwha used Peonies, Chinese rose, Red peach blossom-samjihwa, and Red peach blossom-byulgeonhwa in each misu.

조선시대 파주목 관아의 위치 추정과 공간구성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Estim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Paju Mok Government Office of Joseon Dynasty)

  • 백종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98-104
    • /
    • 2019
  • 파주목은 경기 서부의 행정 및 교통의 중심지로서 조선시대 지방행정처로, 왕의 능행 시 행궁의 역할을 하던 장소이다. 조선시대 한양과 의주를 잇는 의주로에 인접한 파주목 관아는 경기 북부 지역의 중요 장소로서 왕이 황해북도 지역에 위치한 제릉과 후릉, 파주 영릉과 장릉을 능행할 때 머물던 장소이다. 파주목 관아는 1900년대 이전까지 유지되어 오다 일제강점기 이후 관아 건물이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행궁으로서의 기능이 훼손된 것으로 보이며, 한국 전쟁에 의해 대부분의 건축물이 사라지며 현재는 파주목 관아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소실된 파주목 관아의 복원을 위해서는 파주목 관아가 위치한 위치와 주요 건축물 등 관아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파주목 관아와 관련된 고문헌과 고서화의 조사 및 분석, 일제강점기 시절 지형도와 지적도, 토지조사부 등을 분석하여 파주목 관아의 위치를 추정하고 공간구성, 규모 등을 밝혀낸다면 파주목 관아 복원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从 《漂海录》 中人物形象看明朝社会现象 (A Study on the Social Phenomena of the Ming Dynasty from the Description of Characters' images in the Work of "Piao Hai Lu")

  • 최창원
    • 산업진흥연구
    • /
    • 제3권1호
    • /
    • pp.73-77
    • /
    • 2018
  • This paper written by Choi Bu based on "Piaohailu". This book consists of 3 volumes and it is his travelogue; Choi Bu has departed from Jeju Island to Naju, Jeolla province in the end of 1487, but it drifted on his way, so arrived to Zhejiang Province, China(Mid-Ming Dynasty) in early 1488. In this place, he interrogated with a reason for Japan pirates, but he released soon. And his waterway journey from Hangzhou to Beijing, he had received the award in Beijing which is the grace of the Emperor;and his land route journey from Beijing through Liaodong to Uiju, Pingan Province. Afterwards, this book had been translated in Japanese, English etc; and it had been awarded an alias of 'Chaoxian's Marco Polo'.From the description of the characters in the Mid-Ming Dynasty in the work of Pyohae-rok, the essay makes a study on the knowledge of ancient Korean scholars to China, and looks at the different social and political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ing Dynasty from the eyes of Korean scholars. It summarizes that when we face history squarely, it is important to refer to and draw on the foreign works recorded by ancient Korean scholars.

CFD Analysis of Natural Convection Flow Characteristics of Various Gases in the Spent Fuel Dry Storage System

  • Shin, Doyoung;Jeong, Uiju;Jeun, Gyoodong;Kim, Sung Joong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19-28
    • /
    • 2016
  •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natural convection flow inside the canister of spent fuel dry storage system with different backfill gases by utiliz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code. Four working fluids were selected for comparison study. Helium currently used backfill gas for canister, air, nitrogen, and argon are frequently used as coolant in many heat transfer applica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helium has very distinct conductive behavior and show very weak natural convective flow compared to the others. Argon showed the strongest natural convective flow but also the worst coolability. Air and nitrogen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to each other. However, due to difference in Prandtl number, nitrogen showed more effective natural convective flow.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perimental validation for the nitrogen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coolability other than currently commercially used helium.

진찬의궤의 구성에 관한 고찰 (A Study on composition“Jin Chan Eui Gue(Bangqet record)”of Chosun Dynasty)

  • 한복진;황혜성;한복려;김상보;이성우;박혜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42
    • /
    • 1991
  • Since the year 1795(in the 19th year of King Jungjo), the form of Banquet Record was established. In the year 1827(in the 27th year of King Sunjo), the formality of Banquet was made at Ja-kyung Palace for the first time. Thereafter it was utilized by all banquets, So it was called the“model of courtesy”. The compostion of Jinchan Uigue of the year 1887(in the 24th year of King Gojong) was identified as follows; Banquet Record was composed of 4 Volumes. In Preface, there were Data choice(Taekil), Personal rank his name(Zwamok), Pictures of ceremonies(Dosik). In 1st Volume, there were King's order(Jungyo), Answer of King's question(Yeonseol), Musuic Record(Akjang), Compliment for King(Chisa), Poem for royal family(Junmun), Procedure of ceremony(Uiju), Works of theauthorities concerned(Samok), Resource indices(Gyemok), Letters from chief of the authorities concerned (Gyeas), Official letters(Imun), Letters to headquarters from local officers(Negwan). In 2nd Volume, there were Consult for budget(Pummok), Letters from to local officers from head quarters(Gamyul), Banquet menu(Chanpum), Utensil item(Gijong). In 3rd Volume there were repairment(Suri), Arrangement(Besul), Umbrella and flag for ceremonies (Ui Jang), Guard(Uiwui), List of quests(Neyebin), Ministers(Munanjesin), Musician and dancer's name and costume (Gongryung), Musical instrument(Akgipungmul), Rewards(Sangjum), Expenditure of banquet(Jaeyoung).

  • PDF

Investigation and Standardization on Current Practice of Renal Transplant Pathology in Korea

  • Cho, Uiju;Suh, Kwang Sun;Kie, Jeong Hae;Choi, Yeong Jin;Renal Pathology Study Group of Korean Society of Pathologists,
    • 대한이식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70-176
    • /
    • 2017
  • We need to establish an informative guideline to increase inter-institutional and inter-observer reproducibility of renal transplant diagnosis, and to improve the diagnostic ability of pathologists in Korea. A first nation-wide survey for renal transplant pathology was conducted by Renal Pathology Study Group of the Korean Society of Pathologists in 2016, to provide the continued excellence in the transplantation pathology laboratory, and to improve the diagnostic ability for the best treatment of transplant patients. This survey revealed the significant variations in scale, work load and biopsy indications for the renal transplant pathology in various institutions in Korea. The Banff classification were used by all institutions for the diagnosis of renal transplant pathology, but different formats were used: most institutions (70%) used the "2013 Banff classification" while the others were using "2007 Banff classification" (20%) or even older formats. In daily diagnostic practice of the renal allografts, difficulties that pathologists encounter were quite diverse due to different environments they work in. Most respondents agreed that standardized diagnostic practice guidelines, regular education on renal transplant pathology and convenient ways of consultation are further needed. We are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enhancement of the expertise of renal pathologists and to increase inter-institutional and inter-observer reproducibility by 1) development of a set of virtual slides of renal allograft biopsies for the training, 2) validation and gathering expert's consensus on the core variables of rejection diagnosis by using virtual slides, and 3) continued education by the developed virtual slide atlas.

모바일 기부 앱의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Empirical Research on Types and Service Attributes of Mobile Donation Applications)

  • 김민경;최의주;최보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07-125
    • /
    • 2016
  • 모바일 앱 시장이 발달하면서 사용자들이 앱을 사용한 만큼 기부에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모바일 기부 앱이 등장하였다. 새로운 형태의 모바일 기부 앱은 모바일 앱의 기능과 기부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기부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별화된 모바일 앱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앱 시장을 확장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종류의 모바일 기부 앱 서비스가 사용자의 사용 의도를 증대시킬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익연계 마케팅 이론을 바탕으로 어떠한 형태의 모바일 기부 앱이 사용 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직접적 혹은 간접적 모바일 기부 앱이 지각된 효과성과 공익 관여도를 매개로 하여 모바일 기부 앱 사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험을 모바일 앱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간접적 모바일 기부 앱이 직접적 모바일 기부 앱보다 지각된 효과성과 공익 관여도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며 PLS 경로 분석을 통하여 지각된 효과성과 공익 관여도가 높을수록 모바일 기부 앱 사용 의도를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추가연구에서는 간접적 모바일 기부 앱의 실용적, 쾌락적 속성이 지각된 효과성과 공익 관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실용적 속성이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일원분산분석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기부 앱 활성화를 위해 실증적인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봉수당진찬(奉壽堂進饌)의 무대와 공연 요소 분석 (Analysis of the Stage and Performance Elements for Bongsudang-jinchan Banquet in Joseon Dynasty)

  • 송혜진
    • 공연문화연구
    • /
    • 제18호
    • /
    • pp.413-444
    • /
    • 2009
  • 본고에서는 1795년 화성 행궁에서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아 열린 봉수당진찬의 의례와 악무를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및 "정조실록", "홍재전서(弘齋全書)"등의 봉수당진찬 의례기록과 <화성능행도병>등의 도상자료, 일기체의 한글가사 작품인 이희평(李羲平)의 <화성일기(華城日記)>등의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무대와 공연요소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잔치의 주인공에게 충(忠)과 효(孝)의 의미를 담은 음악과 춤, 꽃과 음식, 술과 글을 예를 갖춰 올리는 궁중연향은 예악(禮樂)의 원리에 바탕을 둔 국가의례로서 조선왕조 500년 동안 고유한 음악문화를 형성해왔다. 그러나 조선왕조가 막을 내리면서 '예'라는 상징적이며 총체적인 틀 안에서 상호 유기적인 관계에 놓여있던 연례의 음악과 춤들이 개별 악곡과 춤으로 해체되어 '작품화'되었고. 궁중음악과 춤의 철학이나 원리, 시공간에 대한 이해는 현저히 축소된 채, 음악과 춤의 전통은 형식과 예술적 표현 중심으로 변화해왔다. 1990년대 이후, 궁중의례 전통의 재현(再現)을 목적에 둔 연구와 행사가 추진되면서, 이와 연관된 공연예술 활동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봉수당진찬은 다양한 방식으로 현대무대화 하고 있다. 그러나 원전(原典)의 재현(再現) 및 복원(復原) 문제, 완성도 및 예술성에 대한 문제는 과제로 남아있으며, 지금까지는 "원행을묘정리의궤"에 수록된 의주의 외형적 재현에 관심을 두었을 뿐, 무대조건이나 공연요소에 중점을 둔 심도있는 분석은 부족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무대구성과 공연요소 중심으로 분석해 본 결과, 조선시대 궁중연향 중에서 유일하게 '행궁'에서 개최된 봉수당진찬은 '예악의 정치'를 의례와 악무로 구현하는 궁중연향의 기본적인 면모를 보여주면서도 '군신동락(君臣同樂)'의 친화의 비중이 높은 연향이었음을 밝혔다. 내연과 외연의 성격이 섞인 봉수당진찬에서는 가림막을 최소화하여 신분의 차서(次序)와 남녀유별(男女有別)의 원리를 충족시키면서도 삼면에 둘러친 휘장 안에 외빈의 자리를 마련함으로써 술과 음식, 음악과 춤을 다 같이 공유하도록 배치되었다. 또한, 연향공간의 상징성을 내포한 차일을 백관들의 공간에 치고, 임금이 솔선하여 선찬(膳饌)과 산화(散華)를 명함으로써 군신동연(君臣同宴)의 의미와 범위를 확장시킨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봉수당진찬이 '예악의 원리'가 강하게 드러나는 여느 궁중 연향에 비해 '정(情)'을 나누는 화친(和親)에 기반을 두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봉수당진찬에서는 여느 내연에서보다 임금의 역할과 비중이 높았으며, 특히 의주 외의 기록으로 전하는 여러 가지 상황 - 7작 이후에 정조가 신하들을 가까이 불러 나눈 대화, 신하들에게 음식과 꽃을 내림, 잔치를 주제로 직접 시를 짓고, 신하들에게도 이에 화답하게 한 일 등-은 의주에 따른 단선적인 연향의 진행에 변화를 주고, 연향의 의미를 확장시키는데 한 몫 하였다. 이밖에, 봉수당진찬의 주악과 정재의 구성을 분석해 본결과 연향에서 여러 인물들의 대화와 움직임이 매우 절제된 것은 여느 궁중연향과 비슷하지만, 춤과 음악을 통해 구현된 소리와 색채감은 매우 다채로웠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봉수당진찬에서는 정조 이전에 치러진 내연에 비해 다양한 종류의 정재를 상연하였고, 이 중에는 새롭게 초연된 레퍼토리도 있었으며, 또 기존의 공연을 새롭게 재구성한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선유락>이나 <검무> 등, 지방 관아 및 민간의 레퍼토리를 궁중연향으로 수용한 점, 풍류방에서 즐겨 연주되기 시작한 생황을 <학무> 와 연계한 것은 전통적인 규범과 관습에 매이지 않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궁중연향의 '열린구조'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