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biquity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6초

Pinworm Infection at Salmon Ruins and Aztec Ruins: Relation to Pueblo III Regional Violence

  • Reinhard, Karl J;Camacho, Morgan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6호
    • /
    • pp.627-633
    • /
    • 2019
  • The study of coprolites has been a theme of archaeology in the American Southwest. A feature of archaeoparasitology on the Colorado Plateau is the ubiquity of pinworm infection. As a crowd parasite, this ubiquity signals varying concentrations of populations. Our recent analysis of coprolite deposits from 2 sites revealed the highest prevalence of infection ever recorded for the region. For Salmon Ruins, the deposits date from AD 1140 to 1280. For Aztec Ruins, the samples can be dated by artifact association between AD 1182-1253. Both sites can be placed in the Ancestral Pueblo III occupation (AD 1100-1300), which included a period of cultural stress associated with warfare. Although neither of these sites show evidence of warfare, they are typical of large, defensible towns that survived this time of threat by virtue of large populations in stonewalled villages with easily accessible water. We hypothesize that the concentration of large numbers of people promoted pinworm infection and, therefore, explains the phenomenal levels of infection at these sites.

The Effect of Mobile e-Learning Contents Platform Characteristics on Reuse Intention

  • Na, Jun-Gyu;Kim, Dongye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83-191
    • /
    • 2020
  • IT 발달과 함께 스마트기기로 많은 학습자가 이러닝 콘텐츠를 접하고 있으며, 콘텐츠 제공자들은 학습자의 재이용 의도와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에 기반한 이러닝 학습을 접해본 200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이러닝 콘텐츠 플랫폼 특성이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의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은 콘텐츠 품질, 상호작용성, 편재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일 경우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특성은 상호작용성이며, 여성일 경우 콘텐츠 품질과 편재성이었다. 스마트폰을 이용해 하루 평균 한 시간 미만 이러닝을 학습할 경우 콘텐츠 품질이 재이용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반대로 한 시간 이상 학습할 경우 편재성, 편리성, 상호작용성이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주었다. 아직도 많은 이러닝 기업들이 PC 기반의 기술이나 단기적 홍보 중심의 사업 전략을 유지해오고 있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해당 기업들이 장기적 사업 전략의 관점에서 스마트폰 기반의 플랫폼 변화와 그 핵심 요인들에 대한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융복합 시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유용성이 팀 과제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rvice Usefulness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on Team Project Performance in the Convergence Era)

  • 홍세일;김병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183-193
    • /
    • 2016
  • 최근 팀 프로젝트에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MC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를 활용한 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CS를 활용한 협업이 팀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조직 측면에서 팀 몰입과 팀 신뢰가 팀 프로젝트 성과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MCS 유용성의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MCS 유용성을 형성하는 주요 특성으로 유비쿼티, 복합적 사용, 사용 용이성을 고려하였다. 팀 프로젝트 수행 시 IT 서비스를 자주 활용하는 116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으며, PLS를 활용하였다. 연구 모형 분석 결과, 팀 신뢰는 팀 몰입과 팀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MCS 유용성은 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팀 프로젝트 성과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MCS 특성 가운데 사용 용이성만 MCS 유용성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유비퀴티와 복합 사용성은 MCS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소셜미디어 시대의 정보리터러시에 관한 소고 - 재정의,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formation Literacy in Social Media Age: Focusing on Redefinition, Contents and Media of Information Literacy)

  • 오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85-406
    • /
    • 2013
  • 본 연구는 정보리터러시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리터러시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재정의를 위하여, 오늘날의 정보환경을 표현하는 정보리터러시 2.0, 사회적 맥락, 메타리터러시, 트랜스리터러시, 소셜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조사, 분석하였다. 정보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사회적 관계', '미디어 융합과 다양성 인식', '정보에 대한 평가적 안목' 등을 추출하였다. 교육의 방법(미디어)을 결정하기 위하여, 소셜미디어의 편재성을 조사하였고, 조사결과 소셜미디어는 편재성이 높은 미디어로서, 정보리터러시 교육에 활용되는 것이 적절함을 밝혔다. 후속연구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정보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effect of image search, social influence characteristics and anthropomorphism on purchase intention in mobile shopping

  • KIM, Won-Gu;PARK, Hyeonsuk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6호
    • /
    • pp.41-53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search service provided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ocial impact characteristic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anthropomorphism, and conduct empirical analysis to identify the constituent factors affecting purchase intention. To clarify. Through this, I tried to pres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Research design was that characteristics of image search service (ubiquity and information quality) and social impact characteristics (subjective norms, electronic word of mouth marketing) are affected by mediation of satisfaction and flow, therefore, control of perceived anthropomorphism have an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o increase. For analysis, research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developed questionnaires, so that EM firm which is a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e has collected data. This was conducted on 410 people between the 20s and 50s who have mobile shopping experiences. SPSS Statistics 23 and AMOS 23 had been used to perform necessary analysis such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easi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ed on this data. Results: first, ubiquity, information quality and subjective norm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satisfaction and flow parameters. Second, satisfaction and flow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ubiquity, information quality, and subjective norms and purchase intentions. However,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between eWOM informa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ird, perceived anthropomorphism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information quality and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quality and flow. Conclusions: The information quality of image search servic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moderate effect of perceived anthropomorphism in this relationship, which may be an academic contribution to the distribution science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pose a distribution strategy that improves purchase intention by utilizing image search service and anthropomorphism in practical business and providing a more enjoyable immersive experience to customers.

서비스 특성과 개인적 특성이 위치기반광고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Servic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Usage Intention of Location-Based Advertising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장성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310-732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위치기반광고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요인과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위치기반광고, 서비스 특성, 개인적 특성 그리고 기술수용모형(TAM)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치기반광고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화와 편재성은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가심은 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쿠폰이용성향과 플로우 경험은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도는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인화와 편재성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여성이 남성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쿠폰이용성향과 플로우 경험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치기반광고에서 이용의도에 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모바일홈쇼핑의 특성과 개인성향이 소비자의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bile Home Shopping's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Flow)

  • 주선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97-205
    • /
    • 2021
  • TV홈쇼핑사들은 TV채널과 전화주문방식이라는 채널에 국한되지 않고 모바일을 통해 채널 확장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웹을 이용한 상호작용성과 편재성을 넘어서 모바일 라이브방송을 통해 더욱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있다. 모바일을 통해 라이브톡을 통해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에 중요시하고, 모바일 내의 자체 방송을 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는 활동은 놀이성향, 충동성향과 같은 소비자의 개인성향에 따라 소비자 플로우에 대한 차이도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홈쇼핑의 특성인 양방향성, 즉시성과 편재성이 소비자의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개인성향에 따라 모바일홈쇼핑에 대한 소비자의 플로우 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양방향성은 플로우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즉시성 역시 플로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재성은 플로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성향 중 놀이성향이 높은 사람은 플로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동성향이 높은 사람 역시 플로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플로우 상태는 모바일홈쇼핑을 이용하려는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특성 및 서비스 품질과 몰입에 관한 연구 (A Research about Smartphone Characteristics and Service Quality and Commitment)

  • 조현숙;양승복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특성과 서비스 품질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편리성, 오락성, 편재성으로 구성된 스마트폰 특성과, 상호작용성, 개인화로 구성된 서비스 품질이 정서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스마트폰 특성 중 오락성은 정서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편재성은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비스 품질 중 개인화는 정서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스마트폰 특성 중 오락성과 서비스 품질 중 개인화 기능을 강조하면, 정서적으로 규범적으로 몰입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 수준평가를 위한 다계층적 접근법 (A Multi-Layered Approach to Assessing Level of Ubiquitous Computing Services)

  • 권오병;김지훈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43-61
    • /
    • 2006
  • 향후 전자시장에서 운영될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상용화를 위해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이슈로 대두된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평가의 중요성과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의 평가는 아주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더우기, 무엇이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인지의 기준에 대한 연구도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를 평가하는 통합 방법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계층 접근법은 기술적 관점 뿐만 아니라 행태적인 관점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평가 모델의 실행 가능성을 보이기 위해, 3가지의 사용 예를 연구하고 평가하였다.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이 관계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on Relationship Quality)

  • 안수경;류은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1호
    • /
    • pp.99-111
    • /
    • 2017
  • This research analyzed the influence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on customer loyalty through relationship quality. The data were collected subjects in their 20's-30's who had purchased fashion products using a mobile shopping channel. through an online survey using the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Exploratory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imensions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relationship variables.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comprised four dimensions including tangibility, ubiquity, security and personalization. Customer relationship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four dimensions such as satisfaction, trust commitment and loyalt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quality and customer loyalty. Tangibility, ubiquity and securit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and trust, but personalization had an influence on only satisfaction.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ommitment and loyalty. Trust had an influence on only commitment. In conclusion, relationship quality was found to be the appropriate model to explain the influence of mobile commerce characteristics on consumer' loyalty in mobile fashion shopp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