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biquitous-City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2초

유비쿼터스 공공서비스 도입 우선순위에 대한 실증분석: 공무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Necessity of Ubiquitous Public Service: Focused on Chungju City Public Officials' Recognition)

  • 강민구;김태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219-236
    • /
    • 2007
  •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들은 지역마다 지리적 환경적 경제적 기반을 고려한 유비쿼터스 테마를 가지고 U-City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지방정부들이 추진하고 있는 U-City 건설 계획은 시민에게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와 공급자인 도시정부에서 제공해야 할 유비쿼터스 행정 서비스가 무엇인가에 대한 담론의 과정이 미흡한 상황에서 공급자 위주의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에 있다. 위와 같은 문제 의식 하에 본 연구는 충주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공공부문에 U-공공서비스의 도입의 필요성과 서비스의 유형, 그리고 제공해야할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그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부문 영역에 필요한 서비스 유형 및 우선순위는 일반행정부문, 의료 복지부문, 안전 방재부문, 교통 물류부문, 문화 관광부문과 교육부문의 순서로 분석되었다.

  • PDF

Ubiquitous-Booth 설계 연구 (The study on ubiquitous booth design)

  • 오현정;전정우;백송훈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 /
    • pp.169-172
    • /
    • 2007
  • The word of U-City means next generation information city. U-City mixes both high technology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ubiquitous information in city to improve easy life in city, quality of life, personal security in city life, and well-fare service and to make business in new area. To provide information and joy of life to citizen in U-city, we will design U-Booth among IT infrastructure solutions. In this article, we will study designing city-type U-Booth and summarize designing point of U-Booth in terms of the specific place. At last, we want to say about the role of U-Booth in U-city. In this article, we want to study designing point of U-Booth and important parts in terms of the specific place of U-Booth.

  • PDF

U-City 인프라 개선을 위한 네트워크 무선화 방안

  • 이봉춘;하덕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41-844
    • /
    • 2009
  • 현재 우리사회는 정보화시대에서 유비쿼터스 시대로 전환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도시화는 각 국가별 및 지역별로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적절한 네트워크 환경의 재구성은 도시경쟁력 제고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도시화는 신도시와 기존도시로 구분되어 추진된다. 예를 들면, 신도시에서와는 달리, 기존도시에서는 네트워크의 지중화 설계가 어려우므로 통신네트워크가 점유되고 있는 물리적 공간에 대한 제한적 요소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신도시와 기존도시의 유비쿼터스 추진사례를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였으며 기존도시의 재생개념으로 추진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도시 인프라의 특성을 중점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도시의 유비쿼터스 추진에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네트워크 무선화 정책방안도 제시한다.

  • PDF

청소년 디지털 영화제를 통한 교육 문화 u-진주 구축 방안 연구(진주시 사례) (A Study for u-Jinju Construction Plan through Youth Digital Film Festival in Education Culture(The City of Jinju Case))

  • 안병태;김용만;정범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67-74
    • /
    • 2006
  • 최근, 우리는 국가적으로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반으로 국가를 경영하고 발전시키는 u-Korea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많은 지자체들이 자체적으로 자신의 환경에 가장 적합한 미래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u-City 구축 계획을 작성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관련 계획들의 동향과 특성을 분석한 후 진주에서 국제 청소년 디지털 영화제를 모바일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기술 기반으로 기획한다. 그리고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한 분야인 디지털 영화산업 전략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진주 전역을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지원되는 도농 복합형 u-진주를 위한 초기 수준의 연구 방안을 제시한다.

  • PDF

u-City 환경에서의 전력 시스템 구에 관한 연구 (Research for Power System Configuration under u-City Environment)

  • 서종완;김종부;고연성;신명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8-25
    • /
    • 2008
  • 각종 Ubiquitous 환경에 대응되는 기기와 건축 구조물 및 환경 인프라를 갖춘 u-City에 대한 연구 및 건설은 많이 이루어져 있으나, 기기 동작에 필수적인 전원 공급 설비와 그 구성 및 전원 설비와 장치들 간의 상호 접속 규격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u-City 환경에서 안정적이며 사용자에게 안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설비에 대한 구성과 전력 공급 설비와 Ubiquitous 환경에서 사용되는 양방향 상호 통신이 가능한 전기 기기와의 통신 규약에 대한 연구 결과와 실증적인 구현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유비쿼터스 공간구현의 도시계획적 모색 : 디지털미디어스트리트를 사례로 (The Creation of Ubiquitous Space from an Urban Planning Perspective : The Case of Digital Media Street)

  • 변창흠;신중호;김동완;김준형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45-156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nd analyzes urban planning process to be adopted to create ubiquitous space in city environment, using City of Seoul's Digital Media Street Project as a case study. The Digital Media Street will become the main pedestrian thoroughfare in the Digital Media City (DMC) in Sangam area, planned to become the world's first ubiquitous environment in full urban scale. Ubiquitous space is reinterpreted from an urban planning perspective, and a new approach to planning such a space is introduced, including strategies to couple technology, space, and human activities. Methodology, role of different actors, planning proces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 are examined in turn, and this yields further agenda for improvements that can be made in planning ubiquitous spaces in the future.

효율적인 u-서비스 구현을 위한 정보 인프라 연계성 분석 (Analysis on Connection of Information Infra for Efficient Ubiquitous-service Realization)

  • 최필순;강준묵;박준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97-507
    • /
    • 2011
  • 2006년부터 새롭게 등장한 유비쿼터스 도시는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유비쿼터스 도시기술을 활용하여 건설된 유비쿼터스 도시 기반시설 등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유비쿼터스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 로 유비쿼터스 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도시의 구현을 위해서는 도시기반시설의 핵심인 공간정보를 바탕으로 도시를 효율적으로 건설해야하며, 각종 정보들 간의 연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을 중심으로 u-서비스를 구현함에 있어 기반이 되는 공간정보와 행정정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지능형국토정보시스템과 행정정보시스템의 주요 기능, 생산데이터 및 연계절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u-서비스를 위한 세부업무, 소요데이터 및 취득방법을 도출하였다. 또한 관련 정보 인프라의 공동활용을 위한 연계성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u-서비스 구현을 위한 정보 연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u-City의 공간개념과 도시건설의 주체별 역할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and Physical Planning and the Role of Participants for Ubiquitous City)

  • 최봉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38-445
    • /
    • 2009
  • 최근 u-City에 대한 각급 정부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신도시 및 도시재개발에 있어서 u-City를 표방하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u-City의 공간개념이나 공간계획에 대한 고민이 미흡한 가운데 단순히 첨단기술의 집합체로써 u-City에 대한 계획 및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u-City를 단순히 첨단기술의 집합체로써만이 아닌 시민의 생활을 담아내는 공간이며 기초적 도시의 환경으로써 정의하고, u-City에 대한 관점과 최근 동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기초로, 본 연구는 바람직한 u-City 건설을 위한 공간계획적 접근 방안으로써 계획단계, 건설단계, 관리운영단계를 제시하고, 끝으로 각 단계 및 공간위계에서 필요로 되는 구성주체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U-City 활성화를 위한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방향 (A Study on the Direction of Legal System Improvement for Ubiquitous City Activation)

  • 장환영;사공호상;이재용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67-78
    • /
    • 2015
  •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은 2010년까지 신도시 지역에 활발히 추진된 U-City 사업의 제도적 근간으로 작용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기성시가지 재활성화, 도시재생 중심으로 국가의 도시정책이 변화됨에 따라 신도시 중심의 절차법적 성격이 강한 U-City법 개정에 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도시정책의 변화와 U-City를 둘러싼 여건변화를 감안하여 U-City법 개정방향을 U-City 사업다양화, U-City 관리운영 강화, U-City 사업지원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세부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 도시정책 흐름 및 수요를 반영함에 있어 실무적 관점에서 현행 U-City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살피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적인 U-City 발전 및 확산을 법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City 사업평가모델 개발 및 활용방안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valuation Model for Ubiquitous City Project)

  • 김병건;김정훈;임춘성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7-104
    • /
    • 2012
  • 국가의 신성장 동력으로써 유비쿼터스 도시(U-City)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U-City는 국가 차원에서 수행되는 미래전략 프로젝트이며, 도시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지속가능한 도시 조성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도 미래도시 연구의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정부, 산업계를 비롯하여 학계에서도 U-City 개발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무분별한 사업 추진과 장기적인 효과에 대한 가시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칫 하면 난개발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보다 안정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U-City 사업평가에 대한 근본적인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U-City 사업을 점검하기 위한 평가체계를 제시하고, U-City에 적용하여 평가체계의 활용방안을 논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