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biquitous sensor network

검색결과 932건 처리시간 0.032초

RFID와 센서 데이터 처리를 위한 EPCIS 저장소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PCIS Repository for RFID and Sensor Data)

  • 현승렬;이상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151-162
    • /
    • 2010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자동 식별, 센서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등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EPCIS(EPC Information Services)는 RFID 용용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태그 정보를 관리하는 저장소와 관련하여 EPCglobal에서 제안된 표준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객체 인식과 환경 정보 변화에 의존하는 객체 검색을 가능하게 하기위해 EPCIS 저장소를 설계하고 개발 및 구현한다. 또한 위치를 기반으로 하고 지속적으로 변하는 대용량 자료라는 면에서 RFID 자료와 유사한 센서 데이터를 통합처리 관리하여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환경 변화에 따른 객체 인식 등의 융합 처리가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무선 센서망을 위한 새로운 동적 가중치 할당 알고리즘 개발 (The Development of New dynamic WRR Algorithm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조해성;조주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93-298
    • /
    • 2010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의 핵심은 저전력 무선 통신기술과 효율적 라우팅을 위한 적절한 자원할당 기술이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자원할당을 위해서는 서비스에 따른 차별화된 자원할당 방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유선망에 사용되는 PQ와 WRR의 단점을 보완하여 USN에 적용이 가능한 스케줄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센서 네트워크에서 각 클래스의 큐 상태를 체크하여 퍼지 이론을 적용한 제어 정책에 따라 WRR 스케쥴러의 가중치를 동적으로 할당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EF 클래스의 패킷 손실률에서 WRR 스케쥴러 방식보다 평균 6.5% 향상되었으며, AF4 클래스에서는 PQ 방식보다 평균 45%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Indoor Passive Location Tracking and Activity Monitoring using WSN for Ubiquitous Healthcare

  • Singh, Vinay Kumar;Lee, Seung-Chul;Lim, Hyo-Taek;Myllyla, Risto;Chung, Wan-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5권4호
    • /
    • pp.382-388
    • /
    • 2007
  • Indoor location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was applied for the status evaluation and activity monitoring of elderly person or chronic invalid at home. Location awareness application is transparent to the daily activities, while providing the embedded computing infrastructure with an awareness of what is happening in this space. To locate an object, the active ceiling-mounted reference beacons were placed throughout the building. Reference beacons periodically publish location information on RF and ultrasonic signals to allow application running on mobile or static nodes to study and determine their physical location. Once object-carried passive listener receives the information, it subsequently determines it's location from reference beacons. By using only the sensor nodes without any external network infrastructure the cost of the system was reduced while the accuracy in our experiments. was fairly good and fine grained between 7 and 15 cm for location awareness in indoor environments. Passive architecture used here provides the security of the user privacy while at the server the privacy was secured by providing the authentication using Geopriv approach. This information from sensor nodes is further forwarded to base station where further computation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of object and several applications are enabled for context awareness.

USN 센서 제어 및 정보 취득 시스템 (Control and acquisition system for USN sensors)

  • 남승현
    • 센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09-416
    • /
    • 2009
  • A lot of valuable-piece of information are acquisited through ubiquitous sensor network(USN) system composed of man-made sensors. The telemetry system used for communicating to access informations between nature and human-beings monitors and estimates the status of infrastructure, utilities and natural environments to prevent hidden disasters,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productivity in multi-directional views. That would be the reason of USN subsistence. This paper will be a review on how to build long-term USN system.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reviewing the sensor interface and the sensor network interface and its significance as the foundation stone for varying USN service profiles and showing its development example, and finally proposing a few of things to set up future-oriented USN open system.

웹 서비스 기반의 USN 응용 개발을 위한 응용서비스 모델 및 플랫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Service Model and Platform for Web Services Based on USN Application Developments)

  • 김창수;조극양;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5-488
    • /
    • 2010
  • 최근 인터넷의 보급 및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차세대 컴퓨팅 패러다임으로 불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시공간의 제약에 구애 받지 않고 인간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준이 될 것이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핵심 기술로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센서 정보를 표준화된 형태로 서술하기 위한 정보 서술 표준과 USN 센서 서비스에 대한 디렉토리 서비스 프로토콜 응용 표준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Experiments for utilizing GNSS in a shore area Sensor Network

  • Hojo, Harumasa;Yasuda, Akio;Fan, Chunming;Yoshida, Masashi;Koike, Yoshikazu;Minami, Masateru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2
    • /
    • pp.117-122
    • /
    • 2006
  • Modernized GNSS such as new GPS signals updated GLONASS and coming Galileo promises higher quality and higher reliability for users. Powerful technologies such as Internet, ubiquitous network technology and sensor network has been used to promote a safe and more secure lifestyle. This report describes experimental trials to combine these technologies namely GPS and Sensor Network into a high-performance system. GPS is used to enlarge the communication range, resolving the service area limitations, as a wider service area is required at shore areas compared to urban area. GPS position datum is also used as primary network routing information to get practical Sensor Network. Another application is the under water Sensor Network. Accurate GPS position and time are used to establish stable and high reliability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 This paper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project 'Harbor area Marine Ubiquitous Sensor Network', preliminary consideration and testing. Radio and acoustic communication is the main focus of this preliminary experiment.

  • PDF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절약형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t Energy Saving Protocol in Ubiquitous Sensor Network)

  • 오기욱;박미옥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21-128
    • /
    • 2013
  • 기존의 센서 네트워크 연구들은 센서 자체가 가지는 에너지 측면만 강조하였다. 그러나 실제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을 경우 특정 센서의 많은 활용으로 인해 센서 네트워크의 부분 단절을 초래한다. 이는 결국 센서네트워크가 오랜 시간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단점이 되어 오히려 특정 센서 에너지 효율성이 센서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센서 네트워크들이 클러스터로 구성되었거나 하나의 큰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센서의 에너지 효율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결국 센서 네트워크의 단절을 회피할 수 없다. 따라서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센서들을 고루 사용함으로써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들이 단절을 회피하도록 하여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센서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프로토콜로 구성된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센서 네트워크의 단절을 방지함으로써 구성된 센서 네트워크가 오랜 시간 유지되는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농업환경인자 측정 - 온도, 습도, 조도 - (Measurement of Agricultural Atmospheric Factors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 Temperature, Humidity and Light Intensity -)

  • 장영창;정선옥;한인송;노광모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6권2호
    • /
    • pp.122-129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wireless system for measuring agricultural atmospheric factors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USN). In the study, temperature, humidity and light intensity were selected and evaluated as major agricultural atmospheric factors. An USN system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by using Zigbex I and II (mote sensor nodes of MICA series) provided by Hanback Electronics, Korea. The system was tested in a greenhouse and an orchard.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suggested USN measuring system would be very effective on comprehensive measurement of the selected factors on the basis of time, day, spatial sequence with reasonable costs.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동 수목 활력도 측정 시스템 개발 (Developing the Automatic Measurement System of Tree's Vigor based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 심규원;전문장;김중규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61-71
    • /
    • 2007
  • 본 연구는 현재 인력기반 중심의 측정장비인 사이고미터가 가지고 있는 제약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목의 수세활력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이고미터와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배터리 수명은 약 1,844일 정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센서 네트워크 안정성 검증 결과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최대 거리는 130m로 나타나 산림지역이나 가로수 관리에 적용할 경우 조사 및 관리비용의 절감과 노동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