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biquitous sensor network

검색결과 932건 처리시간 0.034초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 국립공원 탐방객 통행량 계수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Visitor Counting System Based on Ubiquitous Sensor Networks in National Park: Case Study of Nogodan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 이주희;심규원;배민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7-8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national park visitor counting system using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This system is composed of a sensor node, sink node, gateways, CDMA module, server, and cli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1) stable data transmission distance was possible within 100 meters between sensor nodes, 2) the developed counting sensor system showed a network communication stability level of 88.3 percent in 1.2m wide trails. When installed in concentrate use areas or forks of national parks, the visitor counting system will not only contribute to provide reliable visitor counting, but also to improve the quality of national park visitor service, to manage park facilities and natural resources more efficiently, to achieve an information oriented national park system.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Technologies)

  • 이현재;이헌택;신현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70-7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21세기의 사회적 환경적 그리고 기술 발전의 방향까지도 대표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센서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 발전 동향을 살펴본다. 지금 연구되고 있는 다양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기술들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예측하기 위해 센서 네트워크 기술 개요를 살펴보고, 센서 네트워크의 요소기술인 하드웨어 플랫폼과 센서 OS 기술을 알아보며, 센서 인터페이스 기술과 센서 미들웨어에 대해 연구한다.

  • PDF

유비쿼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소모를 위한 MAC 프로토콜 분석 (MAC Protocol Analysis for Effective Energy Consumption in Ubiquitous Sensor network)

  • 김동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27-930
    • /
    • 2012
  • 센서 네트워크 기술이 각광을 받으면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 노드로 구성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각 센서 노드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임으로써 네트워크의 지속시간을 늘이는 것이 무엇 보다도 중요하다. 기존의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은 채널 폴링 기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 하였으나 각 노드의 Duty Cycle이 길어짐으로써 발생하는 에너지 소모에 대한 해결책은 제시하지 못하였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를 디자인할 때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가 제한된 자원을 가진 센서 네트워크에서 주어진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 하여서 네트워크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노드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제안된 라우팅 프로토콜을 비교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방안을 제시 한다.

  • PDF

칼만 필터 알고리즘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센서 기반 임베디드 로봇시스템의 온라인 동적 모델링 (Online Dynamic Modeling of Ubiquitous Sensor based Embedded Robot Systems using Kalman Filter Algorithm)

  • 조현철;이진우;이영진;이권순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779-784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Kalman filter based system modeling algorithm for autonomous robot systems. State of the robot system is measured using embedded sensor systems and then carried to a host computer via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We settle a linear state-space motion equation for unknown robot system dynamics and modify a popular Kalman filter algorithm in deriving suitable parameter estimation mechanism. To represent time-delay nature due to network media in system modeling, we construct an augmented state-space model which is mainly composed of original state and estimated parameter vectors. We conduct real-time experiment to test our proposed estimation algorithm where speed state of the constructed robot is used as system observation.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생활환경 자동제어 시스템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ic Control System of Living Environment Based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 윤지훈;문승진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6
    • /
    • 2008
  •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technique is widely applied to variety of information fields such as home automations, logistics, traffic controls, public administrations, health and environment monitoring and etc. It is particularly useful in the areas where energy consumption is minimal and where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which generates streams of data, are required. In this study,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a living environment automatic control system which collects the streams of temperature, humidity, light and noise data of a simulated house setting in real-time fashion, then controls the home environmen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users favorites.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 proposed system from the currently existing similar system, we have demonstrated not only the feasibility of collecting data using sensor network in the controlled environment but also the ability to control the various household equipment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s.

센서 네트워크 응용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RE Module for Sensor Network Applications)

  • 동성수;이종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2궈1호
    • /
    • pp.60-65
    • /
    • 2006
  • Recently, various ubiquitous networking services ar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easy living. In general, new ubiquitous networking services require the new infrastructure including equipments and devic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place existing infrastructure and devices with new ones in the home or office because of cost and maintenance problems. In this paper, we developed small-size web based R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or sensor network applications. The designed RF systems are implemented using commercial system on a chip (SoC) on existing infrastructure and devices. The developed systems are tested for light control and temperature sensing and they are applied to sensor network training courses for students and engineer as well as various practical applications.

실내환경 모니터링시스템을 위한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의 플러딩 방식의 질의모델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looding-based query model in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indoor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 이승철;정상중;이영동;정완영
    • 센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8-177
    • /
    • 2008
  • An indoor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using IEEE 802.15.4 based wireless sensor network is proposed to monitor the amount of pollutant entering to the room from outside and also the amount of pollutant that is generated in indoor by the building materials itself or human activities. Small-size, low-power wireless sensor node and low power electrochemical sensor board is designed to measure the condition of indoor environment in buildings such as home, offices, commercial premises and schools. In this paper, two query models, the broadcasting query protocol and flooding query protocol, were designed and programmed as a query-based routing protocol in wireless sensor network for an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The flooding query routing protocol in environment monitoring is very effective as a power saving routing protocol and reliable data transmission between sensor nodes.

USN 환경에서 적응형 이동 단말의 개발 동향 (Developing Trend of an Adaptive Mobile Terminal in Ubiquitous Sensor Network Environments)

  • 이현재;오창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027-103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공중 무선망과 비인가 무선망과 같은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환경에서 사용자의 복잡한 설정이나 조작 없이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로서의 적응형 무선 단말(Adaptive Mobile Terminal)의 개발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적응형 무선 단말은 사용자의 이동이나 무선 자원의 변동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적응형 이동 단말은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별로 독립적인 하드웨어 구조를 가져야 한다.

  • PDF

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에서 Bird's-Eye View 서비스 (Bird's-Eye View Service under 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 Environments)

  • 김주환;남두희;백성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25-231
    • /
    • 2013
  • Bird-Eye View 서비스는 특정 도로구간에서 안개, 폭우, 폭설 등으로 운전자의 시계가 매우 불량할 때 주변 UVS 차량 위치정보 및 주행속도 기반의 안전거리 경보를 제공하여 안전주행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규정할 수 있다. 시계 확보 불가능 시 V2V 통신을 통해 주변 UVS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대거리 정보를 표출함으로써 추돌 및 충돌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한편, 차량 간 상대속도를 기반으로 안전거리를 산정하고 안전거리가 미 확보될 때에는 경보를 제공하여 운전자의 안전한 주행을 유도한다. 이를 기존의 장소중심 교통정보수집방식에서 이제는 각 개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u-TSN(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 즉, 센서네트워크 기반에서 능동적, 자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교통서비스 인프라를 구축 정보수집, 가공, 제공의 일련의 프로세스로 구현하였다.

감시정찰 센서네트워크에서 제대규모 식별 기법 (Echelons Scale Identification Scheme of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Sensor Network)

  • 최지혜;권태욱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38-444
    • /
    • 2010
  •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sensor network system is an application system based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technology. This technique is to avoid accidental close combat, to minimize the consumption of limited military resources and personnel, and to provide battlefield situational awareness information for the unit's future combat missions.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 echelons scale identification scheme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sensor network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