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biquitous healthcare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4초

A wireless sensor network approach to enable location awareness in ubiquitous healthcare applications

  • Singh, Vinay Kumar;Lim, Hyo-Taek;Chung, Wan-Young
    • 센서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77-285
    • /
    • 2007
  • In this paper, we outline the research issues that we are pursuing towards building of location aware environments for mainly ubiquitous healthcare applications. Such location aware application can provide what is happening in this space. To locate an object, such as patient or elderly person, the active ceiling-mounted reference beacons were placed throughout the building. Reference beacons periodically publish location information on RF and ultrasonic signals to allow application running on mobile or static nodes to study and determine their physical location. Once object-carried passive listener receives the information, it subsequently determines it's location from reference beacons. The cost of the system was reduced while the accuracy in our experiments was fairly good and fine grained between 7 and 12 cm for location awareness in indoor environments by using only the sensor nodes and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Passive architecture used here provides the security of the user privacy while at the server the privacy was secured by providing the authentication using Geopriv approach. This information from sensor nodes is further forwarded to base station where further computation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of object.

U-헬스케어를 위한 패치형 체온 측정 시스템 (Patch Typ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for Ubiquitous Healthcare)

  • 김현중;양현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628-1634
    • /
    • 2011
  •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의료와 접목되어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의료서비스인 U-헬스케어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U-헬스케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 중 안정적인 생체정보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며 사용자를 구속하지 않으면서 생체정보를 간편히 측정할 수 있는 생체정보 측정 모듈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체정보를 모니터링 하고자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U-헬스케어를 위한 무선센서네트워크기반의 소형, 경량의 온도 센서노드를 제작하고 패치 형태로 신체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활동에 불편함이 없이 실시간으로 체온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QRS검출에 의한 ECG분석 기능을 갖춘 무선센서노드를 활용한 u-헬스케어 시스템 (An u-healthcare system using an wireless sensor node with ECG analysis function by QRS-complex detection)

  • 이대석;;정완영
    • 센서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61-368
    • /
    • 2007
  • Small size real-time ECG signal analysis function by QRS-complex detection was put into sensor nodes. Wireless sensor nodes attached on the patient’s body transmit ECG data continuously in normal u-healthcare system. So there are heavy communication traffics between sensor nodes and gateways. New developed platform for real-time analysis of ECG signals on sensor node can be used as an advanced diagnosis and alarming system for healthcare. Sensor node does not need to transmit ECG data all the time in wireless sensor network and to server PC via gateway. When sensor node detects suspicion or abnormality in ECG, then the ECG data in the network was transmitted to the server PC for further powerful analysis. This system can reduce data packet overload and save some power in wireless sensor network. It can also increase the server performance.

웹 2.0 기반의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Web 2.0)

  • 정필성;오영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4C호
    • /
    • pp.321-328
    • /
    • 2012
  •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는 휴대가 간편한 소형 컴퓨팅 장치로서 기존 컴퓨터에서 수행하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맞춤형 개인화 서비스가 가능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동작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플랫폼의 특성에 따라서 호환성이 떨어지기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해당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플랫폼에 맞게 다시 개발해야 하는 제약사항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표준 웹 개발 언어인 HLTML5와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인 jQuery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에서 호환성을 가지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모바일 플랫폼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컴퓨터에서도 호환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Bluetooth기반의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심전도 측정시스템 설계 (Design of an Efficient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System based on Bluetooth Network using Sensor Network)

  • 김선재;오원욱;이창수;민병묵;오해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6호
    • /
    • pp.699-706
    • /
    • 2009
  •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발전과 IT-BT-NT를 포함한 기술간 컨버전스 경향은 유비쿼터스 헬스케어(u-Healthcare)의 실현을 가속화하고 있다. u-Healthcare 시스템은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대량의 생체신호를 신속히 처리 분석하여 의료진에게 전달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환자에게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u-Healthcare 시스템은 지그비(Zigbee)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센서 노드가 수집한 데이터를 전부 전송함으로써 베이스 노드의 처리 부담이 컸으며 센서 노드의 통신 빈도수가 많았다. 본 논문에서는 지그비 프로토콜 대신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하여 생명과 직접적 연관이 있는 생체신호 전달에 있어 보다 뛰어난 전송속도를 제공하며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모바일 기기들에 효율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u-Healthcare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미리 정의된 이벤트에 속하는 데이터만 선별하여 베이스 노드로 전송하는 EEF(Embedded Event Filtering) 기법을 적용하여 통신 빈도수와 처리 비용을 줄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기존의 심전도 측정시스템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임을 확인하였다.

건강정보 교환 표준에 기반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based on Health Information Exchange Standards)

  • 이인근;김화선;조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73-280
    • /
    • 2012
  • 의료 환경의 변화로 인해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u-헬스케어) 서비스 및 시스템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u-헬스케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개인건강기기, 무선통신을 통해 개인건강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기, 그리고 정보수집기로부터 전송되는 개인건강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건강정보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이 결합된 복합적인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기 및 시스템 사이의 상호운용성을 위해 국제적으로 IEEE 11073이나 HL7과 같은 건강정보 교환 표준들이 발표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표준을 적용한 u-헬스케어 시스템의 개발하여 실제 환경에 적용한 연구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강정보 교환을 위한 국제 표준에 기반하여 혈당, 혈압, 체성분과 같은 건강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u-헬스케어 시스템을 개발한다. 또한 경북대학교병원 내분비계 질환자 대상의 임상시험을 통해 개발한 시스템의 안정성을 검증하고, 운영 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찾는다.

An ECG Monitoring and Analysis Method for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in WSN

  • Bhardwaj, Sachin;Lee, Dae-Seok;Chung, Wan-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5권1호
    • /
    • pp.7-11
    • /
    • 2007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ign and implement a new ECG signal monitoring and analysis method for the home care of elderly persons or patients,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WSN) technology. The wireless technology for home-care purpose gives new possibilities for monitoring of vital parameter with wearable biomedical sensors and will give the patient freedom to be mobile and still be under continuously monitoring. Developed platform for portable real-time analysis of ECG signals can be used as an advanced diagnosis and alarming system. The ECG features are used to detect life-threatening arrhythmias, with an emphasis on the software for analyzing the P-wave, QRS complex, and T-wave in ECG signals at server after receiving data from base station. Based on abnormal ECG activity, the server transfer diagnostic results and alarm conditions to a doctor's PDA. Doctor can diagnose the patients who have survived from arrhythmia diseases.

모바일 단말기 기반의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Bio-signal Measuring System Based on Mobile Terminal)

  • 오성준;김웅식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6호
    • /
    • pp.1-10
    • /
    • 2008
  • 보건의료는 u-Healthcare를 통하여 병원중심에서 시민 중심으로 의료 환경변화를 촉진시키고 예방에서 진단, 치료, 사후 관리의 모든 과정을 균형적으로 발전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u-Healthcare 단말이 언제, 어디서나 무자각의 유비쿼터스 단말이 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이 구현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동통신 및 무선 통신망과 연동기능으로 모바일 게이트웨이 구현, Bluetooth 무선 연동기능, 다양한 정보통신기기와의 접목기술, 정밀한 데이터 전송 기술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u-healthcare를 위한 모바일 기반의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센서네트워크 기반 u-Healthcare 시스템 (Sensor Network-based u-Healthcare System)

  • 백윤숙;이봉환;방민영;황인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312-315
    • /
    • 2008
  • 최근 유비쿼터스, RFID 및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의료분야에서도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환자의 생체 신호와 각종 의료데이터를 무선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심전도(ECG), 혈압, 맥박 등의 생체신호 측정센서를 이용한 센서네트워크를 구축하여 u-Healthcare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센서노드에서 게이트웨이를 경유한 생체신호는 헬스케어센터로 전송되며, 헬스케어센터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라 환자에게 운동요법, 식이요법 등의 정보를 피드백하여 건강관리를 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A Robust Wearable u-Healthcare Platform in Wireless Sensor Network

  • Lee, Seung-Chul;Chung, Wan-You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6권4호
    • /
    • pp.465-474
    • /
    • 2014
  • Wireless sensor network (WSN)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fields for ubiquitous healthcare (u-healthcare) applications. Healthcare systems combined with WSNs have only been introduced by several pioneering researchers. However, most researchers collect physiological data from medical nodes located at static locations and transmit them within a limited communication range between a base station and the medical nodes. In these healthcare systems, the network link can be easily broken owing to the movement of the object nodes. To overcome this issue, in this study, the fast link exchange minimum cost forwarding (FLE-MCF) routing protocol is proposed. This protocol allows real-time multi-hop communication in a healthcare system based on WSN. The protocol is designed for a multi-hop sensor network to rapidly restore the network link when it is broken.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FLE-MCF protocol is compared with that of a modified minimum cost forwarding (MMCF) protocol. The FLE-MCF protocol shows a good packet delivery rate from/to a fast moving object in a WSN. The designed wearable platform utilizes an adaptive linear prediction filter to reduce the motion artifacts in the original electrocardiogram (ECG) signal. Two filter algorithms used for baseline drift removal are evaluated to check whether real-time execution is possible on our wearable platform. The experiment results shows that the ECG signal filtered by adaptive linear prediction filter recovers from the distorted ECG signal effici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