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block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2초

UV 나노 임프린트 공정에서 스탬프 균일 변형을 위한 더미 블록 설계 (Design of the Dummy Block for Uniform Stamp Deformation in the UV Nanoimprint Lithography)

  • 김남웅;김국원;정태은;신효철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76-81
    • /
    • 2008
  • Nanoimprint lithography(NIL) is an emerging technology enabling cost-effective and high-throughput nanofabrication. Among NILs, significant efforts from both academia and industry have been put in UV NIL research and development because of its ability to pattern at room temperature and at low pressure. In UV NIL, there may be in-line set-up error of the stamp and the substrate. To compensate this error, the dummy blocks are put on the stamp and pressurized uniformly. Contact problems between the stamp and the photoresist layer on the substrate are often happened, which results in the non-uniform residual layer In this paper, the pressurization method on the dummy block is investigated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A new method is recommended and evaluated far the uniform stamp deformation.

이온빔을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자외선 차단 특성 (Characteristics of Polycarbonate Film by Ion Beam for UV Block)

  • 최병훈;김영준
    • 폴리머
    • /
    • 제29권6호
    • /
    • pp.588-592
    • /
    • 2005
  • 자외선을 차단할 목적으로, 단일 모재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방법이 갖고 있는 차단제의 적층에 따른 두께 증가와 접착제의 반응 온도에 따른 변형 등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화장품 용기 및 옥외용으로 사용 가능한 고분자 필름(폴리카보네이트) 표면에 이온 조사를 통하여 고분자 표면을 개질하였다. 표면 개질된 필름의 280$\∼$400 nm 사이 자외선 차단 특성, 표면의 화학 및 형태 변화 특성,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을 W분광기, FTIR(ATR)과AFM, UV 촉진 내광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개질된 고분자 필름은 자외선 전 영역을 차단할 수 있었고 이온의 주입량에 따라 차단율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었다. 이는 이온들의 주입으로 인한 고분자의 표면 화학 변화에 기인한다. 개질된 고분자 표면은 nm수준으로, 별도의 차단제가 필요없는 하나의 모재로, 자외선 차단을 위해 활용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따른 고분자의 색 변화 및 자외선 투과 특성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여 일상 생활환경에서 지속적인 자외선 차단 방법으로 사용 가능하리라 기대할 수 있었다.

효율적 In-Place Block Rotation 알고리즘과 복잡도 분석 (An Efficient In-Place Block Rotation Algorithm and its Complexity Analysis)

  • 김복선;쿠츠너 아네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28-433
    • /
    • 2010
  • u와 v를 두 인접수열 (consecutive sequence)이라고 했을 때 이때 "block rotation"이란 uv를 vu로 바꾸는 연산을 의미한다. 기존에 3개의 block rotation 알고리즘 즉 "BlockRotation", "Juggling" 그리고 "Reversal 알고리즘"이 소개되었는데 최근 우리는 하나의 새로운, QuickRotation 이라고 명명한 block rotation 알고리즘을 소개했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QuickRotation 알고리즘을 이들 기존의 알고리즘들과 비교해 보이고자 한다. 벤치마킹 뿐만 아니라 복잡도 분석을 통한 비교를 통해 QuickRotation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증명해 보이고자 한다.

이형 제품 간 접합 공정 로봇 시스템 (A Robot System for Attaching Fixers to a TV Cabinet)

  • 김동현;박상신;성영휘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41-146
    • /
    • 2011
  • In the TV manufacturing industry, a demand for chic design of TVs is increasing. As a reult of this trend in TV design, more curved surfaces in a TV cabinet are introduced, which enforces the use of fixers to combine a front cabinet with a TV main body.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robot system for attaching various types of fixers to a TV cabinet. The developed system consists of three main blocks. The first one is the dispensing block, in which transferred cabinet is centered and UV adhesives are dispensed on the cabinet. The second one is the fixer attaching block, in which a cabinet is centered again and fixers are attached to pre-determined places on a cabinet by a robot with several end effectors. The last one is the UV hardening block, in which very strong ultraviolet rays are applied to the cabinet for attaching fixers tightly to the cabinet. The developed system is successfully adopted in a TV manufacturing process.

Polystyrene-b-Poly(oxyethylene methacrylate) 블록 공중합체 막을 이용한 은 나노입자 생성 (Form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in Polystyrene-b-Poly(oxyethylene methacrylate) Block Copolymer Membranes)

  • 고주환;서진아;노동규;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20권1호
    • /
    • pp.55-61
    • /
    • 2010
  • 원자전달 라디칼 중합을 이용하여 polystyrene-b-poly(oxyethylene methacrylate) (PS-b-POEM)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FT-IR을 통해 중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 조립된 블록 공중합체 막을 제조한 후, 전구체 $AgCF_3SO_3$ 도입과 UV 조사를 통해 고체상에서 은 나노입자를 성장시켰다. TEM 전자현미경과 UV-visible 분광학 분석을 통해 블록 공중합체 막의 내부에 은 나노입자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친수성 POEM 영역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나노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었다. 금속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POEM 함량이 적은 블록 공중합체가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녹차 염색포의 자외선 차단 효과 연구 (The UV Blocking Effect Of Fabrics & Banji Dyed With Green Tea)

  • 송명견;송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45-752
    • /
    • 2005
  • Green tea has various medical effects. It was selected as new natural dyes guessing the effects of the biological activities are still appeared on dyeing. It was examined whether they have the function of Uv-blocker or not. Cotton, linen & Hanji were dyed with Green tea. Al, Cr, Cu, Fe and Sn were selected as the mordant and the UV blocking rate of dyed samples was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1 . The color of dyed samples with Green tea changed yellowish red except Hanji and linen mordanted with Fe. 2. K/S values of dyed samples with Green tea increased by the number of dyeing treatment(p<.01). 3. UVA and UVB blocking rate increased by the number of dyes. Cotton and Linen could block the UV radiation over $93\%$ and Hanji could block over $95\%$ after three times of dye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nji has possibility far various practical uses of clothing material in beautiful and functional aspect. It could have the biological effects when we put on dyed clothing material with Green tea.

The Performance Stability of Ophthalmic Material with UV-Block Effect Containing Hydroxyl Benzophenone Group and Tungsten Nanoparticles

  • Kim, Duck-Hyun;Sung, A-Young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97-103
    • /
    • 2017
  • In this study, the functional hydrogel ophthalmic lens containing tungsten oxide nanoparticles, 2,4-dihydroxy benzophenone and 2-hydroxy-4-(methacryloyloxy) benzophenone were manufactured.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AA(acrylic acid), the cross-linker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he initiator AIBN (azobisisobutyronitrile) and the functional additives including tungsten oxide nanoparticles, 2,4-dihydroxy benzophenone, and 2-hydroxy-4-(methacryloyloxy) benzophenone were used respectively. The measurements of water content and refractive index of the sample was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And also, the UV transmittance of produced lens containing 2,4-dihydroxy benzophenone, 2-hydroxy-4-(methacryloyloxy) benzophenone and tungsten oxide nanoparticles was measu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ncreased over time when 2-hydroxy-4-(methacryloyloxy) benzophenone was used as an additive, while the use of tungsten oxide nanoparticles influenced on blue-ray-blocking effect of the hydrophilic lens.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자외선차단모자의 요구성능과 선호도 (Demand Performance and Preference of UV Protective Hat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강미정;권영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72-38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 preference and demand performance of UV protective hat for outdoor sports activities. Data collected from 259 adults from survey were analyzed by frequence analysis, crosstabs, t-test, and ANOVA using SPSS 17.0.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demand performanc of UV protective hats were a demand performance for designs, colors, fabrics, lightness, UV protection, and easy care. It showed that the respondents worn the hats for skin health and didn't wear for sun block. The demand performance of UV protective hat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he favorite type of UV protective hat was cap,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young and old age. Male preferred the cap styles, while female preferred the wide brim styles for UV protection. The preferred fiber contents of the respondents were cotton and functional fiber.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와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에 의한 자외선 차단 코팅 (UV Blocking Coatings by Combination of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and UV absorbers)

  • 유동식;이지호;하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296-1301
    • /
    • 2006
  • 눈은 자외선과 가시광선에 노출되어 있다. 눈은 자외선 노출에 해로우므로 모든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차단을 위해 투명 플라스틱에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와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에 의한 자외선 차단 코팅하였고, PMMA, CR 39 및 PC기재에 적용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를 조사하였다. 자외선 흡수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자외선의 투과도는 낮았다. PMMA의 경우 자외선 투과도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CR 39에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C자체에서는 자외선 차단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CR 39 렌즈의 부착력, 내약품성, 내온수성은 우수하였고, 연필 경도의 경우 4H였으며 내마모성은 좋지 않았다.

  • PDF

Hydroxyapatite의 파우더 표면 복합화를 통한 형태 및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through Hydroxyapatite Powder Surface Composite)

  • 계성봉;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7권3호
    • /
    • pp.299-306
    • /
    • 2016
  • 본 연구는 광노화의 원인으로 알려진 자외선을 차단하는 새로운 복합 분체에 관한 것이다. Hydroxyapatite (HAp)는 자체 생체 친화적이고, 피부에 도포 시 백탁 현상 없이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그러나 HAp 구조가 단단한 육방정계이어서 피부 도포 시 피부손상과 분체의 재응집 현상이 발생되어 화장 후 뭉치는 현상, 자체 사용감이 매끄럽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HAp의 표면 개질을 통한 자외선 차단 증진 및 사용감을 개선한 새로운 복합 분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HAp의 표면 개질을 위해 코팅제로 dimethicone, lauroyl lysine, triethoxycaprylylsilane 및 silica를 사용하였다. Dimethicone, lauroyl lysine 및 triethoxycaprylylsilane은 건식 방법으로 각각 표면 복합화 처리하였고, silica는 수열 합성법으로 표면 처리하여 표면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HAp 복합체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측정하여 실리카가 코팅된 HAp-silica를 최적의 HAp 복합체로 선정하였다. SEM, 입자크기와 분포, 표면 측정, EDS 분석을 통해 HAp-silica의 표면 복합 분체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제형 내에서 안정성, BB cream에서 자외선 차단 효과 측정 및 안전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HAp 분체의 표면 개질을 통해 제조한 HAp-silica는 사용감이 우수하였고, 백탁 현상을 개선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진시키는 복합 분체로서 자외선 차단 화장품의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