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C irradiation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4초

자외선에너지(UV-C)를 이용한 유기인계 화합물의 분해 (Decomposition of Organophosphorous Compounds with Ultraviolet Energy(UV-C))

  • 김종향;민병철
    • 공업화학
    • /
    • 제9권1호
    • /
    • pp.28-32
    • /
    • 1998
  • 두 종류의 유기인계 살충제인 디클로로보스와 클로로피리포스를 UV조사, UV 조사와 $TiO_2$분말 그리고 UV조사와 sea sand를 저압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분해실험을 하였다. 이 화합물의 확인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총유기탄소 그리고 이온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였다. 두 물질 모두, UV조사와 sea sand가 UV 조사와 UV조사와 $TiO_2$분말보다 분해가 더 잘 되었다. 반응 최종생성물은 디클로르보스에서는 $Cl^-$, 클로로피리포스에서는 $Cl^-$ $SO_4{^{2-}}$등이 생성되었다.

  • PDF

자외선/오존 조사에 의한 Poly Ketone의 광산화와 염색성 (Photo-oxidation and Dyeability of Poly Ketone by UV/O3 Irradiation)

  • 김민수;장용준;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5-29
    • /
    • 2013
  • Poly ketone (PK) was photo-oxidized by UV/ozone irradiation and the effect of UV energy on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UV-irradiated PK film was investigated by the measurement of reflectance, surface roughness, contact angles, ESCA, and ATR. Reflectance, particularly at the wavelength of 380nm, decreased with increasing UV energy. And the irradiation produced nano-scale roughness on the surface uniformly. The maximum surface roughness increased from 25.3nm for the unirradiated sample to 104.9nm at the irradiation of $42.4J/cm^2$. The improvement in hydrophilicity was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polar groups such as C-O and C=O bonds resulting in higher $O_{1s}/C_{1s}$. The surface energy of PK film increased from $43.3mJ/m^2$ for the unirradiated sample to $71.9mJ/m^2$ at the irradiation of $31.8J/cm^2$. The zeta potential of the UV-irradiated PK decreased with increased UV energy and the dyeability to cationic dyes increased accordingly, resulting from the photochemically introduced anionic and dipolar dyeing sites on the PK films surfaces.

$Li_2O-Al_2O_3-SiO_2-K_2O$ 계어서의 UV조사 시간에 따른 결정상 생성에 관한 연구 (Effects of UV irradiation on the crystalline phase with$Li_2O-Al_2O_3-SiO_2-K_2O$system)

  • 이명원;강원호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10권2호
    • /
    • pp.166-171
    • /
    • 1997
  • The photomachinable glass-ceramics of Ag and CeO$_{2}$ added to Li$_{2}$O-Al$_{2}$O$_{3}$-SiO$_{2}$-K$_{2}$O glass system wa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UV irradiation time. The temperature of optimum nucleation and crystal growth temperature were confirmed at 525.deg. C, 630.deg. C respectively using DTA and TMA. The phases of Li$_{2}$O.SiO$_{2}$ habit were lath-like and/or dendrite type and [002] direction of Li$_{2}$O.SiO$_{2}$ / Li$_{2}$O.2SiO$_{2}$ phases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UV irradiation time by 400 W, 362 nm UV light source. Under that condition, the optimum UV irradiation time was 5 min.

  • PDF

UV조사에 의한 Polyester직물의 염색성 개질 (Modification of Dyeing Property of Polyester Fabrics by UV Irradiation)

  • 배중석;김인회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56-263
    • /
    • 2001
  • Polyester fabrics were irradiated by UV produced by the low pressure mercury lamp. UV irradiation broke a C-H bond of PET fiber and caused the carbonyl groups on the fiber surfaces. Surface modification of PET fibers were accelerated by pretreatment with methanol, ethanol and acetone. The irradiated PET was dyed with basic dyes having cationic groups. The dye uptakes were proportional to irradiation times, and in inversely proportional to irradiation distances. The tensile strengths of PET fabrics decreased by UV irradiation. Washing fastness of PET dyeings were good, about 4-5 grade,andlightfastnesswerepoor, about l grade.

  • PDF

UV노광 공정 도입이 Sol-gel 법으로 제조된 Sr0.9Bi2.1Ta2O9박막의 결정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UV Irradiation on Crystallization of Sr0.9Bi2.1Ta2O9 Thin Films by Sol-gel Method)

  • 최병옥;김병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84-190
    • /
    • 2003
  • 광감응성 sol-gel 용액을 사용하여 spin coating법으로 $IrO_2$전극 위에 $Sr_{0.9}$$Bi_{2.1}$$Ta_2$$O_{9}$ 박막을 성막하였다. UV 노광이 SBT 박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UV 노광을 한 시편과 하지 않은 시편을 XRD 및 SEM로 분석한 결과 UV 노광이 SBT 결정성장을 촉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UV 노광을 하고 $740^{\circ}C$ 산소분위기에서 1시간 로열처리 한 SBT 박막의 경우 2Pr 값은 5V 인가전압하에서 11.48$\mu$C/$ extrm{cm}^2$, Pr/Ps 값은 0.53이었고 660-$740^{\circ}C$에서 UV 노광을 하지 않은 시편에 비해 UV 노광을 한 시편들에서 약 12% 높은 2Pr 값을 얻었다.

UV-C 조사가 세척 당근의 저장 중 E. coli O157:H7과 Listeria monocytogenes의 생육저해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V-C Irradiation on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Washed Carrot during Storage)

  • 김주연;김은교;신초롱;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36-643
    • /
    • 2009
  • 세척 당근에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를 인위적으로 접종한 후 UV-C 조사 처리에 따른 저장 중 미생물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당근에 접종된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의 초기 균수가 6-7 log CFU/mL가 되게하였고, 사용된 UV-C 조사선량은 1, 3, 5, $10\;kJ/m^2$이었으며 조사된 시료는 $4{\pm}1^{\circ}C$에서 8일 동안 저장하였다. UV-C 조사는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의 미생물 수에 있어서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는 것을 나타냈다. 특히, $10\;kJ/m^2$ 처리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의 미생물 수를 각각 2.35, 2.38 log CFU/g 감소시켰다. 품질 변화에서는 UV-C 조사 5, $10\;kJ/m^2$ 처리구가 저장 중 당근 표면 $L^*$ value의 급격한 증가와 $a^*$, $b^*$ value의 감소 및 백화현상을 유의적으로(p<0.05) 억제시켰다. 관능적 품질 평가는 5, $10\;kJ/m^2$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UV-C 조사 처리는 세척 당근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와 품질유지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자외선(UV-C) 조사에 의한 딸기병원균의 균사생장억제 (In vitro Test of Mycelial Growth Inhibition of 5 Fungi Pathogenic to Strawberries by Ultraviolet-C (UV-C) Irradiation)

  • 김선애;안순영;오욱;윤해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34-637
    • /
    • 2012
  • 딸기병해는 생육기 동안 과실의 생산량감소 및 품질저하를 가져오고 있으며, 약제방제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친환경적인 병해 방제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실내에서 자외선(UV-C, 264 nm)조사에 의한 딸기병원균의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5종의 딸기병원균을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25^{\circ}C$ 항온실에서 배양한 후 균총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5종의 딸기병원균을 PDA 상에서 배양하면서 자외선을 조사하면, 하루 1시간 조사에 의해서도 생장이 억제되었고 9-12시간을 조사한 균의 생육은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며 역병균은 생육이 완전하게 억제되었다. 자외선광원과 병원균의 거리에서는 40-50 cm의 거리에서 자외선을 조사한 배양기에서 병원균생장의 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배지에 접종한 후 바로 자외선을 처리한 병원균은 모두 2일간 배양한 후 자외선을 접종한 배양기에서보다 생육이 억제되었다. 딸기 탄저병균(C. gloeosprioides)과 시들음병균(F. oxysporum)은 V8A에서 자외선에 의한 균의 생장억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Caenorhabditis elegans에서 분리한 자외선 유도유전자 (UV100과 UV150)의 발현 및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Expression of UV-Inducible Gene (UV100 and UV150) in Caenorhabditis elegans)

  • 신수화;최은영;최인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704-709
    • /
    • 2006
  • 본 연구는 DNA 상해유도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꼬마선충 (Caenorhabditis elegans) 으로 부터 subtraction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자외선 유도 유전자인 UV100과 UV150을 분리하고 그 유전자 구조와 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Northern hybridization 방법으로 살펴본 결과 자외선 조사 후에 최대 2배 이상의 발현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 이미 밝혀진 다른 UV-inducible 유전자와 유사하게 UV100과 UV150 유전자는 자외선에 의해서만 발현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리한 유전자의 기능을 알기 위하여 RNAi 실험을 한 결과 분리한 자외선 유도유전자는 발생단계에 따라 다양한 DNA 회복기작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Effects of UV-C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Sunsik and Misutkaru during Storage

  • Chun, Ho-Hyun;Kim, Ju-Yeon;Kim, Hyun-Jin;Song, Kyung-B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3호
    • /
    • pp.226-232
    • /
    • 2009
  • The effects of UV-C irradia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wdered foods, sunsik and misutkaru, were examined during storage, where samples were irradiated at doses of 27, 54, and 108 kJ/$m^2$, respectively. In addition, sunsik and misutkaru samples were inoculated with Enterobacter sakazakii as a pathogen and then irradiated at doses of 0.5, 1, and 5 kJ/$m^2$, respectively. After treatment, the sunsik and misutkaru samples were stored at $20^{\circ}C$. The microbiological data represented that populations of total aerobic bacteria, Bacillus cereus, and E. sakazakii were significantly (p<0.05) reduced with increasing UV-C doses. In addition, UV-C irradiation did not cause inferiority in the color quality of the samples during storage. Sensory evaluation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among the irradiated sam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UV-C irradiation may be useful in maintaining the quality of sunsik and misutkaru during storage.

이산화염소수와 UV-C 또는 전자빔 병합처리가 치콘의 저장 중 미생물 성장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UV-C or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Microbial Growth and Quality in Chicon during Storage)

  • 강지훈;박지용;오덕환;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632-1638
    • /
    • 2012
  • 치콘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50 ppm 이산화염소수와 5 kJ/$m^2$ UV-C 및 2 kGy 전자빔 조사 병합처리에 따른 저장 중 미생물 수 및 품질 변화를 $4{\pm}1^{\circ}C$에서 11일 동안 저장하면서 측정하였다. 이산화염소수와 UV-C 병합처리 후 치콘의 총 호기성 세균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1.49~2.92 log CFU/g, 효모 및 곰팡이는 1.63~1.78 log CFU/g의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이산화염소수와 2 kGy 전자빔 병합처리구의 경우 총 호기성 세균은 저장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았으며, 효모 및 곰팡이 역시 11일 간의 저장기간 동안 나타나지 않았다. 이산화염소수와 전자빔의 병합처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치콘의 저장 중 Hunter 색도 값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관능검사에 있어서도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와 비교 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이산화염소수와 전자빔 조사의 병합처리가 치콘의 저장 중 오염될 수 있는 위해미생물의 감소와 외관적 품질유지에 효과적인 살균처리 기술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