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B조사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2초

실내환경에서 자외선 조사 및 원적외선 차단이 월계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V-B Irradiation and Far-red Light Reduction on the Growth of Laurus nobilis in Indoor)

  • 후지와라 케이스케;토다 히로토;최동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7
    • /
    • 2012
  • 실내 광환경은 자연 상태와 달라 실내 조경 식물의 생장 및 생리활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본 연구는 광질(光質)이 월계수의 생장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월계수 묘목은 4개의 다른 광원 처리구(control, +UV, -FR, +UV-FR 처리구)에서 180일 동안 생육시켰다. 자외선 추가 처리구(+UV)에서 생육한 월계수는 건중량 및 잎 면적이 감소되었지만, 잎 두께 및 잎내 자외선 흡수 물질의 함유량은 증가했다. 반면, 원적외선 차단 처리구(-FR)에서 생육한 월계수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자외선 추가 및 원적외선 차단 처리구(+UV-FR)에서 생육한 월계수는 신장생장 및 광합성 속도가 유의적으로 저하했다(P<0.05).이상의 결과, 광질이 실내 조경 식물인 월계수의 생장 및 생리활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내 조경 식물인 월계수를 관리할 때 광질을 이용한 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확 후 LED와 UV-B 조사에 의한 아스파라거스 순의 항산화 기능 향상 (Post-harvest LED and UV-B Irradiation Enhance Antioxidant Properties of Asparagus Spears)

  • 유남희;정선균;이정애;최동근;윤성중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2호
    • /
    • pp.188-198
    • /
    • 2017
  • 아스파라거스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처리 전 그리고 12시간 암상태로 저장한 아스파라거스를 대조구로 하여 백색(색온도 45,000 k), 청색(peak 450 nm), 적색(peak 660 nm)의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를 이용하여 수확한 아스파라거스 순을 광합성유효광양자속밀도(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200{\mu}mol{\cdot}m^{-2}{\cdot}s^{-1}$의 광으로 12시간 처리하고, UV-B(280 nm)를 0.5kJ 또는 1.0kJ로 처리하여 원예적 특성, 비타민C(total ascorbic acid), 루틴(rutin), 총 페놀(total phenolics) 및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s) 함량과 자유기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들 처리는 아스파라거스 순의 생체중, 길이, 직경 등에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으며, UV-B0.5kJ에서는 당도와 엽록소 함량이 각각 9%와 41% 증가하였다. 비타민 C, 루틴,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등 항산화 성분 중에서 비타민 C 함량은 대조에 비하여 백색광(114%), 적색광 (137%) 및 UV-0.5 kJ(127%) 처리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반면 루틴,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적색광이나 UV-0.5 kJ 처리에서만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또한 DPPH라디컬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백색광, 적색광 및 UV-0.5kJ 처리구에서 각각 43, 41 및 43%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적색광 12시간 처리나 UV-B 0.5kJ 처리로 아스파라거스 순의 원예적 특성의 변화가 초래되지 않는 상태에서 비타민 C, 루틴,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등의 함량이 증가되고 자유기 소거능도 향상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확한 아스파라서스의 순에 적색광 12시간 또는 UV-B 0.5kJ을 처리하면 채소 또는 음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아스파라거스 순의 기능성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 coli DNA 회복에 미치는 플라스미드 pKM101과 pSL4의 mutator 기능 (Mutator effects of plasmid pKM101 and pSL4 to E. coli DNA repair)

  • 전홍기;이상률;백형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9-113
    • /
    • 1990
  • Mutator 기능을 가지는 플라스미드 pKM101과 이의 돌연변이체 pSL4를 DNA 수복능력이 다른 Esherichia coli B/r(phr, recA, uvrA, uvrB)균주들에 도입하여 돌연변이원인 UV와 MNNG에 대한 보호효과와 mutagenecity를 조사형ㅅ다. pKM101과 pLS4의 mutator 기능과 보호효과는 repair 기능에 따라 다르나 전반적으로 두 플라스미드의 UV와 MNNG에 대한 저향성과 돌연변이율을 증가시켰고 pLS4는 pKM101보다 그효과가 높았다. 이러한 pLS4와 pKM101의 기능적 차이는 이들 플라스미드의 mutator 유전자상에 일어난 변이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 PDF

감마선 조사된 유지 model system의 chlorophyII 제거 및 광산화 억제 (Inhibition of Photooxidation by Breakdown of ChlorophyII in Oil Model System Using Gamma Irradiation)

  • 이경행;조철훈;육홍선;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93-699
    • /
    • 2001
  • 식품내 존재하는 광감체를 제거함으로써 광산화를 억제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방사선 조사시 광감체인 chlorophyII의 제거정도 및 최적 조사선량을 탐색하고 모델시스템으로서 linoleic acid 용액에 chlorophyII을 첨가하고 방사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여 기질의 산화없이 광감체를 제거하고자 chlorophyII b의 함량, 색도 및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다. 방사선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chlorophyII b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2.517kGy이상의 선량에선 chlorophyII b 가 방사선 조사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다. Linoleic acid 용액의 제조 직후 chlorophyII b의 함량은 2.88-2.91 ppm이었으나 20kGy의 방사선을 조사한 경우 chlorophyII b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광조사에 의한 chlorophyII b의 함량은 방사선 비조사구의 경우 chlorophyII b의 함량이 광조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였으나 방사선 조사구는 광조사 후에도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방사선을 조사한 후 광조사 시키는 동안 색도의 변화는 L값과 b값의 경우 비조사구에 비해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증가하였고 a값은 감소하였다. 과산화물가는 제조직후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산화가 일어났으나 방사선 조사시 $N_2$ gas bubbling 처리한 경우에는 비조사구와 마찬가지로 전혀 산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방사선 조사후 광조사 시킨 경우 chlorophyII b의 제거로 광산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 PDF

다양한 파장의 LED 조사가 주요 식중독 미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LED Light Wavelengths on the Growth of Food-borne Bacteria)

  • 이지은;쉬시아오통;정소미;김수룡;김한호;강우신;류시형;이가혜;안동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905-91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4가지 일반적인 식중독 병원균인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에 대해 270 nm UV C-LED, 365 nm UV A-LED, 465~475, 620~630 nm visible-LED, 850, 5,000~7,000 nm infrared-LED를 조사하여 각 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다. 270 nm UV C-LED의 경우, 10 min 또는 30 min 조사 시 4가지 균주 모두 대조구에 비해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365 nm UV A-LED를 1시간 또는 3시간 조사한 경우 B. subtilis의 100% 생장 억제를 보였다. 465~475 nm visible-LED를 1시간 조사한 경우, 4 종류 균주 모두 대조구과 유의 한 차이가 없었으며, 3시간 조사 시 유의한 성장 억제를 보였다. 620~630 nm visible-LED를 처리한 S. aureus와 B. subtilis, 850 nm infrared-LED를 처리한 S. typhimurium과 S. aureus, 5,000~7,000 nm infrared-LED를 처리한 E. coli, S. typhimurium 및 S. aureus는 각각 대조구에 비해 증식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LED 광원의 사용을 통해 식중독 미생물의 억제 및 증식 효과를 확인한 바, 다양한 LED 광원의 파장 특성을 이용한 식품 보존과 응용 기술로서의 잠재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Polystyrene-b-Poly(oxyethylene methacrylate) 블록 공중합체 막을 이용한 은 나노입자 생성 (Form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in Polystyrene-b-Poly(oxyethylene methacrylate) Block Copolymer Membranes)

  • 고주환;서진아;노동규;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20권1호
    • /
    • pp.55-61
    • /
    • 2010
  • 원자전달 라디칼 중합을 이용하여 polystyrene-b-poly(oxyethylene methacrylate) (PS-b-POEM)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FT-IR을 통해 중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 조립된 블록 공중합체 막을 제조한 후, 전구체 $AgCF_3SO_3$ 도입과 UV 조사를 통해 고체상에서 은 나노입자를 성장시켰다. TEM 전자현미경과 UV-visible 분광학 분석을 통해 블록 공중합체 막의 내부에 은 나노입자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친수성 POEM 영역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나노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었다. 금속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POEM 함량이 적은 블록 공중합체가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분만후 젖소의 자궁내 미생물상 조사 및 Lipopolysaccharide의 분리

  • 백광수;김태일;우제석;전병순;박수봉;김현섭;이현준;홍의철;안병석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19-119
    • /
    • 2003
  • 분만후 젖소의 자궁내 미생물상을 조사하고 미생물로부터 분리한 Lipopolysaccharide를 적용하여 소의 번식효율 증진에 기여하고자 분만후 젖소의 도축장 유래 자궁을 채취하여 혐기적 상태에서 균분리 동정을 실시하였다. 균분리 동정을 위하여, 시료를 1cm$\times$1cm로 채취하여 혐기상태에서 거품이 생길 때까지 vortexing한 후 균액 300$\mu l$를 뽑아 혐기배지에 도말하였고 도말한 plate는 $37{\circ}C$ 혐기chambe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혐기배지에서 자란 균의 colony를 따서 Mac, BHI+B, BHI 배지에 배양한 후 Gram stain을 실시하였다. BHI 배지에서 자란 균의 colony를 따서 BUA+B 배지에 계대배양하였고 BUA+B 배지에서 자란 균중에 가장 마지막으로 자란 균을 따서 An-IF에 넣고 탁도를 63%T로 맞춘 후 An micro plate에 100$\mu l$씩 분주하였다. 분주한 plate를 $37{\circ}C$ 혐기 chamber에서 20~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Biolog를 실시하였다. 시료의 UV측정을 위하여 Sonic Processor로 세포를 분쇄하였고 분쇄한 세포를 $4{\circ}C$에서 10,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0.45$\mu m$ 필터로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취하여 UV로 standard(E.coli O26 B6 LPS)와 sample(10배 및 20배 희석액)을 측정하였다. (중략)

  • PDF

자외선 조사 Escherichia coli B의 세포분열회복활성물질

  • 송방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6년도 제8회 학술발표회
    • /
    • pp.188.2-188
    • /
    • 1976
  • E. coli B 및 E. coli K-12의 Ion 변리주는 저중의 UV 조사에 의해 확산 및 단백질 합성은 그대로 지속되나 세포분열능은 상실되어 격막이 없는 다핵의 filament를 형성하므로 한무배지상에서 colony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같은 균에 동일균 또는 타의 균체추출액을 가하어 주므로써 세포분열은 재개되며 그 활성물질중 $\beta-NAD가$ 중요한 인자로 작용함은 이미 발표되었으며 본보에서는 NAD 이외의 고분자활성물질에 대해 보고코저 한다.(중략)

  • PDF

백부자산(白附子散)이 자외선 조사된 피부 손상과 색소침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ickbujasan Extract on the Skin Damage and Pigmendation Induc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 김지훈;홍승욱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0-82
    • /
    • 2008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aickbujasan(BB) on the skin damage and depigmentation. Method :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melanogenesis and cell viability in cultured B16 melanoma cells were measured. In order to test effects of reduction of melanogenesis, B16 F-10 mouse melanoma stem line was employed to extract melanin from cultured cell, where BB was added or not, and was dissolved in alkali for colorimetric analysis. Also, in order to test skin alteration in C57BL/6 after UV irradiation, the animals were grouped into a UV urradiation group and UV irradiation after BB application group. Dopa oxidase tissue staining was excuted to invesitage the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active melanin cell. The distribution of active melanin cell in inner skin of iNOS after damage from UVB irradiation and the manifestation condition of P53 which takes part in natural death of keratinocyte were examined. Result : The results indicate that BB has significant effe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vivo test. BB seems to reduce C57BL/6, external dermatological damage, for instance, erythematous papule, eczema, loss of keratinocyte, reduction in pus, and relieves dermatological damages. Conclusion : BB can be applied externally for UV protection and depigmen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