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 sterilizatio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9초

비접촉식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살균/정화 수도꼭지 (A Water Tap Equipped with a Sterlization/Purification System of Non-contact UV-lamp)

  • 민경원;원종헌;이현철;한동열
    • 산업기술연구
    • /
    • 제27권B호
    • /
    • pp.3-7
    • /
    • 2007
  • Ultraviolet light(UV-C, wavelength: 200~280nm) is employed profitably for sterilizing drinking water. For most water serving apparatus such as a water purifier, a water cooler and heater, a coffee vending machine and etc., pre-sterilized water may be contaminated secondarily with bacillary inhabitation in a container before serving. In consideration of this problem, a household water tap which is equipped with a sterilization/Purific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non-contact UV-lamp, was designed to sterilize and purify water at the last outlet just before serving. Hopefully this simple but creative item may be commercialized for household and public use.

  • PDF

용수 살균을 위한 자외선과 플라즈마 처리장치 적용에 따른 효과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Ultraviolet and Plasma Treatment Devices for Water Sterilization)

  • 김영재;박전오;이행림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6-90
    • /
    • 2019
  • 본 연구는 수산양식분야에서 용수를 살균하기 위해 제품화되어 있는 UV 및 플라즈마 장치를 100 ℓ 수조에 적용하고 처리수를 1 ℓ씩 채수, 농축하여 시료 내 세균 수의 변화를 확인하여 두 가지 처리 방식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다. 각 장치를 6시간 동안 작동시키면서 일반 해수 내 세균을 MA, TCBS, SS 배지에 배양하여 세균 수 변화를 확인하였고, 살균처리된 해수 내 Edwardsiella piscicida를 인위 접종한 후 처리수 내 E. piscicida 세균 수 변화를 확인한 결과 UV 장치와 플라즈마 장치 간의 세균 저감 효율은 99.5~99.9% 수준으로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2가지 장치를 적용하여 100 ℓ의 수량을 동일한 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플라즈마 방식의 경우 UV 장치와 비교하여 더 짧은 시간 안에 세균을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단기적(6시간)으로만 세균 수 변화를 확인한 것으로, 사료찌꺼기, 배설물, 연안 오염 등에 따라 수질의 변동이 크고 biofilm과 유기물이 많이 존재하는 실제 양식환경을 고려할 때, 탁도와 유기물의 존재에 따라 한계가 있는 UV 처리 방식보다는 지속적이고 일정한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플라즈마 처리 방식이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자외선살균법(紫外線殺菌法)의 액제(液劑)에 대(對)한 응용(應用)의 검토(檢討) (Studies on Application of Sterilization Method Using Ultra Violet Radiation for Liquid Preparations)

  • 김용배;이상희;김건치;강건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권1호
    • /
    • pp.58-62
    • /
    • 1972
  • The stabillities of taurine, niacinamide, and pyridoxine hydrochloride under exposure to ultra violet radiation in liquid preparations were studied. And sterilization effects for E. coli in both water and liquid preparations were also comparatively evaluated. The above mentioned organic compounds were stable under this experimental conditions and viable count of E. coli reveals that organic compounds dissolved in solution display protective action for microorganisms under UV-irradiation.

  • PDF

Decomposition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by Plasma Generated with Helium and Oxygen

  • Kim Seong-Mi;Kim Jong-Il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4권4호
    • /
    • pp.466-471
    • /
    • 2006
  •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characterize the biomolecular effects of an atmospheric-pressure cold plasma (APCP) system which utilizes helium/oxygen $(He/O_2)$. APCP using $He/O_2$ generates a low level of UV while generating reactive oxygen radicals which probably serve as the primary factor in sterilization; these reactive oxygen radical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capable to access the interiors of the structures of microbial cells. The damaging effects of plasma exposure on polypeptides, DNA, and enzyme proteins in the cell were assessed using biochemical methods.

개선된 플라즈마 공정을 이용한 Ralstonia Solanacearum 불활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lstonia Solanacearum Inactivation using Improved Plasma Process)

  • 김동석;박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69-378
    • /
    • 2014
  • Effect of improvement of th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plasma system on the inactivation performance of bacteria were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of plasma reactor was performed by combination with the basic plasma reactor and UV process or combination with the basic plasma reactor and circulation system which was equipped with gas-liquid mixer.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ailing effect was appeared after the exponential decrease in basic plasma reactor. There was no enhancement effect on the Ralstonia Solanacearum inactivation with combination of basic plasma process and UV process. The application of gas-liquid mixing device on the basic plasma reactor reduced inactivation time and led to complete sterilization. The effect existence of gas-liquid mixing device, voltage, air flow rate (1 ~ 5 L/min), water circulation rate (2.8 ~ 9.4 L/min) in gas-liquid mixing plasma, plasma voltage and UV power of gas-liquid mixing plasma+UV process were evaluated. The optimum air flow rate, water circulation rate, voltage of gas-liquid mixing system were 3 L/min, 3.5 L/min and 60 V, respectively. There was no enhancement effect on the Ralstonia Solanacearum inactivation with combination of gas-liquid mixing plasma and UV process.

냉장고용(冷藏庫用) 자외선(紫外線) 공기(空氣) 청정기(淸淨機)의 설계(設計)와 살균(殺菌) 효과(效果) (Design of UV-ray Air Cleaner for Refrigerator and Its Sterilizing Effect)

  • 전재근;이영진;김경만;이홍원;장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1-173
    • /
    • 1993
  • 냉장고내 공기의 청정장치로 자외선 공기순환식 살균장치를 개발할 목적으로 6 watt 자외선 램프와 순환 fan을 사용하여 공기 청정장치를 설계, 제작하였다. 자외선량은 Bacillus subtilis 포자의 D value의 5배에 이르게 하였으며 순환공기의 유속은 0.785 m/s이었으며 공기의 살균부 체류시간은 0.382 s이었다. 동 장치를 실내공기, 부패 건초 분말과 Bacillus subtilis 포자 현탁액으로 오염시킨 공기를 실온에서 80% 청정시키는 살균효과를 거두어 냉장고용 공기청정기를 설계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얻었다.

  • PDF

UV-C를 이용한 광촉매 필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tocatalyst filter design using UV-C)

  • 한상윤;강승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276-28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기청정기의 극세필터(프로필터), 집진필터, 헤파(HA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필터, 탈취필터 등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필터의 구조를 분석하고 초미세먼지, 유해가스 및 살균 정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공기정화 필터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존 단계적 여과 필터 형태에 광촉매 필터 시스템을 추가하는 방법으로 연구하였으며, 광촉매 필터는 좌우측의 UV-LED 설치 프레임과 광촉매 코팅 허니컴(honeycomb)프레임 3단 결합구조의 디자인으로 제안했다. 광촉매 필터의 살균소독 효과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공기청정기에 광촉매 필터 적용 및 구조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자외선 조사를 이용한 다단계 컨베이어 자동 살균기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ement of multi-layer sterilizer using Ultra Violet irradiation)

  • 김영철;유광호;정영국;김하석;정태성;윤복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G
    • /
    • pp.3060-3063
    • /
    • 1999
  • We made a multi-layer conveyor sterilizing system using UV rays to prolong a storage period of dried marine products. The system is composed of 5 layer conveyor belt of 3 m long each, thus 15 m long in total. It is designed to radiate UV rays for 10 minutes the dried marine products, and can process 300 kg/hour. Eight UV lamps of 30 cm long and 15 W of power with 254 nm wave length are installed in parallel, 15 cm high above in each belt, and 40 lamps in total. The whole system is covered by 1 mm thick metal plates to block the UV rays except a front side which is covered with 5 mm thick plastic plates coated with UV protection film to survey inside of the system. A sterile ratio is about 99.97% with 10 minutes sterilization using this system.

  • PDF

Colonization of Pathogens in Earphones and Observation of Effective Sterilization Methods and Cycles

  • Kwon, Hyeokjin;Jeong, Myeongguk;Go, Shinjee;Kim, Yeojin;Kim, Yein;Kim, Yeeun;Roh, Seungjun;Lee, Seonggwang;Choi, Go-E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86-191
    • /
    • 2022
  • The use of earphones has recently been widely used around the world. In currently, students wear earphones a lot in a daily life. The types of earphones are open-earphones, Canalphones, and headphones. Many students don't periodically to sterilization their earphones. Therefore, it can be an incubator that can induced ear infec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the pathogenic bacteria from the earphones used by the students. A total of 3 type earphones swabs were collected by sterile cotton swabs. The swabs were inoculated onto BHI agar and incubated aerobically 48 hour at 37℃. 16s rRNA PCR, electrophoresis and sequencing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identification of all the bacterial isolates. As a result, 24 pathogens were identified in sequencing. Three types of earphones were sterilized in three ways: ultraviolet (UV), 70% ethyl alcohol, and antibacterial wet tissue. If you use earphones for a long time without disinfecting them for a long time, it causes various diseases such as external ear infec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users periodically to sterilization their respective earphones.

비가열 살균 후추의 향미특성 (Flavor and taste characteristic of black pepper by different nonthermal sterilization methods)

  • 이광민;신정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51-557
    • /
    • 2019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식품안전과 위생에 대한 요구가 강해짐에 따라 식중독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분말식품 중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향신료 중 하나인 후춧가루의 비가열 살균 처리 방법에 따른 향미특성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 색도차(ΔE)는 저온 플라즈마와 자외선 살균처리 후에도 육안에 의한 인식 한계인 1.5 내외로 유지되었고, 광펄스 처리 후에는 6.58로 큰 차이를 보였다. Piperine 함량 정량 결과는 살균 전 후추가 10.7±0.53 mg/g로 가장 많았으며 자외선 살균처리(9.5±0.35 mg/g), 저온 플라즈마 살균처리(9.0±0.15 mg/g), 광펄스 살균처리(4.4±0.17 mg/g) 순으로 광펄스 58.9%, 저온 플라즈마 15.9%, 자외선 11.2%의 감소율을 보였다. 전자코 분석 결과 살균 처리 전후가 제 1주성분에 의해 두 그룹으로 구분되어 명확하게 향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제 1주성분과 제 2주성분에 의해서는 세 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강도평가 결과 살균처리 전, 광펄스, 저온 플라즈마, 자외선 살균처리 후 순으로 후추 향과 맛이 강하다고 응답했으며, 광펄스와 저온 플라즈마 살균처리 후의 후추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강도평가 결과와 piperine 함량 정량과는 차이가 있었으며, 전자코 분석 결과와는 유사했다. 정량적 묘사분석(QDA)를 통해 13개의 관능적 언어가 개발되었다. 살균처리 후의 시료가 마른 솔잎향과 떫은맛, 고소한맛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살균처리 전의 시료보다 관능적 특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살균처리 방법에 따라 후추향과 맛에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iperine 함량을 통해 후추 맛의 강도를 평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전자코 분석을 통해서 후추향의 강도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