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 blocking material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TiO2-x 산화물 박막공정을 이용한 유해자외선차단 투명유연소재개발 (Development of harmful ultraviolet blocking transparent flexible device using TiO2-x thin film process)

  • 김극태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3-13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TiO_{2-x}$ 산화물 박막공정을 이용한 유해 자외선차단 투명 유연 소재를 개발하고자한다. 자외선 차단 특성: 자외선 파장대의 315 nm 차단율이 95 % 이상이면서, 자외선차단특성을 갖으면서 투명성을 높인 가시광선 투과율 78 % 이상(550 nm에서 전광투과율)의 시료를 만드는 공정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고성능 자외선차단 박막의 유연 소자 공정조건을 확립하고, 이질성 특성의 투명 유연 소자의 혼합형 설계와 시장 요구에 다양하게 대응이 가능한 복합 증착 기술 정립, 롤투롤(roll-to-roll) 연속 공정의 실현 및 장비, 공정 국산화 기술 확립으로써 관련 산업으로의 기술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수산화인회석에 은이 도입된 자외선차단재료 (Ultraviolet Blocking Material Based on Silver-doped Hydroxyapatite)

  • 표은지;김영용;권기영
    • 공업화학
    • /
    • 제27권6호
    • /
    • pp.669-67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수산화인회석을 합성하였다. 또한 이온 교환 반응을 통하여 수산화인회석 표면에 은을 도입하였다. 합성된 샘플의 결정성과 형태를 X-선 회절 분석과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산란 반사 UV-vis 스펙트럼을 통하여 합성한 샘플의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은이 도핑된 수산화인회석의 경우 은이 수산화인회석 표면에 나노입자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X-선 회절 분석과 투과전자현미경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수산화인회석과 비교하여 은 나노 입자가 도입된 수산화인회석의 경우에는 UV-Vis 영역에서 높은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Vinylanisole을 포함한 고굴절률 안의료용 렌즈 재료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hthalmic Lens Materials with High Refractive Index Containing Vinylanisole)

  • 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755-760
    • /
    • 2010
  • 본 연구는 3-vinylanisole과 4-vinylanisole를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NVP (N-vinyl-2-pyrrolidone) 그리고 개시제인 AIBN (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 1.4496 - 1.4894, 함수율 22.93 - 35.50%, 가시광선 투과율 88.8 - 90.8%를 나타내었다. 또한, 3-vinylanisole과 4-vinylanisol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굴절률은 증가하였으며, 함수율은 감소하였다. 3-vinylanisole과 4-vinylanisole을 15%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경우, UV-A 52.8 - 82.2%, UV-B 13.2 - 26.2%의 투과율을 나타내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자외선 차단성과 고굴절률을 가진 안의료용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진 항균성 안 의료용 소재에 관한 연구 (Study on Ophthalmic Materials Possessing UV-Blocking/Antimicrobial Functions)

  • 예기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60-464
    • /
    • 2010
  • 2-hydroxy-4-methoxy-benzophenone과 titanium(VI) isopropoxide를 나노 금과 나노백금을 사용하여 자외선 차단과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콘택트렌즈는 캐스트 몰드 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70^{\circ}C$에서 약 40분, $80^{\circ}C$에서 약 40분 건조하였다. 마지막으로 $100^{\circ}C$에서 약 40분 열처리 공정을 거쳐 공중합 하였다.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은 1.434 ~ 1.436, 함수율은 35.24% ~ 36.32% 그리고 가시광선 투과율은 88.3% ~ 90.8%를 나타내었다. 생성된 고분자는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데에 필요한 물리적 특성을 만족하였으며, 안 의료용 기능성 소재로의 응용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Preparation and Analysis of Functional Hydrogel Lenses Using Cerium Iron Hydroxide Nanoparticles

  • Shin, Su-Mi;Sung, A-Young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3-18
    • /
    • 2020
  • This study used cerium iron hydroxide nanoparticle with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the cross-linker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NVP (N-vinyl-2-pyrrolidone) and the initiator AIBN (azobisisobutyronitrile) for copolymerization. Als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lenses were compared, and their applicability as polymers for ophthalmic materials was experimented.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UV blocking rate and the wettability increased with the cerium iron hydroxide nanoparticles addition ratio, and the refractive index and water content were not affected. Thus, the produced copolymer is expected to be useful as a functional contact lens material while satisfying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of the hydrogel contact lens.

Effects of Package Materials on Quality Change of Pine Bud Beverage Under Ultraviolet Light

  • An, Duek-J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4호
    • /
    • pp.349-353
    • /
    • 2009
  • The effects of packaging materials on preserving the functional component of pine bud beverage stored under UV (ultraviolet) light exposure conditions were studied. The order of UV light blocking properties of the selected packages was: opaque can> opaque PET (polyethylene terepthalate) with green lamination=transparent PET with 10%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blending> transparent PET, and did not depend on film thickness in specified range. At 20${^{\circ}C}$, the order of preserving degree of original color and endobornyl acetate, which is quality index of pine bud beverage, was the same as above. Exposure to UV light can cause of deterioration of functional food components, but green color lamination and blending of PEN materials with transparent PET help to preserve the UV sensitive pine bud beverage components. However, the treated PET bottles have poorer preservation capabilities than the opaque cans. Transparent PET with PEN blending, in particular, will be very useful packaging material for colorful functional beverage preservation by helping to protect the ingredients while attracting consumer attention.

반사방지 코팅기술 기반 자외선 차단 기능의 고굴절률 안경렌즈 (Anti-Reflection Coating Technology Based High Refractive Index Lens with Ultra-Violet Rays Blocking Function)

  • 김기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482-487
    • /
    • 2016
  • 파장 400 nm 이하의 자외선은 눈 건강에 매우 해롭다. 특히 UVA (315 nm ~ 400 nm)는 백내장, 설안염, 초자체경화 등을 유발할 수 있고, UVB (280 nm ~ 315 nm)는 결막염, 각막염 및 설안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폴리머 안경렌즈를 사용함에 있어서 자외선의 차단 기능과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되는 빛을 증가시키고, 안경렌즈 표면에서 형성되는 허상을 방지하는 반사방지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m-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와 2,3-Bis-1-propanethiol 모노머 및 벤조트리아졸 UV 흡수제 (SEESORB 709), 안료 혼합물, 이염화 이부틸 주석 촉매제, 알킬인산 에스터 이형제 등의 혼합물을 인젝션 몰드 방법으로 열중합 공정을 적용하여, 굴절률 1.67의 고굴절률 폴리머 안경렌즈를 제조하였다. 폴리머 안경렌즈 표면에서의 반사를 줄이기 위하여 렌즈 양면에 다층박막 반사방지 코팅을 E-beam 증착 시스템으로 코팅하였다. 자외선 차단 폴리머 안경렌즈의 광학적 특성을 UV-visible spectrometer로 분석하였고, 반사방지층을 구성하는 박막의 굴절률, 표면거칠기 등과 같은 박막소재 특성을 각각 Ellipsometry 및 원자힘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조된 안경렌즈는 395 nm 파장 이하의 자외선을 99% 이상 완벽하게 차단하였다.

티타늄 실리콘 옥사이드 나노입자를 첨가제로 사용한 4-iodoaniline을 포함한 하이드로젤 착색 콘택트렌즈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Hydrogel Tinted Contact Lens Containing 4-iodoaniline using Titanium Silicon Oxide Nanoparticles as Additive)

  • 조선아;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5-322
    • /
    • 2014
  • 목적: 4-iodoaniline을 포함한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기본 재료에 티타늄 실리콘 산화물 나노입자를 첨가하여 친수성 착색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및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고 제조된 고분자의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하여 티타늄 실리콘 옥사이드 나노입자의 자외선 차단 안의료용 렌즈 소재로의 활용도 및 4-iodoaniline만을 기본 콘택트렌즈 재료에 공중합하여 두 실험군의 물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하이드로젤 렌즈 제조를 위해, HEMA, MA, MMA, 4-iodoaniline, 교차결합제인 EGDMA 및 개시제인 AIBN을 사용하여 공중합 하였다. 또한, 티타늄 실리콘 옥사이드 나노입자는 첨가제로 사용되었다. 중합 후 제조된 콘택트렌즈 재료의 함수율, 굴절률, 접촉각 및 분광투과율 등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하이드로젤 렌즈 고분자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35.01~ 38.68%, 굴절률 1.4350~1.4418, 접촉각 $34.15{\sim}57.25^{\circ}$ 그리고 UV-B 투과율의 경우 1.0~10.0%의 범위로 나타났다. 또한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실험군에서는 함수율 34.0~36.8%, 굴절률 1.4378~1.4420, 접촉각 $40.15{\sim}60.16^{\circ}$ 그리고 UV-B 투과율의 경우 1.8~25.0%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결론: 티타늄 실리콘 옥사이드 나노입자를 첨가한 조합에서 자외선 투과율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phthalmic Hydrophilic Silicone Lens Containing Zinc Oxide and Iron Oxide Nanoparticles

  • Shin, Su-Mi;Sung, A-Young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427-432
    • /
    • 2021
  • This study uses silicone monomer, DMA, crosslinking agent EGDMA, and initiator AIBN as a basic combination to prepare hydrogel lenses using fluorine-based perfluoro polyether and iron oxide and zinc oxide nanoparticles as additives. After manufacturing the lens using iron oxide nanoparticles and zinc oxide nanoparticles, the optical, physical properties, and polymerization stability are evalua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as a functional hydrogel lens material.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it is found that the addition of the wetting material containing fluorine changes the surface energy of the produced hydrogel lens, thereby improving the wettability. Also, the addition of iron oxide and zinc oxide nanoparticles satisfies the basic hydrogel ophthalmic lens properties and slightly increases the UV blocking performance; it also increases the tensile strength 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hydrogel lens. The polymerization stability of the nanoparticles evaluated through the eluate test is found to be excellent.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se materials can be used in various conditions as high functional hydrogel lens material.

The Performance Stability of Ophthalmic Material with UV-Block Effect Containing Hydroxyl Benzophenone Group and Tungsten Nanoparticles

  • Kim, Duck-Hyun;Sung, A-Young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97-103
    • /
    • 2017
  • In this study, the functional hydrogel ophthalmic lens containing tungsten oxide nanoparticles, 2,4-dihydroxy benzophenone and 2-hydroxy-4-(methacryloyloxy) benzophenone were manufactured.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AA(acrylic acid), the cross-linker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he initiator AIBN (azobisisobutyronitrile) and the functional additives including tungsten oxide nanoparticles, 2,4-dihydroxy benzophenone, and 2-hydroxy-4-(methacryloyloxy) benzophenone were used respectively. The measurements of water content and refractive index of the sample was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And also, the UV transmittance of produced lens containing 2,4-dihydroxy benzophenone, 2-hydroxy-4-(methacryloyloxy) benzophenone and tungsten oxide nanoparticles was measu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ncreased over time when 2-hydroxy-4-(methacryloyloxy) benzophenone was used as an additive, while the use of tungsten oxide nanoparticles influenced on blue-ray-blocking effect of the hydrophilic l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