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V blocking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46초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 특성 평가 (Evaluation of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of Contact Lenses)

  • 유동식;문병연;김도형;백선목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7-45
    • /
    • 2007
  • 자외선 차단 소프트렌즈, 통상의 소프트렌즈 및 RGP렌즈에 대한 광투과율 스펙트럼을 ANSI Z80.20 기준에 제시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가시광선 및 자외선에 대한 광투과율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특정 스펙트럼 파장 영역별, 즉 가시광선, UVA, UVB 및 UVC 영역별로 적분하여 계산하였다. 가시광선 영역의 평균 투과율은 3종류의 콘택트렌즈 모두 90% 이상으로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 허용 범위 내에 들었다. 자외선 차단 소프트렌즈의 경우 몇 개의 렌즈를 제외하고 UVA와 UVB 영역의 광투과율은 제시된 기준에 적합하였다. 통상의 소프트렌즈와 RGP 렌즈의 자외선 차단성은 예상했던 대로 낮았다. 이런 결과들은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 특성에 관한 정보 활용에 있어 현장의 안경사나 실무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아웃도어 라이프 활성화를 위안 페이스 커버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Face Cover Designs to Activate Outdoor Life)

  • 김찬주;노미경
    • 복식
    • /
    • 제59권1호
    • /
    • pp.47-59
    • /
    • 2009
  • This paper aimed at the development of face covers which is face protection articles for blocking UV rays and yellow sands, with a view to assist the further activation of outdoor life. The four-stage design process of field study, design, design evaluation, final selection of designs was set up for the effective product development. Field study included on-line and off-line market survey on the products for sale in market and observation on those wearing face covers. Depth interviews were done to know consumer understandings and satisfaction levels for current face covers. The results of market survey showed that most of the face covers currently in the market were mask types, which were produced for the blocking of dust and yellow sands rather than UV ray protection. The major clients of the mask were the women in their 30's-50's and the designs for these clients were very limited. Since the number of younger women and men enjoy the outdoor sports has increased, the face covers for these people should be developed. For this purpose, the direction of new face cover design had 2 points: diversification of design in terms of color, material, shape and giving seasonal differences. 12 designs were designed on the first design stage, but after both wearing test by 16 testees and UV ray blocking test to evaluate these designs, 6 face cover designs were finally selected.

고결정성을 갖는 이산화티탄 나노 졸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Property of Titanium Dioxide Nanosol with a High Crystalline Characteristics)

  • 심재경;박종권;조정은;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0권6호
    • /
    • pp.694-697
    • /
    • 2019
  • 최근에 이산화티탄 분말을 나노입자로 제조하거나 결정성을 향상하기 위해 1차원 구조인 nanowire, nanotube, 3차원 구조인 mesoporous 구형으로 생산하여 차단율과 반사율을 통한 광 전극 소재로의 활용과 피부 광 노화 방지에 더욱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alcohol을 용매로 사용하여 높은 결정성을 갖는 이산화티탄 나노 졸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이산화티탄 나노 졸은 FE-SEM과 XRD을 통해 결정성을 확인하였고, 자외선 차단율을 확인하기 위해서 UV-Vis로 투과율을 확인했다. 또한. 용매에 따른 결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부탄올, 프로판올, 에탄올을 이용하여 각각을 제조하였고, 용매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입자크기는 200~250 nm로 합성되었으며 광학적 투과율은 UVB, UVA 범위에서 높은 차단율을 보이고, 550 nm 파장에서 높은 투과율을 보여 태양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 향상과 소량 사용으로도 제품의 자외선 차단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고분자 중합 및 안 의료용 소재로의 적용 (UV Absorbent-added Polymerization and its Application as Ophthalmological Material)

  • 성아영;김태훈;예기훈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98-103
    • /
    • 2011
  • 본 연구는 자외선 흡수제로 사용되는 benzophenone계(group) 및 높은 굴절률과 화학적, 물리적으로 매우 안정한 물질로 알려진 $TiO_2$를 기존의 재료에 첨가하여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진 고분자 재료를 중합하였다. 중합 결과 생성된 고분자의 자외선 흡수 정도를 기존의 재료들과 비교하였으며,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함수율, 굴절률 및 광투과율등의 기본적인 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굴절률과 함수율은 각각 1.430~1.440, 35.0~45.0의 값들로 나타나 기존의 콘택트렌즈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각 파장대별 광투과율에서는 자외선 흡수제를 넣지 않은 콘택트렌즈에서는 UV-A, UV-B, 가시광선 투과율이 각각 89%, 88%, 89%로 나타나 자외선 투과율이 매우 높았으나, 2-hydroxy-4-methoxy-benzophenone와 2,4-dihydroxy-benzophenone을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경우, 각각 UV-A 0%, UV-B 6%의 투과율을 나타내어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iO_2$를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경우, 각각 UV-A 6%, UV-B 51%의 투과율을 나타내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시광선 투과율은 모두 77~89%로 콘택트렌즈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조건에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기능성 프탈로시아닌 물질의 제조 및 대전방지/UV 차단 특성 (Preparations and Antistatic/UV Blocking Properties of Dual Functional Phthalocyanine Materials)

  • 강영구;임대우;김시석;박병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6-71
    • /
    • 2008
  • $PcFe(4-VP)_2$[Pc: Phthalocyanine, 4-VP: 4-Vinylpyridine]와 $PcFe(VIM)_2$[VIM: 1-Vinylimidazole]의 제조를 재래식 방법인 유기용제 사용에 따른 폭발 및 유해증기 발생 위험성을 차단하기 위해 무용제 방식으로 ligand인 4-VP와 VIM을 반응매체로 하여 PcFe를 밀폐용기에서 용융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도입, 제조하여 분말상 진청록색의 물질을 제조하였다. 이들 물질은 $CH_2Cl_2$에 가용성인 $PeFeL_2$형태의 물질이다. 제조된 물질을 ATR-FTIR, UV/Vis, DSC/TGA, Surface Resistivity 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film 상태에서 UV/Vis 차단 특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대전 방지특성을 나타내며 또한 내열성이 우수한 물질이 제조되어 사용 및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피부 미용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의 개발 및 유효 안전성 (Development and Efficiency-Stabilization of UV Blocking Agents Used to Skincare)

  • 김상춘;남기대;이향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7-163
    • /
    • 1995
  • The ultraviolet blocking agents used to skincare are largely classified ultraviolet scattering agent and ultraviolet absorbent agents. There are UVC, UVB, and UBA in ultraviolet ray(UV) showing shorter wavelength than visible light. Both visible light and UVA give rise to 1st dark-skinned phenomena. On exposure of the skin to UV, phenomena of skin variation are termed sunburn or suntan. There are chronic and acute adverse reactions in skin response to UV. The latter is caused by UVB, which has mainly effects on the skin. But lately due to destruction of ozone layer, UVA has more serious irritation on the skin than UVB. In this paper spectrometric properties of UV absorbent agents such as PABA, octyl-PABA, Urocanic acid, and 2-hydroxy-4-methoxy benzophenone in vitro have been investigate.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hree fomer were more suitable than the last. UV scattering measurements on the sample used inorganic pigments showed that pigments containing titanium dioxide had a better scattering effects than the inorganic pigments such as $Fe_2O_3$, $Al_2O_3$, etc.

수산화인회석에 은이 도입된 자외선차단재료 (Ultraviolet Blocking Material Based on Silver-doped Hydroxyapatite)

  • 표은지;김영용;권기영
    • 공업화학
    • /
    • 제27권6호
    • /
    • pp.669-67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수산화인회석을 합성하였다. 또한 이온 교환 반응을 통하여 수산화인회석 표면에 은을 도입하였다. 합성된 샘플의 결정성과 형태를 X-선 회절 분석과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산란 반사 UV-vis 스펙트럼을 통하여 합성한 샘플의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은이 도핑된 수산화인회석의 경우 은이 수산화인회석 표면에 나노입자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X-선 회절 분석과 투과전자현미경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수산화인회석과 비교하여 은 나노 입자가 도입된 수산화인회석의 경우에는 UV-Vis 영역에서 높은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반사방지 코팅기술 기반 자외선 차단 기능의 고굴절률 안경렌즈 (Anti-Reflection Coating Technology Based High Refractive Index Lens with Ultra-Violet Rays Blocking Function)

  • 김기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482-487
    • /
    • 2016
  • 파장 400 nm 이하의 자외선은 눈 건강에 매우 해롭다. 특히 UVA (315 nm ~ 400 nm)는 백내장, 설안염, 초자체경화 등을 유발할 수 있고, UVB (280 nm ~ 315 nm)는 결막염, 각막염 및 설안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폴리머 안경렌즈를 사용함에 있어서 자외선의 차단 기능과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되는 빛을 증가시키고, 안경렌즈 표면에서 형성되는 허상을 방지하는 반사방지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m-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와 2,3-Bis-1-propanethiol 모노머 및 벤조트리아졸 UV 흡수제 (SEESORB 709), 안료 혼합물, 이염화 이부틸 주석 촉매제, 알킬인산 에스터 이형제 등의 혼합물을 인젝션 몰드 방법으로 열중합 공정을 적용하여, 굴절률 1.67의 고굴절률 폴리머 안경렌즈를 제조하였다. 폴리머 안경렌즈 표면에서의 반사를 줄이기 위하여 렌즈 양면에 다층박막 반사방지 코팅을 E-beam 증착 시스템으로 코팅하였다. 자외선 차단 폴리머 안경렌즈의 광학적 특성을 UV-visible spectrometer로 분석하였고, 반사방지층을 구성하는 박막의 굴절률, 표면거칠기 등과 같은 박막소재 특성을 각각 Ellipsometry 및 원자힘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조된 안경렌즈는 395 nm 파장 이하의 자외선을 99% 이상 완벽하게 차단하였다.

굴절률 1.60 광변색성 자외선 차단기능을 갖는 편광안경렌즈 연구 (A study on the polarized spectacle lens with photochromic UV blocking function of refractive index 1.60)

  • 한두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47-152
    • /
    • 2018
  • 자외선 완전차단 및 청색광을 일부 차단하고 광변색성을 가지는 편광안경렌즈를 개발하였다. 심야 운전이나 반사광에 의한 눈부심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자외선이 강한 공간에서는 선글라스 역할을 하며 평상시는 안경렌즈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안경렌즈이다. 광변색성은 명반응에서는 0.5초 암반응에서는 3초 정도의 회복시간이 걸렸다. 편광기능은 95% 정도를 얻었다. 자외선은 완전히 차단되었고 청색광은 30%정도의 저감 효과를 얻었다. 광변색성 및 자외선차단기능과 편광기능을 하나로 결합한 렌즈는 국내 시장을 조사한 결과 최초의 시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