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SB 보안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sign of an USB Security Framework for Double Use Detection (이중사용 방지를 위한 USB 보안 프레임워크의 설계)

  • Jeong, Yoon-Su;Lee, Sang-H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4
    • /
    • pp.93-99
    • /
    • 2011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makes user's personal data used by being saved in USB. But there is a critical issue that personal data can be exposed with malicious purpose because that personal data doesn't need to be certificate to use. This paper proposes USB security framework to prevent a duplicate use of personal data for protecting the data which in USB. The proposed USB security framework performs certification process of user with additional 4bite of user's identification data and usage choice of USB security token before certification data when the framework uses USB security product in different network. It makes communication overhead and service delay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packet certification delay time is more increased by average 7.6% in the proposed USB security framework than simple USB driver and USB Token, and procedure rate of certification server on the number of USB is also increased by average 9.8%.

포렌식 관점에서의 보안 USB 현황분석

  • Lee, Hye-Won;Park, Chang-Wook;Lee, Guen-Gi;Kim, Kwon-Youp;Lee,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2a
    • /
    • pp.63-65
    • /
    • 2008
  • 저장장치는 기술의 발달로 인해 대용량화가 가속화 되었고 휴대하기 편리하게 되었다. 그 중 휴대용 저장장치로 USB 대용량 저장장치가 널리 쓰이고 있다. 더 나아가 프라이버시와 기업의 기밀, 기술정보 유출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이러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보안기능을 제공하는 USB저장장치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수사 측면에서 볼 때 이러한 USB의 보안기능은 용의자에 의해 데이터를 은폐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현재 상황에 비추어 볼 때 보안기능이 있는 USB(이하 보안 USB)에 포렌식 관점에서 중요한 증거물이 저장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증거로서 보안 USB를 획득하였을 때, 해당 USB에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대비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보안 USB에 관한 동향 및 대처방안에 대해 논한다.

  • PDF

A Study on Security Solution for USB Flash Drive (USB 메모리를 위한 보안 솔루션에 관한 연구)

  • Lee, Sun-Ho;Lee, Im-Yeo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3 no.1
    • /
    • pp.93-101
    • /
    • 2010
  • A USB flash drive is a portable storage device. For its promising moderate price, portability and high capacity USB flash drive users are increasing rapidly. Despite these advantages USB flash drives have critical problems as well.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data leakage due to easy loss of the portable device. As these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ncidents increases various security measure solutions are produced and distributed. Despite these security measures and solutions it is not enough to perfectly protect personal data leakage. Hence the necessity of a more concrete, secure, user-friendly security measure solution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vide you with portable USB flash drive security solution analysis and provide you with the latest secure, user-friendly security measure solutions.

A Study on Making of Infrastructure through Utilizing USB Security Module and Active Directory (USB 보안 모듈과 Active Directory를 활용한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

  • Nam, Gi Cheol;Lee, Deok 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65-68
    • /
    • 2020
  • 자체 제작한 프로그램인 USB 보안 모듈과 Active Directory를 활용하여 서버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를 관리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한다. USB 보안 모듈과 기존 소극적인 보안 정책으로 인해 개인 또는 내부망으로 사용하고 있는 Active Directory의 보안 정책을 결합하여 극단적이고 폐쇄적인 강력한 보안 기능을 가능케 하며 그 효용성을 제안 한다.

A study on optimal security policy using USB security module and Active. (USB 보안 모듈과 Active Directory를 활용한 최적의 보안정책에 관한 연구)

  • An, Su Yong;Lee, Deok 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475-476
    • /
    • 2020
  • 자체 제작한 프로그램인 USB security module과 Active Directory를 활용하여 서버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USB 보안 모듈과 Active Directory의 보안정책을 결합하여 극단적이고 폐쇄적인 강력한 보안을 가능케 하며 보안정책별 효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Analysis on Vulnerability of Secure USB Flash Drive and Development Protection Profile based on Common Criteria Version 3.1 (보안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취약점 분석과 CC v3.1 기반의 보호프로파일 개발)

  • Jeong, Han-Jae;Choi, Youn-Sung;Jeon, Woong-Ryul;Yang, Fei;Won, Dong-Ho;Kim, Seung-J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7 no.6
    • /
    • pp.99-119
    • /
    • 2007
  • The USB flash drive is common used for portable storage. That is able to store large data and transfer data quickly and carry simply. But when you lose your USB flash drive without any security function in use, all stored data will be exposed. So the new USB flash drive supported security function was invented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In this paper, we analyze vulnerability of 6 control access program for secure USB flash drives. And we show that exposed password on communication between secure USB flash drive and PC. Also we show the vulnerability of misapplication for initialization. Further we develop a protection profile for secure USB flash drive based on the common criteria version 3.1. Finally, we examine possible threat of 6 secure USB flash drives and supports of security objectives which derived from protection profile.

Vulnerability Analysis and Demonstration of Fingerprint Authentication in Secure USB Drives: Based on Product F (보안 USB 지문 인증 취약점 분석 및 실증: F 제품을 기반으로)

  • Seunghee Kwak;Suwan Go;Junkwon Lee;Jaehyuk Lee;Jinseo Yun;Kyungroul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189-190
    • /
    • 2023
  • IT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식 저장장치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USB 저장 장치의 분실 및 탈취로 인한 민감 데이터의 노출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인증 방식을 적용한 보안 USB 저장장치가 등장하였지만, 소프트웨어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하여, 사용자 인증정보를 검증하는 함수가 노출되는 것과 같은 인증 과정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악용함으로써, 보안 USB 저장장치에 안전하게 저장된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지 못하는 보안 위협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안 USB 저장장치 중, F 제품을 대상으로, 지문 인증과정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분석하고 실증한다. 본 논문의 결과는 보안 USB 저장장치의 데이터 보호 및 인증기술을 더욱 안전하게 향상시키기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Authentication and Key Management Method based on PUF for Secure USB (PUF 기반의 보안 USB 인증 및 키 관리 기법)

  • Lee, Jonghoon;Park, Jungsoo;Jung, Seung Wook;Jung, Souhwa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B no.12
    • /
    • pp.944-953
    • /
    • 2013
  • Recently, a storage media is becoming smaller and storage capacity is also becoming larger than before. However, important data was leaked through a small storage media. To solve these serious problem, many security companies manufacture secure USBs with secure function, such as data encryption, user authentication, not copying data, and management system for secure USB, etc. But various attacks, such as extracting flash memory from USBs, password hacking or memory dump, and bypassing fingerprint authentication, have appeared. Therefore, security techniques related to secure USBs have to concern many threats for them. The basic components for a secure USB are secure authentication and data encryption techniques. Though existing secure USBs applied password based user authenti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secure authentication because many threats have appeared. And encryption chipsets are used for data encryption however we also concern key management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mutual device authentication based on PUF (Physical Unclonable Function) between USBs and the authentication server and key management without storing the secret key. Moreover, secure USB is systematically managed with metadata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uthentication server.

Exploit Tool Implementation for Secure USB Drive: Based on the Password Authentication of Product F (보안 USB 취약점 익스플로잇 도구 개발: F 제품 비밀번호 인증을 기반으로)

  • Suwan Go;Seunghee Kwak;Junkwon Lee;Jaehyuk Lee;Kyungroul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176-177
    • /
    • 2023
  • 최근 USB 저장장치의 데이터 노출 및 탈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안 USB 저장장치가 등장하였으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보안기술을 적용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인증 우회나 비밀번호 노출과 같은 취약점으로 인하여, 보안 USB에 저장된 중요한 자료나 민감한 정보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지속해서 발견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보안 USB의 취약점 연구도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보안 USB 취약점을 분석하는 것은 수동적이고,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취약점을 자동으로 진단하고 분석하는 도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동화된 취약점진단 및 분석 도구를 제작하기 위하여, F 제품을 대상으로, 해당 제품에서 제공하는 비밀번호인증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분석하고 실증하며, 그 결과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는 보안 USB 취약점 익스플로잇 도구 프로토타입을 개발한다.

The Secure Password Recovery Scheme at Secure USB System of On/Off-Line Enviroment (On/Off-Line 환경에서의 안전한 보안USB 비밀번호 복구방법)

  • Lee, Sun-Ho;Lee, I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677-678
    • /
    • 2009
  • USB메모리의 분실 및 도난을 통하여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증가함에 따라 보안USB 솔루션이 개발되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보안USB 솔루션은 비밀번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제공 하고 있어 비밀번호 분실 시 보안영역에 접근할 수 없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보안USB 솔루션에서 서버를 이용한 비밀번호 백업/복구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이 또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클라이언트에서 비밀번호를 변경 시 변경된 비밀번호가 서버에 동기화 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Off-Line 환경에서 변경된 비밀번호를 USB메모리에 안전하게 저장한 뒤 On-Line 환경으로 변경 시 변경된 비밀번호를 서버와 동기화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