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PER TORSO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5초

플라잉디스크 포핸드 및 백핸드 던지기 동작의 운동학적 특성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inematical characteristics of Forehand & Backhand Flying Disc Throwing)

  • 김미향;박종철;변경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555-563
    • /
    • 2019
  • 본 연구는 플라잉디스크의 포핸드와 백핸드 던지기 동작에 대한 정량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3차원 동작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운동학적 변인을 산출하였다. 연구 변인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플라잉디스크는 멀리 던지는 것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던지는 것이 중요하므로 P2와 P3에서는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어하고 관절의 회전 운동에 집중해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율적인 회전 운동을 위해 골반에서 몸통으로 회전력 전이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포핸드는 상지 관절의 움직임을 주로 활용하여 던지기 동작을 수행하는 반면 백핸드 던지기는 비교적 몸통 및 골반의 회전을 주로 활용하여 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정량적 자료를 바탕으로 플라잉디스크 현장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하이 웨이스트 스커트의 허리선높이와 스커트 길이 변화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차이 (Differences of Visual Image according to Changes in Waistlines and Lengths of High-Waist Skirts)

  • 권민정;어미경;서미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3호
    • /
    • pp.309-318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components of visual image by researching main image-related adjectives applied to high-waist skirts. In addition,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and mutual influences of visual images according to variations in the waistline and skirt length of high-waist skirts. The researchers made nine high-waist skirts-combinations of three different levels of waistlines and skirt lengths. The test involved 121 people who hold degrees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Textiles. The panels tested actual images of all models wearing the high-waist skirts shown on a computer scree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our factors affected the visual image as waist-height and skirt-length changed: attractiveness, upper-body compensation, length compensation, and hips compensation. Among these factors, attractiveness was estima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 torso and the hip were highlighted as the waistline increased from 3cm to 11cm, due to the optical illusion of a tighter skirt wrapping the bust, waist, and hips. As the waistline increased, the stature and leg length increased, possibly revising the overall appearance. For the skirt length, a length measuring 20cm above the knees, proved to be most attractive. This resulted in elongated height and leg length, and a slimmer overall look.

의복구성학 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 2010~2021년 까지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Clothing Construction Field - Focused on Korean Journal Publications from 2010 to 2021 -)

  • 이영주;신장희;채희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3-84
    • /
    • 2022
  •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research for rational clothing design and production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fashion industry by analyzing the most recent 11 years (from 2010 to 2021) with regard to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which is deeply related to clothing production, will suggest the direction of research for clothing design and production.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focusing on 525 research journal articles from six Korean clothing-related journals with terms related to torso and upper and lower limb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api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requires changes and innovations in all processes of clothing construction, including body shape analysis and pattern desig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both body shape and pattern research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to produce clothes with an excellent silhouette and fit depending on the body shape through studies, such as developing 3D patterns and converting 3D body figures into 2D patterns, among others. Second, since body shape studies are concentrated on young, middle-aged, and the elderly, it is believed that various body shap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infants 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significant changes in body shape due to changes in the living environment. Third, if the content of pattern research is expanded to various items and is widely conducted, it will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clothing that has an excellent fit. Fourth, at a time when aging in society is accelerating, it is believed that research on patterns and clothing systems that can increase the fit of clothing by analyzing the body types of elderly male and female consumers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Because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ly among six Korean academic journals,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expande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아동의 비만 실태 및 체지방율과 비만 판정에 사용하는 방법들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경북 의성 지역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f the Childhood Obesity in Uisung, Kyungbuk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ntage of Body Fat and Criterions Evaluation Obesity)

  • 신경희;권정숙;장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37-1044
    • /
    • 1996
  • 경북 의성초등학교 10~12세 남아 153명, 여아 156명 총 309명을 대상으로 1994년 12월 3일 부터 12월 20일까지 체격지수(BMI, RI)와 체지방율(%fat)을 근거로한 비만의 실태 파악과 비만 판정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방법들간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들의 평균 신장은 남아 143.6cm 여아 145.2cm, 평균 체중은 남아 37.1kg, 여 아 36.6kg으로, 상완위 둘레의 경우 평균이 남아 20.7cm, 여아 20.2cm로 나타났다. 2. 체격지수 중 BMI의 경우 남아 17.7, 여아 17.2, RI는 남아 123.9, 여아 118.2로 남아가 여아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체지방율의 경우 남아 14.1%, 여아 15.4%로 남아 보다 여아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3. 체지방율의 기준에 따라 조사대상 아동의 체격분포를 살펴 본 결과, 남아의 경우 여윔군 49명(32.0%), 정상군 91명(59.2%), 비만군 13명(8.5%), 여아의 경우 여윔군 71명(45.5%), 정상군 84명(53.8%), 비만군 1명(0.6%)으로 본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이 정상군에 속하였고, 비만의 출현율이 가장 높은 시기는 남녀 모두 12세로 나타났다. 4. 체격지수와 체지방율로 비만을 판정했을 때, BMI로는 39명(12.6%), RI로는 31명 (10.0%), 체지방율로는 14명 (4.5%)의 아동이 비만으로 나타났고, BMI와 RI모두에 의해서는 23명(7.4%), BMI와 체지방율 모두에 의해서는 10명(3.2%)의 아동이 비만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비만판정에 사용한 기준에 따라 비만 출현율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5. Triceps과 calf 피하지방두께의 합을 사용하는 Slaughter의 공식으로 산출한 체지방율과 비만 판정에 사용하는 기준간의 상관성에서 BMI는 남녀 각각 r=0.63, r=0.62를, RI의 경우 각각 r=0.56, r=0.49를 나타낸 반면, triceps과 subscapular의 합과의 상관성은 매우 높아 남녀 각각 r=0.91과 r=0.88을 나타내었다. 또한 국내아동을 대상으로 고안된 추정식으로 산출한 체지방율과의 상관관계도 매우 높아 남녀 각각 r=0.93과 r=0.88을 나타내었다. 6. 피하지방두께 중 신체하부조직인 Calf가 다른 피하지방두께에 비해 체격 지수인 BMI(r=0.815), RI(r=0.675) 및 체지방율 (r=0.565)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 PDF

인체 전력에너지 수확의류 개발을 위한 의복내 온도 측정의 기초적 고찰 (A study on the temperature inside clothing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the heat energy harvesting clothing)

  • 양진희;조현승;박선형;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6권1호
    • /
    • pp.125-132
    • /
    • 2013
  • 에너지 위기의식이 급격히 고조되고 지속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원이 이슈화되면서 휴대용 전자기기 산업의 발전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언제 어디서나 전력 수확을 가능하게 하는 인체 전력에너지 수확 시스템의 연구가 요청된다. 인체 에너지를 수확하는 방식의 하나인 열전은 인체와 주위 환경간의 온도차이로부터 에너지를 수확하는 방식으로, 본 연구에서는 열전수확에 적합한 의복의 구조와 소재를 탐색하여 인체 전력에너지 수확의류를 위한 기초적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의복의 폐쇄부 구조에 따른 환경 온도와 의복내 온도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의복의 소재에 따른 환경 온도와 의복내 온도 간의 차이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의복구조에 따른 의복내 온도에 있어서는 인체 부위에 따른 차별화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 가슴과 등 부위에서는 '폐쇄부 유'의 의복구조인 경우가 '폐쇄부 무' 의복구조에 비하여 의복내 온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팔 부위에서 다리 부위로 갈수록 '폐쇄부 유'와 '폐쇄부 무'의 의복구조에 따른 의복내 온도의 차이가 줄어들었다. 한편, 의복소재에 따른 환경 온도와 의복내 온도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소재 중 하나의 소재가 일관성 있게 더 높은 온도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인체 부위별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의복구조와 소재에 따른 환경 온도와 의복내 온도 간의 차이 결과를 토대로, 인체 전력에너지 수확의류를 위한 지침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