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CS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156초

Well-Defined Thermoresponsive Copolymers with Tunable LCST and UCST in Water

  • Jung, Seo-Hyun;Lee, Hyung-I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2호
    • /
    • pp.501-504
    • /
    • 2014
  • A thermoresponsive polymer, poly(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DMAEMA), was successfully synthesized by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Different amounts of 1,3-propanesultone were used as quaternization agent to transit the PDMAEMA into partially modified poly(zwitterions), resulting in p[DMAEMA-co-3-dimethyl(methacryloyloxyethyl)ammonium propanesulfonate] (PDMAEMA-co-PDMAPS). Molecular weight,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degree of quarternization were determin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1H NMR spectroscopy. The transmission spectra of the 1.0 wt % aqueous solutions of the resulting polymers at 650 nm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and the 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UCST) could be easily controlled by the different composition of dimethylamino and zwitterion groups. The effect of partial quaternization on thermoresponsive properties was also studi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with the same aqueous concentration (1.0 wt %) as employed for turbidimetry studies. The LCST and UCST values measured by DLS correlated well with those determined by turbidimetry.

Influence of Quaternization on UCST Properties of Hydroxyl-Derivatized Polymers

  • Lee, Hyung-I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10호
    • /
    • pp.3001-3004
    • /
    • 2014
  • A series of hydroxyl-derivatized quaternized polymers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by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and Cu(I)-catalyzed 1,3-dipolar cycloaddition of azide and alkynes (click chemistry), followed by quaternization reactions. ATRP was employed to synthesize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 followed by introduction of alkyne groups using pentynoic acid, leading to HEMA-Alkyne. 2-Azido-1-ethanol and 3-azido-1-propanol were combined with the HEMA-Alkyne backbone via click reaction, resulting in triazole-ring containing hydroxyl-derivatized polymers. Quaternization reactions with methyl iodide were conducted on the triazole ring of each polymer. Molecular weight,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the degree of quaternization (DQ) were determin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1H$ NMR spectroscopy.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M_n$) of the resulting polymers ranged from $5.9{\times}10^4$ to $1.05{\times}10^5g/mol$ depending on the molecular architecture.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was low ($M_w/M_n$ = 1.26-1.38). The transmission spectra of the 0.1 wt % aqueous solutions of the resulting quaternized polymers at 650 nm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Results showed that the 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UCST) could be finely controlled by the level of DQ.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PVA Gel의 상전이에 관한 연구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Phase Demixing of PVA Gel)

  • 홍성구;손정인;이인종;김수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2호
    • /
    • pp.117-128
    • /
    • 2001
  • DMF는 특별히 PVA에 대해 수소결합 등의 강한 상호작용을 하는 용매가 아니다. 오히려 UCST계로서 온도가 낮아질수록 상분리나 phase demixing을 일으킨다. PVA/DMF의 겔화는 x-ray 회절이나 열분석을 통해 crystallization-induced gelation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겔화 온도가 낮을수록 결정화는 빠르게 진행되었다. 소량의 PEG는 PVA/DMF 겔 형성을 도왔으며 urea는 겔 형성을 방해하였다. 전자현미경은 이 겔화 과정을 잘 보여 주었다. 갓 만들어진 젤은 표면에 깊은 주름이 있으며 아직 상분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의 상태로서 아주 미세한 DMF가 차지하는 공간인 구멍들이 사진에 포착되지 않는다. Aging시간이 길어지면서 상분리가 시작되면 표면의 분화구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이 분화구는 원래 용매상이 차지하고 있던 공간으로서 phase demixing에 의해 PVA chain들은 분화구 주변으로 분리된다. 상분리과정에서 PVA chain들은 서로 당겨져서 표면적이 줄어듬과 동시에 분화구 크기도 커진다. Aging에 따른 x-ray결과와 열적 성질은 이 모든 과정을 뒷받침한다.

  • PDF

경기 동부 지역 편마암복합체내의 일축압축강도와 점하중강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nd Point Load Strength within the Gneiss Complex in Gyunggi Province)

  • 차아름;송준호;최현석;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21-26
    • /
    • 2007
  • 터널이나 지하굴착의 설계와 시공에서 암석의 강도평가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암석의 일축압축강도시험(UCST)를 실시하기에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며 시험개수에도 제한을 받는다. 이 방법을 보완하기 위한 시험법으로 제시된 것이 점하중강도 시험(PLST)이다. 그러나 실무에서는 지역과 암종에 따른 구분없이 점하중강도 지수를 통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강도를 유추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기 편마암복합체내 일축압축강도와 점하중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시공현장에서 사용하는 식에 대한 값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공극수 오염이 시멘트 고화처리된 사질토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ore Water Contamination on the Cement Treated Sandy Soil)

  • 유찬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44-152
    • /
    • 2003
  •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ore water contamination on the treatment effect of sandy soil which was solidified by Portland cement. In the experiments, setting time of hydraulic cement that was mixed with contaminated mixing water was measured using Vicat equipment and observed the tendency of setting process with the kind of contaminants, organic or inorganic components. It was shown that organic contaminants of the mixing water affect largely on the initial setting process of hydraulic cement and inorganics, expecially heavy metals, did not affect on the initial setting process, otherwise it was appeared that setting time of the sandy soil that was contaminated with inorganic components was apparently faster than the sandy soil that did not include inorganic components even though organic concentrations was relatively low level (COD=200∼300) in the mixing water. The results of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test (UCST) were well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Vicat equipment test.

P4VP과 PDP로 이루어진 Molecular Bottle-brush의 Order-Disorder Transition에 미치는 P4VP 분자량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Molecular Weight of Poly(4-vinylpyridine) on the Order-Disorder Transition of Molecular Bottle-brush Composed of Poly(4-vinylpyridine) and 3-Pentadecylphenol)

  • 최종렬;조항규;전현애;노시태
    • 폴리머
    • /
    • 제24권4호
    • /
    • pp.488-498
    • /
    • 2000
  • 주쇄로 poly(4-vinylpyridine) (P4VP)과 양친매성 측쇄로 3-pentadecylphenol (PDP)의 수소결합을 통해서 molecular bottle-brush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bottle-brush에 대하여 P4VP의 pyridine기 대 PDP의 몰비 (x)와 P4VP 분자량에 따른 액정성의 구조, 상전이온도( $T_{ODT}$)와 bottle-brush 층간거리 ( $L_{p}$)변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P4VP-PD $P_{x}$ bottle-brush는 상온영역에서 미세상분리를 이루고 있는 라멜라구조로 조사되었다. Bottle-brush의 온도에 따른 상거동에 대한 조사에서 상한임계온도(UCST)거동을 나타내었다. 또한 P4VP의 분자량별로 x가 0.8-0.9일때 최대온도를 나타내었으며, P4VP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상전이가 높은 온도에서 일어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쇄긴 P4VP의 유동성과 라멜라구조의 크기와 규칙성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Bottle-brush의 라멜라구조 분석시 bottle-brush의 $L_{p}$는 35 $\AA$에서 40 $\AA$로 x보다는 P4VP의 분자량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P4VP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L_{p}$도 증가하였으나, 일정 크기이상으로 분자량이 커졌을 경우, 오히려 거리가 감소하거나 증가하지 않는 결과를 얻었다.결과를 얻었다.다.

  • PDF

새로운 BET 희석제를 이용한 고다공성 폴리에틸렌 분리막 제조 (Fabrication of a High Porous Polyethylene Membrane Using BET as a Novel Diluent)

  • 조인현;이수미;김창근
    • 폴리머
    • /
    • 제38권4호
    • /
    • pp.530-534
    • /
    • 2014
  • 다양한 기공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분리막은 리튬이차전지의 격리막과 마이크로필터로 사용되고 있다. 폴리에틸렌 분리막을 대용량 리튬이차전지의 격리막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고다공성 분리막의 제조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열유도 상분리 공정으로 고다공성 폴리에틸렌 분리막을 제조하는데 있어, BET가 무독성 희석제로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실험하였다. 폴리에틸렌/BET 혼합물의 UCST-거동을 관찰하여 BET가 폴리에틸렌 다공막 제조용 희석제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폴리에틸렌/BET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분리막이 같은 조성에서 폴리에틸렌/파라핀 오일로부터 제조된 분리막에 비해 1.8배 높은 기공도를 나타내었다.

고압상태의 다양한 용매 내에서 Poly(methylmethacrylate) (PMMA)의 상거동 (Phase Behavior of Poly(methylmethacrylate) (PMMA) in Varions Solvents at High Pressure)

  • 김제일;유기풍;임종성
    • 청정기술
    • /
    • 제13권1호
    • /
    • pp.28-3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variable volume view cell이 장착된 상평형 장치를 사용하여 고압 상태의 다양한 용매 내에서 고분자인 Poly(methylmethacrylate) (PMMA)의 구름점(cloud point)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용매는 chlorodifluoromethane (HCFC-22), dimethylether (DME), 1,1,1-trifluoroethane (HFC-143a), 1,1-difluoroethane (HFC-152a), 1,1,1,2-tetrafluoroethane (HFC-134a) 이였으며, 이들 용매에 $CO_2$를 첨가한 $HCFC-22+CO_2$$DME+CO_2$의 이성분계 혼합용매에서 $CO_2$의 조성 변화가 PMMA의 상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PMMA는 HCFC-22에서는 340K, 5MPa 정도의 가장 낮은 온도 압력 조건에서부터 잘 용해되었으며 DME에서는 300K, 28MPa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 압력 범위에서 잘 용해되었으나, 그 밖의 불소화합물인 HFC-143a, HFC-152a, HFC-134a에서는 423.15K, 160MPa의 높은 온도 및 압력범위에서도 전혀 용해가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PMMA+HCFC-22 혼합물에 $CO_2$를 첨가한 $PMMA+HCFC-22+CO_2$계의 경우는 LCST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의 상거동을 보였으나 PMMA+DME 혼합물에 $CO_2$를 첨가한 $PMMA+DME+CO_2$계의 경우는 UCST (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의 상거동을 보였다. $CO_2$ 혼합용매 내에서 cloud point 압력은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되는 $CO_2$의 양에 비례하여 급격히 높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PMMA를 SAS (supercritical antisolvent) 법에 의해 미세입자화 할 경우 $CO_2$가 DME와 HCFC-22에 대한 역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O_2$의 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PMMA의 cloud point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