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서비스

검색결과 1,789건 처리시간 0.024초

가치단계 확장에 따른 u-City 수익모델 도출 방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u-City Revenue Model using Value extension phase)

  • 김민관;김정민;이차영;김일겸;한창희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2-125
    • /
    • 2009
  • 본 연구는 u-City에서 제공하는 u-서비스의 새로운 수익모델 창출을 위한 접근 방안으로 사용자 중심의 접근을 시도 했으며 u-서비스에 사용자가 부여하는 가치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용자가 부여한 가치의 확장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 또는 수익모델 창출의 기회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자가 부여하는 1차적인 가치는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가치로 그 의미가 확장될 수 있었다. 확장된 가치를 근간으로 기존에 고려하지 못한 새로운 서비스와 수익모델을 발굴할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할 수 있었다. u-서비스의 수익모델 창출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안으로써 사용자 가치에 대한 고려는 실질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할 사용자에 기초한 관점으로 사용자 중심의 u-서비스 개발 및 수익모델 발굴에 중요한 연구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 PDF

U-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사서의 인식과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and Perception of Librarian about U-Library Service)

  • 정윤;정우권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3-293
    • /
    • 2014
  • 이 연구는 U-도서관 서비스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여 U-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U-도서관 서비스가 합리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U-도서관 서비스를 시행한 전국의 10개 지자체를 선정하여, 사서들의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U-도서관 서비스 운영의 차이점인 업무독립성 유무, U-도서관 서비스 운영주체인 사서들의 고용형태 차이에 따라 U-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적 연구방법(설문조사, 방문조사, 전화 인터뷰)을 사용하였다.

니즈분석을 통한 PMP 서비스 옵션 가치 평가

  • 김기일;김근환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9년도 동계학술발표회
    • /
    • pp.295-310
    • /
    • 2009
  • 휴대용멀티미디어플레이어(이하 PMP)는 2004년 국내에 등장하여 음악과 더불어 영화 및 동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해주고 있는 인기 있는 개인용 전자기기이다. 그러나 수요가 둔화되고, 업체들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새로운 기능,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학습서비스가 시행되면서 다시 수요가 살아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현재 존속하는 서비스에 대한 평가 및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검증이 요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니즈 조사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이용되고 있는 서비스들의 상황을 분석하고, 신규 서비스에 대한 수요 가치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이 된 기존 상용 서비스는 게임, DMB, 영화, 음악, 네비게이션, 전자사전, 전자책, 이러닝, 만화, 무선인터넷였고, 신규 서비스는 u-Commerce, u-Health, u-Security, u-Public였다. 본 연구결과 PMP 응용 수요선호도 순위는 영화, TV, 음악 순이었으며, 신규서비스 u-Commerce, u-Health, u-Security, u-Public 옵션들에 대한 구매의향 평균가는 68,102원으로 나타났다.

  • PDF

수요·공급자를 통합한 u-서비스 우선순위 평가모형 개발 (Development of U-Service Priority Model Based on Customer and Provider's View)

  • 장재호;엄정섭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2-147
    • /
    • 2008
  • 유비쿼터스 서비스(u-서비스) 우선순위 평가에 대한 선행연구는 공급자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결과의 타당성에서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특히 지금까지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부분의 유비쿼터스 추진사업은 u-서비스 사업 우선순위가 정책담당자의 경험이나 직관, 또는 소수전문가들의 경험적 지식 등에 의존하여 선정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위해 u-서비스 공급자 측면과 수요자 측면의 요구를 모두 충족할 수 있는 u-서비스 우선순위 평가모형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u-서비스 우선순위 모형개발을 위해 선행 연구를 토대로 수요자와 공급자의 서비스 결정요인을 탐색적으로 도출하고, 전문가와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u-서비스 결정의 확정적 요인을 추출하였다. 도출된 요인들을 계층분석(AHP)모형으로 설정하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요인별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u-지역정보화에서 제시한 대구지역의 특화서비스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대구지역은 지역물류지원서비스, 시각장애인 길안내 서비스, u-텔레매틱스 서비스가 상위권을 차지한 반면, u-지역정보화에서 제시한 안전방재지원서비스와 산업특화거리 등의 서비스는 중위권을 차지하고 있어 공급자 위주의 u-서비스 선정결과와는 차별성을 보였다.

  • PDF

시민 친화적인 U-City 구현을 위한 서비스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ority Service for the Implementation of Citizen-frienly U-City)

  • 조용준;안승주;장정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605-608
    • /
    • 2010
  • 효율적인 국토관리 및 국가산업 육성, 이를 통한 대시민 서비스를 강화하고자 U-City 구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U-City 구현을 위한 인프라 및 요소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서비스, 공간 등에 대한 연구와 상호 호환 및 연동에 대한 기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도시민의 수요와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서비스 제공과 개념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서비스가 중복 개발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U-서비스의 과다한 중복생산을 지양하고, U-City에 거주하는 도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시민친화적 서비스를 도출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민의 요구를 반영한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항목을 도출하였고, 서비스 제공의 우선순위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U-서비스 도입시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결과의 타당성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 PDF

효율적인 도시 통합 운영센터를 위한 u-City 관제 서비스 분석 (The Analysis of u-City Management and Control service for Efficient City Integration management center)

  • 엄태영;이성환;김우주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6-109
    • /
    • 2009
  • u-City 통합운영센터는 u-City 운영의 가장 기본이면서 기존 도시와 u-City를 차별화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따라 도시통합운영센터에서 효과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u-City 서비스 선정을 위한 분류가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u-City 도시통합운영센터의 중요 기능인 관제에 해당하는 서비스들을 분류하고 향후 u-City 도시통합운영센터를 구축할 때 관제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서비스들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 PDF

도시시설물관리를 위한 u-서비스 모델 (U-Service Model for Urban Facility Management)

  • 유성열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1호
    • /
    • pp.167-182
    • /
    • 2012
  • 최근 들어,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u-도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도시 관심 분야 중, 유비쿼터스 기술 기반의 도시시설물 관리 u-서비스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정의하고, 시설물 관리 u-서비스 모델을 정의한다. 아울러, u-서비스 모델 구체화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써, 서비스 기능, 서비스 프로세스, 서비스 참여자 간의 관계에 대해 제시한다. 먼저 원격모니터링, 원격제어 및 조회, 상황정보제공, 현장지원, 시설물 이력관리의 다섯 가지 서비스 기능에 대해 제시한다. 또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서비스 참여자간의 수요, 공급 관계에 대해서도 제시한다.

  • PDF

u-City사업의 최적 u-서비스군 선정을 위한 가치평가모형 (u-SEM) 개발 (Developing u-Service Evaluation Methodology for Optimal u-Service Group of u-City Project)

  • 변완희;조현우;이용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53-164
    • /
    • 2007
  • 현재 국내에서는 정부 및 지자체를 중심으로 u-City를 도시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인식하고 활발하게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도시의 목표나 특성에 적합한 서비스 도출을 위한 선정방법이 미흡하여, 한정된 예산과 도시 전 분야에 걸친 과다한 서비스, 복잡한 이해관계로 인한 사업비용과 시간지연, 낮은 서비스 수준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새로운 u-서비스군 선정방법론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한 u-서비스군 선정방법론은 법 제도나 기술제약의 엄격한 적용과 다양한 변수를 통해 서비스군의 가치를 산출하였고, 서비스군의 다양한 조합으로부터 최적의 서비스군을 선정할 수 있는 가치평가모형(u-SEM)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본 모형은 사업추진상의 복잡도로 나타나는 비우호적이고 영향력이 높은 이해관계자의 수를 가치평가의 중요한 요인으로 포함하였고, 궁극적으로 복수의 u-서비스군 대안을 경제효과, 복잡성, 구축비용 등으로 종합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 PDF

u-City 서비스를 위한 기술 참조모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echnical Reference Models For Ubiquitous City Service)

  • 이경현;이종면;박종건;안두헌;김화종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51-54
    • /
    • 2008
  • 유비쿼터스도시(u-City) 에서 제공할 서비스 즉, u-City서비스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술을 u-City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u-City서비스, u-City 기반시설 그리고 u-City 기술들 간의 관계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서 u-City 기술 참조모델을 정의하였다. 이러한 참조모델을 사용함으로써 u-City 구축자, 서비스 제공자, 운영자, 이용자 등 여러 u-City 참여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서비스-기술 연계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u-IT 세부 기술이 발전하고 새로운 u-City 서비스가 추가되어도 이를 원활히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U-City 서비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ffecting Factors of U-City Service Acceptance)

  • 한동훈;김광수;임춘성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3-74
    • /
    • 2014
  • 유비쿼터스 도시(이하 U-City)는 ICT 기술을 활용하여 도심화의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수익 창출 저하 및 시민체감형 서비스의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U-City 서비스의 인식은 부정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중심의 수익창출형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U-City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반연구로서 U-City에 생활하는 시민들은 어떠한 요인에 의해 U-City 서비스를 수용하는지에 대해 도출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기본모델로는 새로운 기술수용 연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였다. 기술수용모델의 변수들은 U-City의 특성을 반영하여 사용자, 기술, 서비스 관점으로 나눠 설계하였다. 실제 U-City 선정 지역 중 7개 도시의 600명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의 주요 내용들을 이론적인 측면과 실용적인 측면으로 나눠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U-City 서비스 설계시 기반 연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