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방재도시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the Regional Circumstances for u-Safe City Service Development (u-방재City 서비스 개발을 위한 지역별 수요조사 분석)

  • Kim, Hyun-Ju;Lee, Kye-June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70.1-70.1
    • /
    • 2010
  • u-방재City는 첨단 IT 인프라를 기반으로 유비쿼터스기술과 단위서비스를 활용하여 시민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재난으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한 도시이며, u-방재City 서비스란 도시의 지능화된 기반시설과 정보통신망을 활용하여 재난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해 재난의 사전 예방과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로 정의된다. 이러한 u-방재City 서비스는 지역간 서비스간 상호 운용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며 국가재난관리의 큰 틀 내에서 추진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재난발생 특성과 서비스 수요 및 인프라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여야 한다. 본연구는 u-방재City 서비스의 체계적인 개발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지역의 재난발생 특성과 재난관리 업무현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 여건, 서비스 수요 및 요구사항 등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u-방재City 서비스 개발 및 운영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of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for U-city (U-City 재난 대응역량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Hee-Soon;Lee, Jeong-Il;Yoon, Hyung-Goo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5
    • /
    • pp.55-66
    • /
    • 2010
  • As people's living standards and expectations for life increase, by applying advanced technology in the city, to enhance the convenience and safety needs are being expanded gradually. Accordingly, so the future of the city to see a viable alternative to that the ubiquitous city fuse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large-scale projects conducted at the national level. Sectoral Disaster Prevention is ready for sure how much the lack of response capabilities in the field for checking solution has been suggested for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These results present a Sectoral Disaster Prevention response capabilities somewhat different in were identified. Through these are proposed policy recommendations about Sectoral Disaster Prevention and insufficient areas of step response capabilities and building fire protection system approach combines ubiquitous technology in the new paradigm rather than traditional disaster management, greet era of ubiquitous.

Estimation of Vulnerable Disaster Areas to Establish Busan U-City Model (부산시 U-City 모델 구축을 위한 재해취약지 분석)

  • Jeon, Sang-Soo;Jang, Hyun-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2
    • /
    • pp.65-73
    • /
    • 2008
  • Since the damages caused by disasters increase every year associated with wrenching climatic chang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social structure, the efficient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to reduce damages and an assessment of the vulnerable disaster areas is necessary to prevent and mitigate the damages. In this paper, we have estimated the vulnerable disaster areas based on the records of the past damage histories and performed the risk assessment of the social infrastructures in Busan city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real-time monitoring system and the systematic approach for disaster prevention system to build V-City model. These results are illustrated by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and the order of vulnerable disaster areas are also estimated.

Citizen Participation-Based Smart Phone Application's Potential Development throughout Open API Mashup (Open API Mashup 활용한 시민 참여형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가능성에 관한 연구)

  • Ki, Jung-H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5
    • /
    • pp.93-101
    • /
    • 2012
  •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nd disaster prevention, variou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GIS) and design softwares have been in use. Recently urban planners and disaster managing officials face new challenges, as three dimensional GIS, web environment, and smart phone app are rapidly developed. Technical progress in open API and mashup opens a possibility of making the citizen participation-based smart phone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nd disaster prevention. Our suggested smart phone applications will have technical, economic, and administrative impacts on the society in general; and play an effective role in developing U-City, U-health, and disaster prevention.

U-City Service Taxonomy and Define for Construction of U-City Management Center (U-City 통합운영센터 구축을 위한 서비스 분류 및 정의에 관한 연구)

  • Baek, Nam-Seok;Kim, Byoung-Gun;Leem, Choon-Seo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5a
    • /
    • pp.110-114
    • /
    • 2009
  • 최근 정보기술과 유비쿼터스기술을 바탕으로 도시를 미래화하는 유비쿼터스도시(U-City)구축이 범 국가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2008년 9월 25일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발표하였으며,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U-City Service)를 크게 행정, 교통, 보건 의료 복지, 환경, 방범 방재, 시설물 관리, 교육, 문화 관광 스포츠, 물류, 근로 고용 등의 분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를 제공하고 운영 및 관리하는 시설로 유비쿼터스도시 통합운영센터(U-City Management Center)는 다양한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도시정보를 통합, 분석하고 제공하는 유비쿼터스도시 핵심기능을 담당한다. 하지만 이러한 유비쿼터스도시 통합운영센터의 구축은 운영조직구성, 운영비용확보, 통합서비스 제공방안, 법 제도 정비 등의 해결과제를 가지고 있어 구현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유비쿼터스도시 통합운영센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 유형을 제시하고 정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