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rosinase

검색결과 1,530건 처리시간 0.027초

미백 기능성 화장품 원료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In Vitro 색소화피부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In Vitro Pigmented Skin Model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Whitening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s)

  • 김설영;이건희;곽은지;김수지;이수현;임경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97-30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미백 기능성 화장품 및 원료의 효능을 평가하는 동물대체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세포수준과 색소화피부모델(KeraSkin-MTM)에서 기존에 잘 알려진 4종의 미백기능성원료(arbutin, ascorbic acid, kojic acid, niacinamide)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특히 기존 시험법의 보완을 위해 인체피부유래 케라틴세포와 멜라닌세포를 혼합하고 공배양하여 색소화피부모델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색소화피부모델을 이용하여 미백효능을 평가함으로써 세포수준에서는 확인이 어려웠던 각 피부세포층에 따른 멜라닌 과립과 멜라닌캡(melanin cap)의 분포 등의 지표들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미지분석을 통한 정량화로 음성대조군 대비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KeraSkin-MTM을 이용한 미백효능평가법이 기존에 사용하던 총멜라닌함량와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평가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법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SM4 를 이용한 레드비트 생물전환물의 항산화, 피부 미백과 자외선 흡수 효능 연구 (A Study on Antioxidant, Skin-Whitening and UV Absorption Effect of Beta vulagaris Using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SM4)

  • 염서희;강민호;박제훈;김소희;김진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25-23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SM4를 이용하여 Beta vulagaris의 생물전환물(BBE)의 피부미백 및 자외선 흡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TPC),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TFC), 라디칼 소거 활성(RSA),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TAI)를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 및 미백활성을 평가하였다. BBE의 TPC와 TFC는 25.0 mg GAE/g DM, 8.05 mg QE/g DM으로 각각 열수 추출물(HWE) 대비 1.3, 1.1 배 높았다. 항산화 활성 지표인 RSA와 피부 미백 효과 지표인 TAI가 각각 36.8%, 68.6%로 HWE보다 1.1, 1.2 배 높았다. BBE의 UVA와 UVB 흡수율은 각각 21.4, 87.6%로 HWE보다 1.4, 1.7 배 높았다. 또한 LC-MS/MS를 이용한 BBE의 주요 물질을 분석을 통해 항산화 및 피부 미백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폴리페놀의 일종인 kaempferol과 isorhamnetin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BBE는 항산화, 피부 미백, 자외선 흡수 특성이 우수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Whitening and inhibiting NF-κB-mediated inflammation properties of the biotransformed green ginseng berry of new cultivar K1, ginsenoside Rg2 enriched, on B16 and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 Xu, Xing Yue;Yi, Eun Seob;Kang, Chang Ho;Liu, Ying;Lee, Yeong-Geun;Choi, Han Sol;Jang, Hyun Bin;Huo, Yue;Baek, Nam-In;Yang, Deok Chun;Kim, Yeon-J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631-641
    • /
    • 2021
  • Background: Main bioactive constituents and pharmacological functions of ripened red ginseng berry (Panax ginseng Meyer) have been frequently reported. Yet, the research gap targeting the beneficial activities of transformed green ginseng berries has not reported elsewhere. Methods: Ginsenosides of new green berry cultivar K-1 (GK-1) were identified by HPLC-QTOF/MS. Ginsenosides bioconversion in GK-1 by bgp1 enzyme was confirmed with HPLC and TLC. Then, mechanisms of GK-1 and β-glucosidase (bgp1) biotransformed GK-1 (BGK-1) were determined by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Results: GK-1 possesses highest ginsenosides especially ginsenoside-Re amongst seven ginseng cultivars including (Chunpoong, Huangsuk, Kumpoong, K-1, Honkaejong, Gopoong, and Yunpoong). Ginseng root's biomass is not affected with the harvest of GK-1 at 3 weeks after flowering period. Then, Re is bioconverted into a promising pharmaceutical effect of Rg2 via bgp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ell assays, BGK-1 shows decrease of tyrosinase and melanin content in 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challenged-murine melanoma B16 cells. BGK-1 which is comparatively more effective than GK-1 extract shows significant suppression of the nuclear factor (NF)-κB activation and inflammatory target genes,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Conclusion: These results reported effective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of BGK-1 as compared to GK-1.

갈근 추출물의 스트레스성 백모 형성 억제 효과 (Anti-Graying Effect of Pueraria Lobata Root Extract on Stress-Induced Hair Graying)

  • 홍민정;박병철;홍용덕;김수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7-293
    • /
    • 2022
  • 흰머리는 대표적인 노화의 징후이자 피부, 모발 노화의 특징이다. 내인성 노화, 스트레스, 외부 환경으로 인해 백모가 발생하는데, 조기 백모 발생에는 스트레스가 주요한 요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과거 우리는 갈근 추출물이 멜라닌 형성 촉진을 통해 백모를 케어를 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으며, 이에 갈근 추출물이 스트레스에 의한 백모 형성 또한 예방 할 수 있을지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멜라닌 생성 주요 전사인자인 MITF 발현을 확인 할 수 있는 세포주를 구축하였다. 스트레스 호르몬 cortisol과 산화 스트레스 유발 인자 H2O2를 처리할 경우 MITF 발현이 감소하고, 인체 모낭 조직에서 멜라닌 색소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여기에 갈근 추출물을 함께 처리할 경우 MITF 발현과 모낭 내 멜라닌 색소 량이 다시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모낭 내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TRP-2의 발현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갈근 추출물은 스트레스 호르몬과 산화 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멜라닌 합성 저해도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밤나무 잎 추출물 함유 크림의 안정성 및 피부 보습효과에 관한 연구 (2) (A Study on the Stability and Moisturizing Effect for the Cream Containing Castanea crenata Leaf Extract)

  • 김진영;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1-30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밤나무 잎의 50 % ethanol 추출물로부터 얻은 ethyl acetate 분획을 0.2 % 함유한 제품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추출물 함유 크림을 8주 동안 태양광선에서의 노출과 다양한 온도($4^{\circ}C$, $20^{\circ}C$, $37^{\circ}C$$45^{\circ}C$) 하에서 2주 간격으로 pH, 흡광도 및 점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밤나무 잎 추출물 함유크림(시험제형)과 함유하지 않은 크림(비교제형)의 pH 및 점도 측정 결과 태양광선, $4^{\circ}C$, $20^{\circ}C$ 하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37^{\circ}C$, $45^{\circ}C$ 하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시험제형과 비교제형의 변화 양상이 같은 것으로 보아 밤나무 잎 추출물은 크림의 점도 감소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다만, 크림 제조 시 크림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의 조성 및 성분들 간의 물리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점도 변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흡광도 측정에서는 2주 후 전체적으로 감소가 있었으나, 4주 후 측정시에는 2주 후에 측정치와 거의 동일한 값을 나타내어 밤나무 잎 추출물이 안정화 된 것으로 보여진다. 첨부해서, 추출물 함유 크림과 대조군 크림은 8주 동안 동일한 실험 조건에서, 변취나 변색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크리밍이나 응집과 같은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밤나무 잎의 ethyl acetate 분획 함유 크림을 피부에 도포한 후 경표피 수분 손실량과 피부 수분 함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밤나무 잎의 ethyl acetate 분획 함유 크림은 피부에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밤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은 비교적 안정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제품에 응용 시 사전 연구에서 나타난 항산화 및 미백과 주름개선에 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보완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화장품의 제품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동아 추출물과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생리활성 및 과민성대장증후군 개선 효과 (Biological Activity and Improvement Effect on Irritable Bowel Syndrome of Wax Gourd Extract and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 안용근;장병철;박세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7-145
    • /
    • 2013
  • 동아(冬瓜, wax gourd, Benincase hispida) 추출물과 프로바이오틱 유산균(Lactobacillus casei와 Bifidobacterium bifidum)(이하 유산균이라 한다)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동아 추출물은 안기오텐신전환효소의 활성을 47.9%,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13.2% 저해하였고, 항산화 활성을 23.4% 나타냈다. 설사 증세자 120명에게 동아 추출물 제제를 72시간 복용시킨 결과 117명이 개선되었고, 6~12시간째에 개선율이 가장 높았다. 개선율은 80%가 치료되는 상태를 기준하였다. 유산균 제제는 안기오텐신전환효소의 활성을 21.4% 저해하였다. 설사 증세자 120명에게 유산균 제제를 72시간 복용시킨 결과 108명이 개선되었고, 24시간째에 개선율이 가장 높았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과민성대장증후군 개선을 위한 동아 추출물과 유산균을 함유한 제제(tablet)를 개발하였다. 이 제품은 안기오텐신전환효소의 활성을 27.1% 저해하였고, 항산화 활성을 20.3% 나타냈다. 인체폐암 A549 세포에 100 ${\mu}g/m{\ell}$ 및 250 ${\mu}g/m{\ell}$ 농도로 이 제제를 가하여 24시간 반응시킨 결과, 세포 증식을 67% 억제하였고, 동아 추출물 제제나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제제 단독으로 작용시킨 것보다 억제율이 높았다. 또 이 제제를 인체대장암 HCT116 세포에 100 ${\mu}g/m{\ell}$ 농도로 가한 결과, 24시간 후 세포 증식이 70% 억제되었고, 동아 추출물 제제나 유산균 제제 단독으로 작용시킨 것보다 개선율과 개선 속도가 높았다. 이 제제를 설사형, 변비형, 일반형의 과민성대장증후군 증세자 164명에게 72시간 복용시킨 결과 100% 개선시켰으며, 개선율은 3~6시간째에 가장 높았고, 동아 추출물 제제나 유산균 제제 단독으로 사용한 것보다 개선율과 개선속도가 높았다.

붉은 지렁이(Lumbricus rubellus) 체내로부터 정제한 Phenoloxidase (Endogenous Phenoloxidase Purified from an Earthworm, Lumbricus rubellus)

  • 백승렬;조은정;유경희;김유삼;서정진;장정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6-46
    • /
    • 1996
  • 붉은 지렁이(Lumbricus rubellus)로부터 체내에 존재하는 phenoloxidase (EPO)를 ammonium sulfate. Blue-2, Phenyl-, Q-sepharose chromatography등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이 효소는 SDS-PAGE상에서 59 kDa의 분자량을 갖는 단일 단백질로 나타났으며 nondenatudng-PAGE를 이용하여 DL-dopa를 기질로 in situ 염색 결과, 210 kDa 보다 다소 큰 단일 band가 dopachrome 침착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는 곧 이 효소가 자연상태에서 복합체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 효소는 monophenolase 활성도, 즉 tyrosine을 dopa로 전환시키는 활성도도 갖고 있음을 470nm에서 dopachrome축적을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Phenyithiourea(PUT), 1, 10-phenanthroline, EDTA, EGTA등을 사용한 효소억제 실험 결과, PTU만이 65 $\mu$M의 IC 0.5로 효소 활성도를 효과적으로 억제시켰다. 이는 EPO의 촉매기작에서 구리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효소는 L-dopa를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35$^{\circ}C$와 pH8.0에서 최적의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EPO의 L-dopa에 대한 Km은 pH6.5와 8.0에서 각각 1.86 mM과 13.8 mM로 나타났다. 또한, pH 8.0에서 Vmax는 pH 6.5에서 보다 약 6.6배 높은 반면, 각 조건에서 촉매 효율성은 거의 차이가 없음 [(kat/Km)pH8.0/(kcat/Km)pH6.5 = O.92]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사실은 EPO 촉매기작에 미치는 pH의 효과가 효소 자체에보다는 기질 또는 효소-기질 복합체 형성과정에 영향을 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사실을 종합해 보면, L. rubellus에 존재하는 phenoloxidase는 oligomeric form을 가지며 활성화 되기 위한 제한적 단백질 가수분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prophenoloxidase activating system의 존재 가능성을 완전히 배재할 수는 없으나 지렁이 체내의 PO는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latent from으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외부 침입시 host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EPO를 latent from으로 유지 시킬 수 있는 또는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조절기작의 존재를 예측하게 한다.

  • PDF

하고초(Prunella vulgaris) 추출물의 생리활성 (The Biological Activity from Prunella vulgaris Extracts)

  • 김진성;이주영;박기태;안봉전;이선호;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4-241
    • /
    • 2013
  • 하고초(Prunella vulgaris)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은 물과 4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18시간 이상 추출하였을 때 9.25 mg/g, 8.74 mg/g 함량으로 가장 많이 용출되었다. 항산화효과 중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는 물 추출물과 40% ethanol에서 각각 79%와 75%를 나타내었으며, 농도별 ethanol 추출물에서 모두 50%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을 측정한 결과는 ethanol 추출물의 모든 구간에서 70% 이상의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으며, 그 중 40% ethanol 추출물에서 97%의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력으로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를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에서 1.10의 값으로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ethanol 추출물 전 구간에서는 0.92 이하의 PF값을 나타내었다. 활성 산소 중 지방산화를 일으키는 hydroxyl radical에 대한 하고초 추출물의 영향은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 전 구간에서 대조구 보다 낮은 TBARs 값을 나타내었다. 하고초 추출물의 주름개선효과의 경우 $200{\mu}g/mL$ phenolics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의 경우 39.24%를 ethanol 추출물에서는 43.68%의 가장 높은 저해력을 보였으며, 수렴효과는 ethanol 추출물 $1000{\mu}g/mL$이상의 phenolics 농도에서 대조구인 tannic acid와 비슷한 98.1%의 저해력을 보였다. 미백효과를 확인결과 가장 높은 농도인 $200{\mu}g/mL$ phenolics에서 물 추출물의 경우 35.74%, ethanol 추출물에서 42.67%의 저해력을 나타내어 대조구인 kojic acid의 65.25%보다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yaluronidase의 저해활성의 경우 물 추출물과 ethanol추출물 모두 $150{\mu}g/mL$ 이상의 phenolics 농도에서 대조구인 vitamin C보다 높은 저해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하고초 추출물이 미용식품 또는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천연물 유래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신소재 개발 (Development of New Natural Antioxidants for Cosmeceuticals)

  • 유익동;김종평;김원곤;윤봉식;유인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9-357
    • /
    • 2005
  • 미생물, 버섯류, 약용식물 등 천연물 대사산물로부터 미백, 주름개선용 화장품 신소재로 활용 가능한 항산화 신소재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Eupenicillium shearii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4개의 phenol계 항산화 활성물질을 순수하게 분리하고 화학구조를 결정하여 melanocin A-D로 명명하였다. Melanocin $A{\sim}D$ 화합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EC_{50}21{\sim}94{\mu}M$, superoxide 소거활성은 $EC_{50}\;7{\sim}84{\mu}M$로 arbutin 및 BHA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주름개선 효과도 매우 우수하였다. 기와층버섯(Inonotus xeranticus) 자실체 추출물로부터 강력한 항산화 활성물질인 히스피딘계 신물질을 얻어 inoscavin A로 명명하였다. Inoscavin A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은 $EC_{50}\;0.03{\mu}g/mL$, rat의 간 microsome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EC_{50}$$0.3{\mu}g/mL$로서 ${\alpha}-tocopherol$$1.5{\mu}g/mL$, BHA의 $4.9{\mu}g/mL$ 보다 우수하였다. Streptomyces nitrosporeus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신규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물질을 benzastatin $A{\sim}G$를 분리하였다. Benzastatin $A{\sim}G$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EC_{50}$$3{\sim}30{\mu}M$로 매우 우수하였다. Penicillium sp. 균주로부터 미백활성물질을 탐색하여 cyclopentene계 화합물인 terrein을 얻었다. Terrein은 kojic acid 보다 약 10배 이상 강력한 미백활성을 나타낸 반면, $100{\mu}M$ 농도에서도 비교적 안전한 화합물로 확인되었으며, 작용기전은 MITF 단백질을 조절함으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Loss of EMP2 Inhibits Melanogenesis of MNT1 Melanoma Cells via Regulation of TRP-2

  • Enkhtaivan, Enkhmend;Kim, Hyun Ji;Kim, Boram;Byun, Hyung Jung;Yu, Lu;Nguyen, Tuan Minh;Nguyen, Thi Ha;Do, Phuong Anh;Kim, Eun Ji;Kim, Kyung Sung;Huy, Hieu Phung;Rahman, Mostafizur;Jang, Ji Yun;Rho, Seung Bae;Lee, Ho;Kang, Gyeoung Jin;Park, Mi Kyung;Kim, Nan-Hyung;Choi, Chang Ick;Lee, Kyeong;Han, Hyo Kyung;Cho, Jungsook;Lee, Ai Young;Lee, Chang H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0권2호
    • /
    • pp.203-211
    • /
    • 2022
  • Melanogenesis is the production of melanin from tyrosine by a series of enzyme-catalyzed reactions, in which tyrosinase and DOPA oxidase play key roles. The melanin content in the skin determines skin pigmentation. Abnormalities in skin pigmentation lead to various skin pigmentation disorders.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the expression of EMP2 is much lower in melanoma than in normal melanocytes, but its role in melanogenesis has not yet been elucidate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role of EMP2 in the melanogenesis of MNT1 human melanoma cells. We examined TRP-1, TRP-2, and TYR expression levels during melanogenesis in MNT1 melanoma cells by gene silencing of EMP2. Western blot and RT-PCR result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levels of TYR and TRP-2 were decreased when EMP2 expression was knocked down by EMP2 siRNA in MNT1 cells, and these changes were reversed when EMP2 was overexpressed. We verified the EMP2 gene was knocked out of the cell line (EMP2 CRISPR/Cas9) by using a CRISPR/Cas9 system and found that the expression levels of TRP-2 and TY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MP2 CRISPR/Cas9 cell lines. Loss of EMP2 also reduced migration and invasion of MNT1 melanoma cells. In addition, the melanosome transfer from the melanocytes to keratinocytes in the EMP2 KO cells cocultured with keratinocytes was reduced compared to the cells in the control coculture group.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P2 is involved in melanogenesis via the regulation of TRP-2 ex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