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phoon wave height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1초

제3세대 파랑추산모형을 이용한 태풍 ‘매미’의 극한파랑 재현 (II) - 태풍 ‘매미’가 야기한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의 극한파랑 특성 - (Reproduction of Extreme Waves Caused by Typhoon MAEMI with Wave Hindcasting Method, WAM (II) - Characteristics of extreme waves generated by Typhoon MAEMI in the south coast of Korea -)

  • 신승호;홍기용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745-751
    • /
    • 2004
  • 본 연구근 신 등(2004)의 후속연구로서, 연근해의 상세 공간 분할의 계산에 적용하여 높은 정밀도의 파랑 추산이 가능한 수정 WAM cycle 4모형을 토대로 2003년 9월 한 달 동안의 파랑을 상세히 추산하고, 태풍 ‘매미’가 야기한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의 극한파랑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계산된 파랑 제원은 이어도 해양종합기지에서 관측된 파랑 제원과의 비교를 통하여 모형의 정밀도를 확인하였고, 우리나라 남해안주요 4개 지점의 전면 해상에 대해서는 1시간 간격의 파랑 추산 결과의 분석을 통해 태풍 ‘매미’가 야기한 외해 극한파랑을 다음과 같이 추산하였다. 1) 제주도 서편 차귀도 전면 해상; 2003년 9월 12일 16시에 최대 유의파고 7.41m, 평균 주기 13.6s, 평균 파향 6.4$^{\circ}$, 2) 마산만 입구; 12일 21시에 최대 유의파고 12.50m, 평균 주기 13.65s, 평균 파향 1.2$^{\circ}$, 3) 부산 수영만 전면 해상; 12일 22시에 최대 유의파고 13.85m, 평균 주기 13.81s, 평균 파향 0.2$^{\circ}$, 4) 울산항 전면 해상; 12일 23시에 최대 유의파고 11.00m, 평균 주기 13.25s, 평균 파향 $2.8^{\circ}$.

X-band 레이더 기반 파고 추정 방법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Wave Height Estimation base on X-band Radar)

  • 양영준;박준수;박승근;권순홍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71-576
    • /
    • 2015
  • 본 논문은 X-band 레이더 기반 파고추정 방법의 비교연구에 대한 내용으로, 신호 대 잡음비 및 음영비를 이용하였다. 신호대 잡음비의 경우 기존 파고 추정을 위한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음영비의 경우 새로이 제시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레이더 영상의 경우 울산 주전해안에서 계측된 자료이며, 기상청 등표에서 계측된 해양기상정보와 비교하였다. 자료는 약 34일동안 계측된 자료를 비교하였으며, 동해안 태풍 진출 기간 자료를 확보하여 다양한 파고분포에 대한 결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음영비를 이용한 파고추정의 경우, 부이와의 보정이 필요 없는 장점과 실시간 파고 계측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일부 풍속, 타 물체 탐지 등 레이더 영상의 외적 요소에 의한 오차 발생의 요인을 파악하였다.

Analysis of Offshore Wind Tower against Impulsive Breaking Wave Force by P-Y Curve

  • Kim, Nam-Hyeong;Koh, Myung-Ji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85-391
    • /
    • 2015
  • In offshore, various external forces such as wind force, tidal current and impulsive breaking wave force act on offshore wind tower. Among these forces, impulsive breaking wave force is especially more powerful than other forces. Therefore, various studies on impulsive breaking wave forces have been carried out, but the soil reaction are incomplete. In this study, the p-y curve is used to calculate the soil reaction acting on the offshore wind tower when an impulsive breaking wave force occurs by typhoon. The calculation of offshore wind tower against impulsive breaking wave force is applied for the multi-layered soil.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how that although the same wave height is applied, the soil reaction generated by impulsive breaking wave force is greater than the soil reaction generated by wave force.

연안역에서 고파랑과 폭풍해일을 고려한 침수해석 (Inundation Analysis Considering Water Waves and Storm Surge in the Coastal Zone)

  • 김도삼;김지민;이광호;이성대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5-41
    • /
    • 2007
  • In general, coastal damage is mostly occurred by the action of complex factors, like severe water waves. If the maximum storm surge height combines with high tide, severe water waves will overflow coastal structures. Consequently, it can be the cause of lost lives and severe property damage. In this study, using the numerical model, the storm surge was simulated to examine its fluctuation characteristics at the coast in front of Noksan industrial complex, Korea. Moreover, the shallow water wave is estimated by applying wind field, design water level considering storm surge height for typhoon Maemi to SWAN model. Under the condition of shallow water wave, obtained by the SWAN model, the wave overtopping rate for the dike in front of Noksan industrial complex is calculated a hydraulic model test. Finally, based on the calculated wave-overtopping rate, the inundation regime for Noksan industrial complex was predicted. And, numerically predicted inundation regimes and depths are compared with results in a field survey, and the results agree fairly well. Therefore, the inundation modelthis study is a useful tool for predicting inundation regime, due to the coastal flood of severe water wave.

대진 연안의 장기 파랑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Long-term Wave Characteristics off the Coast of Daejin)

  • 정원무;조홍연;백원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142-147
    • /
    • 2015
  • 동해 중북부에 위치한 대진항 북측 연안에서 7년간 취득한 파랑자료를 스펙트럼법과 파별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대표적인 파랑 특성을 검토하였다. 유의파고는 동계에 크고 하계에 작으며, 첨두주기도 동계에 길고 하계에 짧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관측된 최대 유의파고는 6.59 m였으며 1216호 태풍 산바(SANBA)에 의하여 발생되었다. 유의파고와 첨두주기 모두 그 분포 형태를 Generalized Gamma 및 Generalized Extreme Value 분포함수보다는 Kernel 분포함수가 보다 잘 재현하였다. 한편, 인근 해역에서의 설계 및 시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파고 자료를 월별 및 파고구간별로 세분하고 누적출현율을 제시하였다.

체결형상을 고려한 해저케이블 보호공법에 관한 실험 (Experiments on the Submarine Cable Protection Methods Considering the Connection Type)

  • 윤재선;하태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29-329
    • /
    • 2017
  • In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protection methods by examining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round the point in which marine cable protector is installed such as surf zone occurrence point of shore-end submarine cables suitable for coastal marine environmental conditions, flow rate t the tope of the protector and maximum wave heigh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protection method. In performing hydraulic model experiments, the topography of submarine cable installation location was reproduced in 2-D sectional channel, and models appropriate for experimental scale and similitude law were produced and installed for each condition of submarine cables and protectors. Since the topography and submarine cable protectors were reproduced and installed in 2-D sectional channel, the exact reproduction of surf and transformation in shallow water zone was possible, and thus the physical properties could be clearly analyzed. For stability review, an experiment to examine the stability was conducted using a wave maker with 50-year frequency design waves as target, and wave height and cycles were applied based on the approximate lowest low water level(Approx. L.L.W), which is the most dangerous in submarine cable protection methods. As for experimental time, typhoon passing time in summer (about 3 hours) was applied, and wave patterns and deviation ratio of the submarine cable protector were investigated after making irregular waves corresponding to design waves. In addition, current meter and wave height meter were installed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ubmarine cable protector, and the flow rates and wave height at the top of the protector were measured and analyzed to review hydraulic properties.

  • PDF

SWASH 모형을 이용한 태풍 나크리(NAKRI)에 의한 해운대 해수욕장의 쇄파대 수리특성 해석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 in Surf Zone using the SWASH Model during Typhoon NAKRI(1412) in Haeundae Beach)

  • 이종섭;박명원;강민호;강태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91-59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태풍 나크리에 의한 해운대 해수욕장의 쇄파대 수리특성을 SWASH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파랑관측자료를 바탕으로 태풍 나크리 내습 시의 대표파를 선정하였다. 수치모형에서 입사파는 JONSWAP Spectrum에 의한 불규칙파로 선정하였다. SWASH 모형에 의해 산정된 해빈류 패턴은 현지관측자료와 비교하였으며 수치모형에서 산정된 최대소상고는 비디오 모니터링 자료 및 경험식과 비교하였다. 최대소상고의 위치는 비디오 모니터링 자료에 나타난 파흔을 이용하여 유추하였으며 태풍 NAKRI(1412) 내습 시 S 계열의 파랑이 지배적으로 작용하였으며 동백섬측에서 미포측으로 연안류가, 해운대 해수욕장 중앙부근에서 이안류가 발생하였다. SWASH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한 최대소상고(1.15 m)는 비디오 모니터링 자료(1.26 m)와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냈으며 Stockdon et al.에 의해 제시된 경험식(1.33m)과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다.

The Modulation of Currents and Waves near the Korean Marginal seas computed by using MM5/KMA and WAVEWATHC-III model

  • Seo, Jang-Won;Chang, You-Soon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Clean Environment
    • /
    • pp.37-42
    • /
    • 2003
  • We hav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 surface winds and wind waves near the Korean marginal seas on the basis of prediction results of the sea surface winds from MM5/KMA model, which is being used for the operation system at the Korea Meteorological observation buoy data to verify the model results during Typhoon even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models and observation data reach up to about 95%, supporting that these models satisfactorily simulate the sea surface winds and wave heights even at the coastal regions. Based on these verification results, we have carried out numerical experiments about the wave modulation. When there exist an opposite strong current for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the waves or wind direction, wave height and length gets higher and shorter, and vice versa. It is proved that these modulations of wave parameters are well generated when wind speed is relatively week.

  • PDF

기후변화에 따른 북서태평양에서의 미래 파랑 전망 (Projection of the Future Wave Climate Changes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 박종숙;강기룡;강현석;김영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267-275
    • /
    • 2013
  • HadGEM2-AO 기후모델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와 파랑 모델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북서태평양에서의 미래 파랑 기후를 전망하였다. 21세기말 북서태평양에서 연 평균 풍속이 현재보다 낮아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연 평균 유의파고도 낮게 전망되었다. 현재 기후에 비해서 21세기 말 연평균 유의파고는 RCP4.5 시나리오의 경우 2~7% 감소하고, RCP8.5의 경우 4~11%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극한파랑의 경우도 유의파고 및 풍속이 현재에 비해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계절별로 분석한 결과 겨울철의 극한파랑은 연 극한 파랑과 비슷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여름철의 경우 북서태평양에서는 현재보다 증가할 것으로 나타나 미래에는 태풍의 강도가 강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Sea Environmental Design Criteria for Coastal and Offshore Structures

  • Liu, Defu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6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19-22
    • /
    • 1996
  • Extreme sea statistics and combinations of environmental events or response for structures are very important problem in performance evaluation and design of coastal and Offshore structures. A probabilistic method is developed that leads to the combination of Typhoon (Hurricane) or winter storm induces winds, waves, currents and surge for a generic site. The traditional recommendation for the fixed structures is a combination of the 100 years maximum wave height with the 100 years wind and current.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