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nnel portal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 일반국도 터널 갱구사면 특성 통계 분석 (Statistical Analysis about Characteristics of Tunnel Portal Slopes on the National Highway in Korea)

  • 권오일;백용;구호본;배규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45-750
    • /
    • 2005
  • The demand of tunnels has been increased for the linear improvement of general national highway, and road construction and/or enlargement in Korea. Also, the collapses of tunnel portal slope have been increased in recent due to heavy rain caused by global warming. Therefore, it has been risen the requirement of system for the stability of tunnel portal slope in Korea as well as all over the worl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effective maintenance system for supervising the tunnel portal slope. This paper is a basic proposal to execute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and state of the tunnel portal slopes that were already installed along general national highways.

  • PDF

지형과 사교하는 갱구부의 비탈면 최소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inimization of Cutting Slope around Tunnel Portal)

  • 정관식;박지훈;김건호;이완재
    • 한국터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터널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59-371
    • /
    • 2005
  • The Cutting slope is to be minimized when a tunnel meets the contour of slope terrain at a right angle around its portal. However, a tunnel portal has been generally installed at a right angl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a tunnel with no consideration of the intersection angle with the slope terrain. This sometimes tended to cause huge cutting slope that resulted in many disadvantage in terms of safty, economy and environment. Therefore, the minimization of cutting slope is studied by taking the intersection angle into account, and the result is compared with that by the conventional method. In addition a design method for the inclined portal to the tunnel axis is proposed through 3D-FEM analysis, also the applicable ground condition is suggested.

  • PDF

Numerical analysis on stability of express railway tunnel portal

  • Zhou, Xiaojun;Hu, Hongyun;Jiang, Bo;Zhou, Yuefeng;Zhu, Yong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57권1호
    • /
    • pp.1-20
    • /
    • 2016
  • On the basis of the geological conditions of high and steep mountainous slope on which an exit portal of an express railway tunnel with a bridge-tunnel combination is to be built, the composite structure of the exit portal with a bridge abutment of the bridge-tunnel combination is presented and the stability of the slope on which the express railway portal is to be built is analyzed using three dimensional (3D) numerical simulation in the paper. Comparison of the practicability for the reinforcement of slope with in-situ bored piles and diaphragm walls are performed so as to enhance the stability of the high and steep slope. The safety factor of the slope due to rockmass excavation both inside the exit portal and beneath the bridge abutment of the bridge-tunnel combination has been also derived using strength reduction technique. The obtained results show that post tunnel portal is a preferred structure to fit high and steep slope, and the surrounding rock around the exit portal of the tunnel on the high and steep mountainous slope remains stable when rockmass is excavated both from the inside of the exit portal and underneath the bridge abutment after the slope is reinforced with both bored piles and diaphragm walls. The stability of the high and steep slope is principally dominated by the shear stress state of the rockmass at the toe of the slope; the procedure of excavating rockmass in the foundation pit of the bridge abutment does not obviously affect the slope stability. In-situ bored piles are more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deformation of the abutment foundation pit in comparison with diaphragm walls and are used as a preferred retaining structure to uphold the stability of slope in respect of the lesser time, easier procedure and lower cost in the construction of the exit portal with bridge-tunnel combination on the high and steep mountainous slop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numerical analysis in the paper can be used to guide the structur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express railway tunnel portal with bridge-tunnel combination on high and abrupt mountainous slope under similar situations.

도로터널의 갱구부 경관설계가 터널 내부조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landscape design of road tunnel portal to interior lighting of tunnels)

  • 이미애;이동희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497-50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도로터널 조명설계에 있어서 내부조명의 밝기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갱구부 경관을 L20법 측정을 통하여 수치 해석적으로 고찰하였다. 갱문 형식별로 휘도인자를 추출하고 갱구부 주변시설물의 재료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동영상 휘도계 HI-LAND ELF SYSTEM과 면휘도계 LMK Mobile advanced로 촬영하여 휘도 분석을 하였다. 국내의 터널은 대부분 산악지대에 분포되어 L20각도 내에서 휘도가 가장 높은 하늘이 점하는 비율이 거의 없으며, 터널 입구주변이나 도로노면에 의한 휘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L20각도 내에서 갱문의 면적이 넓게 보이는 면벽식의 경우는 주변이나 노면에 비해 밝은 휘도를 나타냄으로서 터널내 경계부 휘도를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터널 갱구주변의 도로시설물도 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휘도기반의 터널조명 설계 시 갱문의 형식 및 갱구부 주변시설물에 대한 면적, 재료, 색상 등이 외부휘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해 터널 내부조명의 밝기 레벨 설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되므로 갱구부 경관설계 시 이에 대한 검토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도감소법을 이용한 산악터널 갱구부의 안전영역 평가 (An Assessment of Safety Zone for Mountain Tunnel Portal Using Strength Reduction Technique)

  • 홍창수;황대진;이강호;유광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25-930
    • /
    • 2006
  • During the excavation of a tunnel portal, failure zones around the tunnel heading occur and also the ground supports itself. In a portal, its location and the ground characteristic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tability of the tunnel. Therefore, the failure mechanism of a tunnel heading and how to assess the stability of the tunnel are very important. In this paper, the numerical analyses were executed to evaluate the safety factor using strength reduction technique. The influence area of an excavation was also predicted through a case study in which no-support case and support case with the Pattern P-6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ground class and the shear strain.

  • PDF

A Grid Web Portal for Aerospace

  • Lim Sang-Boem;Kim Joo-Bum;Kim Nam-Gyu;Lee June-H.;Kim Chong-Am;Kim Yoon-Hee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6년도 PARALLEL CFD 2006
    • /
    • pp.107-112
    • /
    • 2006
  • A wind tunnel simulation requires high-performance computing power like supercomputers and deep knowledge of this subject. Those requirements make win tunnel simulation difficult. Grid technology will make these difficulties simpler by providing easy to use grid web portal. By using grid web portal, scientist can execute simulation and access to high-performance computing power without any serious difficulties. In this paper will present a grid web portal for a wind tunnel simulation that is used in Aerospace area.

  • PDF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대퇴골 터널에 있어 전내측 삽입구의 유용성 (Usefulness of Anteromedial Portal for Femoral Tunneling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강민수;김인보;김경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8-124
    • /
    • 2008
  • Purpose: Recent development and advances in the arthroscopic surgical techniques for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have led to the ideal location for more oblique anatomic point of the femur from 10 to 10:30 o'clock(in the right knee) and from 2 to 1:30 o'clock(in the left knee) in the frontal plan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operative methods and the radiologic results of the femoral tunnels made through the tibial tunnel(trans-tibial approach) and the anteromedial portal.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3 to May 2004, on hundred reconstructions of ACL were performed. Group I(the femoral tunnel made through the tibial tunnel) consisted of 50 cases and group I(the femoral tunnel made through the anteromedial portal) consisted of 50 cases. The operative methods and the radiographic results of the femoral tunnels were compared. Results: Femoral tunnel was made more easily at more oblique anatomic point in group II than in group I. In group II, better visual field was achieved at the angle of 100? flexion of the knee joint, the risks of the posterior cortical breakage and the tunnel-graft mismatching were reduced more, and the divergence of femoral interference screw from the radiograph decreased more than in group I(p<0.05). The angle between the femoral tunnel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ACL increased in group II. Conclusion: Anteromedial portal technique was useful for femoral tunneling toward 10 to 10:30 o'clock(in the right knee) and 2 to 1:30 o'clock(in the left knee) in ACL reconstruction. Level of Evidence:Level III, case-control study.

  • PDF

급경사 지형에 위치하고 있는 갱구부의 굴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xcavation of Tunnel Portal Zone Located at High Steep Slope)

  • 김우성;이상은
    • 화약ㆍ발파
    • /
    • 제26권2호
    • /
    • pp.38-44
    • /
    • 2008
  • 최근에 국내의 도로건설계획은 기존도로의 선형을 개량하거나 변경하는 데에 중점을 두므로, 건설하고자 하는 도로는 보다 현재 직선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의 지형은 대부분 산악지로 구성되어 있어 도로선형의 직선화에 따라 많은 교량과 터널의 계획이 불가피하며, 일부 산악터널의 갱구부는 터널굴착시 작업공간이 협소한 가파른 지형을 갖는 산안 계곡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가파른 지형에 터널 갱구부 굴착시 대안으로 역방향 굴착을 들 수 있는데, 3가지의 중요한 고려사항이 있다. 첫째, 적정한 폭, 높이, 그리고 길이로 Pilot 터널을 계획하는 것이며, 둘째, 터널 갱구부의 편토압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고, 셋째, 갱구부의 얕은 심도의 지반조건에 대한 터널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3차원 수치해석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역방향 굴착의 적정성 및 Pilot 터널의 적용 범위를 제안코자 한다. 해석결과 Pilot 터널은 터널 안쪽 $20{\sim}25m$ 지점 전부터 갱구부 쪽으로 굴착하는 것이 적정함을 보이고 있다.

수평 아치형 터널 갱구부 비탈면의 역학적 거동 (Mechanical Behavior of Tunnel Portal in Horizontal Arch Slope)

  • 양문상;이상덕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50-61
    • /
    • 2000
  • 터널의 갱구부는 터널에서 3차원 거동을 가장 뚜렷하게 보이는 부분이며 대체로 풍화가 진행되어 거의 토사화되어 있는 취약한 암반에 시공됨에 따라 비탈면은 잠재적인 활동체가 되게 된다. 터널 갱구부 비탈면에서 안정에 위해되는 요인이 발생했을 경우 파괴가 급속히 진행되어 대형사고로 이어질수 있으므로 특별한 안정화 대책이 필요하여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갱구부 비탈면을 수평 아치형으로 굴착하게 되면 굴착량이 줄어서 경제적이고 자연훼손이 줄어들며 보다 안전하고 아름다운 형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인식부족으로 인하여 이와 같은 시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면벽식 갱구부가 보편화 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치형 갱구부 비탈면의 이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3차원 수치해석을 ㄷ형과 아치형 비탈면에 대하여 각각 수행하여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으며 터널 굴진과 암반강성에 따른 갱구부 비탈면의 안정성은 비탈면에서 발생되는 최대전단변형율과 막장면에서 터널굴진에 따른 소성접근도를 분석하여 검토하였다.

  • PDF

국내 터널 갱구사면 데이터베이스관리 시스템 개발 및 상태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data base system and pattern analysis of tunnel portal slope in Korea)

  • 백용;권오일;구호본;배규진;이승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213-225
    • /
    • 2004
  • 일반 국도의 선형개량사업 및 도로 확포장 사업의 일환으로 터널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들어 집중호우 및 이상기후로 인하여 국지적인 강우가 발생하여 갱구사면의 붕괴도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터널 갱구사면 피해 및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대처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일반국도변에 기설치 운영되고 있는 터널 갱구사면의 현황 및 상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개발, 향후 유지관리를 위한 상태평가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도변의 터널 갱구사면의 형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현장 조사를 통하여 국내의 터널을 진입형태, 갱문형식, 터널 유형 등 기하학적인 형태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입력, 수정 및 조회가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조사된 갱구사면의 위험상태에 대한 등급을 분류하기 위한 상태평가 기준표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등급을 분류하였다. 본 상태평가를 이용하여 국도변의 터널 갱구사면을 분류하여 위험 등급에 따라 향후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