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nic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17초

양식 멍게(Halocynthia roretzi)의 물렁증 발생에 미치는 절식의 영향 (Starvation Effects on Occurrence of Tunic Softness Syndrome in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 김동욱;박정준;양성진;김창훈;신윤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75-581
    • /
    • 2013
  • We examined the effect of starvation on the occurrence of tunic softness to determine the cause of mass mortality of cultured Halocynthia roretzi (Drasche) in the Tongyeong region, Korea. In terms of the survival rate of H. roretzi and the occurrence rate of tunic softness, H. roretzi starved for 35 days at water temperatures of 8, 12, and $15^{\circ}C{\pm}0.5^{\circ}C$ (room temperature of $15^{\circ}C{\pm}1^{\circ}C$) did not exhibit tunic softness at water temperatures of either $8^{\circ}C$ or $12^{\circ}C$. for morphological changes, although the tunic of H. roretzi was shrunken and became visibly smaller with a darkening color in all experimental groups, as compared to the state prior to starvation, its tunics bulbs continuously. The ratio of RNA/DNA concentrations and protein contents for each of the tunic sections were lower in the starved group. Our results indicate that tunic softness is not related to feeding deficiency, as no histopathological symptoms were apparent in the digestive gland or tunic of H. roretzi due to starvation.

미더덕 껍질 추출물을 함유한 곤약의 제조 및 품질 분석 (Qualities of Konjac Containing Tunic Extract from Styela clava)

  • 김시경;김승완;노수진;김연주;강지희;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10-414
    • /
    • 2013
  • 수산물 가공 부산물로 여겨지는 미더덕 껍질을 소재로 한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건조한 미더덕 껍질에 물을 가하여 끓인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이용하여 미더덕 껍질 추출물 함유 곤약을 제조하였다. 미더덕 껍질 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항산화능을 보유하고 있었다. 미더덕 껍질 추출물 함유 곤약의 색도는 미더덕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지만 a값과 b값은 증가하였고, 갈색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미더덕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곤약의 강도와 경도가 증가하였으며, 절곡검사 결과 모든 곤약에서 유연성과 탄력성이 우수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맛과 향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미더덕 특유의 맛과 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질감과 촉촉한 정도는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곤약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고, 전체적인 선호도는 25% 농도의 미더덕 껍질 추출물을 함유한 곤약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적절한 농도의 미더덕 껍질 추출물을 이용하면 기존의 곤약과 비교하여 영양적, 물성적, 관능적으로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는 제품이 제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멍게 물렁증 근육변성의 병인에 관한 연구 (Histopathological studies on the degenerative changes of somatic muscle in soft tunic syndrome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 허민도;이효은;이무근;김보성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3-70
    • /
    • 2021
  • As a part of research to elucidate the pathogenesis of so called Soft Tunic Syndrome(STS), that caused mass mortalities in the cultured sea squirts, Halocynthia roretzi, the epidemiological and pathological analysis were done to both clinically normal and diseased groups of the farms of Tongyoung and Geoje coastal areas in southeast sea from February to July, 2008. In the histological finding of the tunic, most of individuals showed tunic softness syndromes that included the disarrangement and destruction of tunic fiber with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flagellates-like cells, recently suspected as main agents of tunic softness syndromes. Simultaneously, the intensive degenerative changes of the skeletal muscle of diseased sea squirts were recognized. The changes were characterized with the hyalinization and condensation of muscle fibril and hemocytic infiltration in the muscle fibers. Those were thought to be a kind of typical Zenker's necrosis as in the skeletal muscle of higher vertebrates. Besides of the diseased sea squirts, Zenker's necrosis of skeletal muscles were seen in the normal ones. Epidemiological inquiry for diseased groups revealed that the higher incidences of tunic softness syndrome were recorded in the fast growing groups and in the sites presuming the organic pollution. And Higher malondialadehyde(MDA) and glutathione peroxidase(GPx) activity were detected in the groups showing STS. Those results suggested that Zenker's necrosis of body muscles was a kind of"nutritional myopathy" by oxidative stress. Conclusively, it was considered that Zenker's necrosis of body muscles gives an important clue for elucidating pathogenesis of STS of cultured squirts. And it seems that the necrosis were caused by the oxidative stress to body muscle during abnormal rapid growth of sea squirts.

A study on the Assyrian Costume

  • Kim, Moon-Ja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3호
    • /
    • pp.1-19
    • /
    • 2010
  • The Assyrians usually wore two types - the tunic and the shawl. These two types were worn alone, or in combination and changes were introduced by varying the proportions of the tunic or shawl. The tunic appeared to be of the sleeves are short and reaching to the ankles or shortened to knee length according to the rank. Assyrian shawl pattern can be divided into five distinct styless. Many of the styles were suitable for costumes to wear in religious plays and pageants. Fringed shawls were the trademark of forma1 Assyrian costume. The usual badge of rank was a long fringed shawl. Intermediate rank wore shawl with short fringes and lower grade wore no shawl at all. The military costume was comparative uniformity : conical helmets was regarded as Scythic in character, short, fringed tunics, wide belts or helmet, round caps and long tunics covered in metal scales, belted at the waist. Assyrian woman costume was the long tunic with fringed hem and a long fringed shawl or was a plaid tunic and wide belt over it. They wore gold crown and horned Cap and tiara, ugal (head-dress) and the most ordinary earrings were the drop and the cross shape and necklace was made of the coloured stones and bracelets ended with heads of animal was regarded as Scythy style or adorned with a rosette at the centre.

통영산 물렁증 멍게 피막의 편모충 감염 (Occurrence of bi-flagellated protists in the tunics of ascidians Halocynthia roretzi with tunic-softness syndrome collected from Tongyeong, south coast of Korea)

  • 신윤경;김현중;박경일;최민순;전제천;김응오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7-204
    • /
    • 2011
  • 멍게 물렁증 원인규명의 일환으로 2011년 3월에 경남 통영에서 채집된 물렁증 멍게와 건강한 멍게를 대상으로 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물렁증 멍게의 경우 체액량, 비만도 및 피막지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물렁증 멍게의 피막 imprint 관찰과 배양 시 2개의 편모를 가진 원생동물이 확인되었으며, 물렁증 멍게에 대한 이들 편모충의 감염률은 97.5%인 반면 건강한 멍게에서는 검출되지 않아 본 편모충은 물렁증 멍게에서 특이적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직학적 검사결과 물렁증 멍게에서 피막섬 유질다발의 붕괴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편모충으로 추정되는 원생동물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통영산 물렁증 멍게에서 확인된 편모충은 일본에서 검출된 그것과 매우 유사한 형태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향후 공격실험 등 물렁증 유발과 편모충과의 연관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망된다.

미더덕 껍질 분말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및 품질 분석 (Preparation and Quality Analysis of Fish Paste Containing Styela clava Tunic)

  • 최소연;최은영;이경은;송애선;박소현;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91-1595
    • /
    • 2012
  •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미더덕 껍질을 활용한 고품질 어묵의 개발을 위하여 미더덕 껍질을 분말로 만들어서 이를 각각 0, 1, 2, 5%씩 첨가한 튀김어묵을 제조하였다. 미더덕 껍질 분말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어묵 내부의 색도의 L값과 b값은 감소하는 경향,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어묵 표면의 L값, a값,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물성검사 결과에서는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강도와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 검사에서는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첨가 군에서 AA가 나와 유연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결과로는 미더덕 껍질 분말을 1% 첨가한 어묵의 경우에서 냄새, 색깔, 맛, 전반적인 수용도면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분말 함유량이 그 이상으로 증가할수록 관능수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미더덕 껍질 분말을 1%정도 어묵에 첨가하면 영양적, 물성적, 관능적으로 소비자들에게 호감을 얻을 수 있는 고품질의 어묵이 제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우렁쉥이 껍질성분의 이용에 관한 연구 -3. 우렁쉥이 껍질의 색소성분- (Utilization of Ascidian(Halocynthia roretzi) Tunic -3. Carotenoid Compositions of Ascidian Tunic-)

  • 최병대;강석중;최영준;염말구;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4-350
    • /
    • 1994
  • 우렁쉥이 껍질 및 육중의 carotenoids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 및 껍질의 서식장소별 색소함량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껍질속의 카로테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나 껍질의 색소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계절에 따른 색소함량의 변화에서 한산도산은 5월부터 색소함량이 증가하였다가 8월 이후 감소하였고, 월례산은 7월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껍질의 주된 카로테노이드는 alloxanthin으로 그 함량($31.3\%$)이 가장 높았고, halocynthiaxanthin($15.5\%$), diatoxanthin($11.9\%$), diadinochrome($11.6\%$), mytilo-xanthin($10.8\%$), astaxanthin($7.8\%$)으로 각각 나타났다.

  • PDF

Silhouette의 변천(變遷)에 관(關)한 고찰(考察) - 여자(女子)의복(衣服)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Silhouette (Mainly on Wonen's Costume))

  • 이순홍
    • 복식
    • /
    • 제1권
    • /
    • pp.131-150
    • /
    • 1977
  • The new sense of costume is controlled by silhouette. The sense of the times is sensitively reflected in silhouette. For we can perceive the transition of the times through silhouette it is significant to know what course of changes the western costume, which almost became the international costume today, had been going through. I began with the definition and condition of silhouette in this study of silhouette. I took a general survey of silhouette study-ing various kinds of silhouett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material and silhouette. I sought the factors which causec the changes in costume and also studies the process of the changes The process of the costume changes is studied by the order of ancient times, mediaeval times, mordern ages and present days. I selected one representative silhouette of women's costume of each period. The darpery form of the ancient time's costume became the tunic form and the tunic form became the tight tunic form today. From this we can perceive that the Gothic period was the limitation of westrn costume. It means that the ancient times was the period of drapery, the midiaeval times was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unic into tight tunic and the modern ages is the period of development of tight tunic. In Egyptian period thin materials were used for costume which was worn in exposed style. In Greek period the costume had the drapery style. The Roman's magnificent costume resembled the Greek's. The mediaeval costume was formed in Byzantium where the northern Europe style of costume was mixed with the gay oriental costume. The Romanesque and Gothic period followed the Byzantine period completing the midiaeval costume. Tight tunic is developed in modern ages. Italian fashion of tight tunic was the first fashion of the modern ages. Germanic and spanish fashion came after it. As Baroque period opened the French royal costume became magnificent and added Brition fashish to it. With the commencement of the modern ages the royal fashion came to an end. Modernages became peaple's period and the costume was simplified. After the First world wav designers and fashion books appear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us the period of fashion industry came. For the designers in 20th country competed to create new designs, the fashion was changed year by year. The simplicity and practicality are not ignored in design, arid the designers added more atristic sense to dresses.

  • PDF

우렁쉥이 껍질 추출물이 보리새우 Cholesterol 축척 및 착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cidian Tunic Extracts on Cholesterol Accumulation and Pigmentation of Kuruma Prawn, Penaeus japonicus)

  • 최병대;강석중;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3-408
    • /
    • 1996
  • 우렁쉥이 껍질 색소추출물을 astaxanthin 함량으로 환산하여 100ppm, 200ppm 및 400ppm 첨가 한 후 보리새우를 8주간 사육하여 성장도, 착색정도, 지질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 그리고 육과 머리의 지방산조성을 조사하였다. 성장율은 대조구(Diet 1)가 가장 낮아 0.610이었고, carophyll pink 첨가구(Diet 2)가 1.065, 껍질 색소추출물 첨가구인 Diet 3(100ppm), Diet 4(200ppm), Diets (400ppm)는 각각 1.227, 1.292, 1.264로 Diet 4 첨가구가 가장 양호하였다. 총카로테노이드 함량은 대조구가 8주 후 육 및 껍질 중 0.176mg, 1.429mg으로 감소하였으나, 색소추출물구인 Diet 4와 5는 각각 2.337mg, 6.331mg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Astaxanthin monoester가 free형보다 착색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 및 머리 중 지질함량도 Diet 4, 5가 8주 후 각각 1632.7mg, 1691.4mg, 1973.5mg, 2071.1mg으로 가장좋았고, 육 및 머리의 콜레스테롤 축적량은 Diet 2가 8주 후 각각 481.5mg, 199.5mg이었으나, Diet 4는 각각 978.2mg, 563.8mg으로 성장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머리 지질 중 총지질(TL) 및 중성지질(NL)의 지방산조성은 모노엔산의 함량이 높고 고도불포화지방산(PUFA) 함량은 낮았으나, 이와는 반대로 국성지질(PL)은 모노엔산 함량은 낮고 PUFA 함량은 높아 인지질 중 n-3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색소추출물이 필수지방산 공급원의 역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산란계 사료에서 우렁쉥이껍질 첨가가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Ascidian Tunic Shell into Laying Hen Diet on Egg Quality)

  • 김은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45-54
    • /
    • 2002
  • 본 내용은 미이용수산자원인 우렁쉥이 껍질의 성분상의 특성을 활용하여 착색제, 난각과 타우린 강화제로의 이용방법을 제시함으로서 폐기되고 있는 천연자원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도모하는 한편, 합성색소의 생체기능학적 문제점을 해결하고 축산농가의 생산비 절감에 기여함을 그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산란계사료에 우렁쉥이 껍질을 1$\sim$5% 첨가했을 때의 산란율과 계란의 무게가 일반사료구(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 우렝쉥이 껍질첨가가 산란계의 산란성적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황색도는 우렁쉥이 껍질 최소첨가량인 1$\sim$2% 첨가구에서 이상적인 Roche color fanscore (RCFS) 12$\sim$13 수준을 나타내고 3% 이상의 첨가구에서는 15 이상의 RCFS를 나타내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카로티노이드의 축적량이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나 4% 이상에서는 축적률이 저조한 경향을 보였다. 계란 비중과 파괴강도는 일반란인 대조구의 경우는 점차 감소하거나 유지되었으나 우렁쉥이 껍질 첨가구는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효과는 2주부터 뚜렷하였으며 3주째에는 4% 첨가구의 경우 일반란보다 2.4%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우렁쉥이 껍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난각의 파괴강도와 계란비중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4% 이상 첨가구에서는 그 증가폭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계란 타우린 함량은 우렁쉥이 껍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계란내 단백질 함량은 일정한데 비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일반란인 대조구의 경우 18.53$\pm$3.09mg% 정도 함유되어 있는 반면 우렁쉥이 껍질 4% 첨가구인 경우 108.10$\pm$2.44mg% 정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료에 첨가한 우렁쉥이 껍질내 타우린(2.13%)이 계란으로 잘 이행되는 결과를 보였다. 전체 결과에 따라 우렁쉥이 껍질은 첨가량에 따라 산란계 사료용 합성 착색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착색제(색소원)로 사용 가능하며 부가적인 효과로 난각 강화 및 타우린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