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ng oil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2초

조선시대 동유(桐油) 사용의 진위 (The Authenticity of the Use of Tung Oil in the Joseon Dynasty)

  • 장영주;류성룡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5호
    • /
    • pp.107-117
    • /
    • 2023
  • There are records and claims that tung oil was applied to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and furniture as finishing paint. Records of the use of tung oil(桐油) exist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and 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儀軌). However, there is also a claim that tung oil was not produced in Korea on its own, and that tung oil was not applied to important buildings such as palaces. Silhak scholar(實學者) Seo Yu-gu says that in Korea, people do not know how to grow tung trees, and boiled perilla oil is called tung oil. If tung oil was used in the Joseon Dynasty,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ung oil for waterproof coating to preserve current architectural heritage, otherwise, tung oil coating would not be desirable. Analyzing the Yeonggeon Uigwe(營建儀軌) among the Joseon Dynasty's Uigwes shows that tung oil is neither mentioned nor us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igwes mentioned in tung oil, it was found that perilla oil or Myeongyu(明油), not tung oil, was recorded in the actual material used. Therefore, the records of the use of tung oil during the Joseon Dynasty can be seen as records using Myeongyu(明油) or Beopryeon perilla oil(法煉荏油).

Tung oil을 이용한 바이오 기반 열경화성 수지 합성 및 이의 열적·물리적 특성 연구 (Synthesis of tung oil-based thermoset resin and its thermal·mechanical properties)

  • 김한얼;이종은;남병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4-30
    • /
    • 2018
  • 식물유는 자연 유래 물질로 낮은 가격 및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으로 최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식물유 내의 이중결합의 낮은 반응성으로 인해 고분자 합성의 기반 물질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응성이 높은 관능기로 치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Tung oil은 ${\alpha}$-eleostearic acid를 주성분으로 하는데, 이 구조는 3개의 이중결합이 공명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다른 식물유와는 달리 높은 반응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ung oil을 styrene 및 divinylbenzene 등의 단량체와 양이온 중합을 통해 tung oil의 관능기 치환 과정이 없는 열경화성 수지를 합성하였으며, 각 단량체의 조성이 합성된 열경화성 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열적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tung oil-styrene-divinylbenzene 공중합체는 단일 Tg를 갖는 균일(homogeneous)한 열경화성 고분자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통해 tung oil 및 styrene은 soft segment로써 합성된 공중합체에 탄성(elasticity)을 부여하고, divinylbenzene은 hard segment로 작용하여 합성된 공중합체에 취성(brittleness)을 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라디칼 개시제를 이용한 MA-PLA 제조 및 바이오플라스틱 PLA/PA11 블렌드의 상용성 개선 (Preparation of MA-PLA Using Radical Initiator and Miscibility Improvement of PLA/PA11 Blends)

  • 이종은;김한얼;남병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76-85
    • /
    • 2019
  • Vegetable oil은 자연 유래 물질로 낮은 가격 및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으로 최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vegetable oil 내의 이중결합의 낮은 반응성으로 인해 고분자 합성의 기반 물질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응성이 높은 관능기로 치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Tung oil은 ${\alpha}$-eleostearic acid를 주성분으로 하는데, 이 구조는 3개의 이중결합이 공명구조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다른 vegetable oil과는 달리 높은 반응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ung oil을 styrene 및 divinylbenzene 등의 monomer와 양이온 중합을 통해 tung oil의 관능기 치환 과정이 없는 열경화성 수지를 합성하였으며, 각 monomer의 조성이 합성된 열경화성 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열적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tung oil-styrene-divinybenzene copolymer는 단일 Tg를 갖는 homogeneous한 열경화성 고분자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통해 tung oil 및 styrene은 soft segment로써 합성된 copolymer에 elastic한 성질을 부여하고, divinylbenzene은 hard segment로 작용하여 합성된 copolymer에 brittle한 성질을 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유를 함유하는 목조주택 외장용 옻칠도료의 적용 (Application of Korean Rhus Lacquer Containing Tung Oil For Exterior Coatings)

  • 송병민;이병후;김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81-9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식물성 오일인 동유에 국내산 생칠 또는 정제칠을 10, 20, 30 및 40 wt.% 혼합하여 목조주택 외장용 도료를 제조하고 기존의 외장용 도료인 오일스테인과 내후성을 비교하여 외장용 도료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생칠, 정제칠 및 동유를 혼합하여 제조된 도료의 성질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면 생칠이 정제칠에 비해 화학구조 내에 존재하는 -OH group이 많으며 경화특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적점도는 정제칠이 생칠에 비해 Frequency 150 rad/s 이하에서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150 rad/s 이상에서는 거의 비슷한 수준의 동적 점도를 보여 주었다. 또한 동유에 생칠을 혼합할수록 화학구조내의 -OH group이 증가하고 경화온도가 증가함을 보여 주었다. 내후성 실험결과는 제조된 도막의 색차변화가 기존에 목조주택 외장용 도료로 사용하는 오일스테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동유에 생칠을 40 wt.% 혼합한 경우와 정제칠을 30 wt.% 또는 40 wt.% 혼합한 경우 거의 비슷한 색차 변화를 보여 주었다. 색차를 제외한 광택도 변화, 접촉각 변화의 측정 결과는 오일 스테인의 변화정도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 주어 목조주택 외장용 도료로써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Point Cloud Measurement Using Improved Variance Focus Measure Operator

  • Yeni Li;Liang Hou;Yun Chen;Shaoqi Huang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8권2호
    • /
    • pp.170-182
    • /
    • 2024
  • The dimensional accuracy and consistency of a dual oil circuit centrifugal fuel nozzle are important for fuel distribution and combustion efficiency in an engine combustion chamber. A point cloud measurement method was proposed to solve the geometric accuracy detection problem for the fuel nozzle. An improved variance focus measure operator was used to extract the depth point cloud. Compared with other traditional sharpness evaluation functions, the improved operator can generate the best evaluation curve, and has the least noise and the shortest calculation time. The experimental results of point cloud slicing measurement show that the best window size is 24 × 24 pixels. In the height measurement experiment of the standard sample block, the relative error is 2.32%, and in the fuel nozzle cone angle measurement experiment, the relative error is 2.46%, which can meet the high precision requirements of a dual oil circuit centrifugal fuel nozzle.

목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유지류 코팅제의 방수 성능 평가 (Water Resistance Evaluation of the Oils Coating for Conservation of Wooden Cultural Heritage)

  • 나원주;조소영;김도래;정우양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20
    • /
    • 2015
  • 목조문화재는 수분의 영향으로 열화의 가속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표면을 수분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들기름 및 동유와 같은 유지류를 도포하였다. 그러나 목조문화재에 적합한 유지류 코팅 방법 및 성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천연 유지류 3종과 오일스테인 2종의 목재의 방향별, 공시재의 시간 경과 및 유지류의 중탕 여부에 따른 방수 성능을 평가하여 현장 적용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건전 목재의 섬유방향에서 상온의 천연유지류 코팅제 방수성능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79.2%를 차단하였으며, 특히 동유는 90.5%의 수분을 차단할 정도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2년간 실내에서 컨디셔닝을 실시한 경우 유지류의 방수 성능은 약 8.8% 감소하였다. 유지류를 중탕하여 사용할 경우 약 5.0%의 방수 성능이 향상되며, 특히 아마인유는 중탕하여 사용할 경우 약 9.6%의 방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일품공예가구 마감기법에 관한 연구 - 오일마감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inishing Technique of woodworking Furniture - Focus on Oil Finishing -)

  • 김영주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54-366
    • /
    • 2010
  • The modern unique woodworking furniture has been made in earnest from 50 years ago. Some oil from nut such as soybean, walnut and perilla, which is usually used in our common life, has been used as finishing material for the unique woodworking furniture. Recently, woodworking studio business among the whole furniture industry has grown gradually and many woodworkers uses various kinds of imported wood finishing oil. Many woodworkers use the imported finishing oil in the old ways instead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s of the various kind of oil and It causes some serious problems in furniture finishing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taking theoretical approach in wood finishing oil and presenting correct usage in understanding the types and characters of oil. Resultingly the new method of oil finishing for wood is suggested and this suggestion is to guide woodworkers into the right usage of wood finishing oil.

  • PDF

절삭가공(切削加工)에 사용(使用)되는 절삭유(切削油)의 농도최적화(濃度最適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Optimiz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Cutting Oil to be used for Cutting)

  • 김규태;김원일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95-102
    • /
    • 2013
  • It is indispensable to modern society metal processing since the industrialized rapidly, but it is a metalworking cutting fluid immediately. In addition, this means selecting a emulsion on the basis of quality criteria processing method, the material of the material, cutting depth, cutting speed, Djourou fence Liang, and surface roughness, cutting oil, the shape of the device based on the emulsion, I will be the structure of the tank, filtration equipment also changes. In particular, acting bacteria is now breeding in response to the passage of time due to metal ion degradation due to heat generated hydraulic fluid leakage, humidity tung, during processing, seep from processing material at the time of processing the water-soluble cutting oil for generating the malodor by dropping significantly the performance of the cutting oil to corruption from, sometimes by introducing various additives to suppress spoilage in advance. In this study, we expect the effect of the cost reduction in the extension of fluid replacement cycle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management apparatus and deep understanding in the management of cutting fluid, the working environment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of workers in the production site more than anything I try to become useful for the improvement.

Scytalidium parasiticum sp. nov., a New Species Parasitizing on Ganoderma boninense Isolated from Oil Palm in Peninsular Malaysia

  • Goh, Yit Kheng;Goh, Teik Khiang;Marzuki, Nurul Fadhilah;Tung, Hun Jiat;Goh, You Keng;Goh, Kah Joo
    • Mycobiology
    • /
    • 제43권2호
    • /
    • pp.107-117
    • /
    • 2015
  • A mycoparasite, Scytalidium parasiticum sp. nov., isolated from the basidiomata of Ganoderma boninense causing basal stem rot of oil palm in Johor, Malaysia,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It is distinct from other Scytalidium species in having smaller asci and ascospores (teleomorphic stage), longer arthroconidia (anamorphic stage), hyaline to yellowish chlamydospores, and producing a fluorescent pigment.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S. parasiticum was determined by sequence analys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and the small-subunit ribosomal RNA gene regions. A key to identify Scytalidium species with teleomorphic stage is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