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ust

검색결과 4,569건 처리시간 0.034초

저신뢰 사회를 만드는 고신뢰 기대? 가족확장성과 신뢰기준의 역할 (Can High Trust Expectation Cause Low Trust? The Roles of Trust Criteria and Family Expansionism)

  • 허용회 ;박선웅 ;허태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1호
    • /
    • pp.75-9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 대한 저신뢰 평가에 기여하는 문화심리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저신뢰 평가가 한국인 스스로 높은 신뢰 기준을 가지고 있는 것에 귀인될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신뢰 판단의 기준을 형성하는 데 한국의 문화심리적 특성인 가족확장성(Korean Family Expansionism)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540명의 한국 성인에게 부모, 사법부 및 정치인에 대한 신뢰의 기준 및 실제 신뢰 정도와 그들의 가족확장성을 측정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고, 연구 2에서는 가족확장성을 활성화시키는 처치가 신뢰기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정치인에 대한 신뢰 기준은 부모에 대한 신뢰 기준보다 더 높았고, 특히 관계(친밀성)요인이 아닌 대상(책임성)요인에서 정치와 사법 현실을 고려할 때 일반인들이 정치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기대가 다소 비현실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모에 대한 신뢰기준에 비해 정치인이나 사법부에 대한 신뢰의 기준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실제 그들에 대한 신뢰정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사법부 및 정치인에 대한 상대적 신뢰 수준/기준(부모 대비)은 가족확장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즉, 가족확장성이 높을수록 부모에 비해 사법부/정치인에 대한 더 높은 신뢰 기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에 대한 불신 또한 높았다. 또한 연구 2에서는 가족확장성을 활성화시켰을 때 신뢰의 기준이 높아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한국사회가 저신뢰 사회라는 전제 하에 그 원인을 밝히려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저신뢰 사회라는 인식이 형성되는 이유와 그 속에서 가족확장성이라는 문화심리적 요인이 가지는 의미와 역할을 규명하여 한국 사회의 신뢰 현상의 심층적 의미를 논하였다.

규제 신뢰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정부 신뢰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Influence Factors on Regulation Trust : Focus on the Mediated Effect of Government Trust)

  • 최성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21-628
    • /
    • 2017
  • 정부가 시행하는 규제에 대한 신뢰도는 규제의 집행과 평가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런데 그동안 정부 신뢰에 대한 연구는 다수 이루어졌지만, 규제에 대한 신뢰에 있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규제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소로 무엇이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였다. 정부에 대한 신뢰가 규제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규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학력, 규제의 이익성, 규제의 전문성, 규제의 공정성, 정부의 필요성 등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정부 신뢰는 규제 신뢰에 매개 효과의 기능을 하고 있었다. 규제에 대한 집행력, 순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제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규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규제 전문성, 규제 공정성 등 규제 자체적인 사항들을 개선하는 것 외에 정부 자체에 대한 신뢰도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커머스 챗봇 환경에서의 고객경험이 신뢰의 전이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실재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ustomer Experience on Trust Transfer in E-Commerce Chatbot Environmen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 최상묵;최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36-148
    • /
    • 2022
  • 본 연구는 챗봇서비스를 이용한 소비자의 고객경험이 브랜드 신뢰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서 챗봇서비스를 경험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299부의 유효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챗봇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의 경험은 챗봇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챗봇 신뢰의 매개역할을 통해 쇼핑몰 신뢰, 판매자 신뢰 및 브랜드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챗봇의 사회적 실재감은 신뢰의 전이 과정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챗봇서비스를 경험한 고객의 경험이 챗봇 신뢰를 매개로 하여 브랜드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으며, 챗봇서비스가 마케팅의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챗봇 신뢰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효과적인 팀워크를 위한 프랜차이즈 호텔 조리장의 피그말리온 리더십 (The Chain Hotel Chef's Pygmalion Leadership for Effective Teamwork of Cooks)

  • 구동우;이새미;장해진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7권1호
    • /
    • pp.13-20
    • /
    • 2016
  • Purpose - In the past, the chain hotel chefs only serve food to their customers. However recently, the hotel chefs play a pivotal role in hotel including considering various customer preferences, safety and nutrition of food, and increasing profits through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inventory control. With the change of the chain hotel chef's' roles, pygmalion leadership, one of new leadership styles, focuses on the effect that leader's positive expectation let subordinates have motivation and more engage in work.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hain hotel chef's pygmalion leadership on leader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hain hotel restaurant chefs' pygmalion leadership, hotel restaurant cooks' leader trust, organizational trust, and teamwork, and how leader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play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ygmalion leadership and teamwork. In this model, pygmalion leadership includes 4 dimensions: Climate, Feedback, Input, and Output.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on cooks of Deluxe hotel restaurants located in Seoul and Gyonggi-Do. The samples for data analyses were 243 excepting unusable responses. Result -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limate and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leader trust, respectively. Second, feedback and output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respectively. Third, leader trust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trust and teamwork. Fourth, organizational tru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mwork. Conclusions - As a chain hotel chef treats his/her staffs sincerely, they will be more engaged in work by establishing trust in their leader. Ultimately, it leads to higher sales profit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a hotel can encourage chefs and other staffs to treat each other as if the student-instructor relations, not just commanding staffs. Then, cooks build up their trust to their leader and organization for its sustained growth and development, and the internal bond in organization including teamwork is strengthened. Therefore, to strengthen teamwork and organizational trust, there should be active communication, knowledge sharing, goal sharing, and cooperation between chefs and cooks.

신뢰대상의 다차원적 접근법에 의한 신뢰와 재구매 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Trustworthiness, and Repeat Purchase Intention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 이수형;박미령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31
    • /
    • 2008
  • 신뢰는 인간관계에서 동서고금을 통해 언제나 주목을 받아온 주제였으며, 신뢰의 중요성은 경영학 분야는 물론 인간생활의 모든 분야에서 이미 오랜 전부터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개인 간의 신뢰인 종업원에 대한 신뢰에만 집중하는 단일 차원적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지금까지 주로 단일차원으로 연구되어 온 신뢰 대상을 판매원, 제품/서비스, 그리고 기업의 3차원으로 다차원화하여 이들 신뢰 대상이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서울, 대구 경북지역의 거주자로 백화점에서 구매 경험이 있는 남녀 고객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기존 연구들에서 주로 다루어진 판매원신뢰뿐만 아니라 기업신뢰와 제품/서비스신뢰 또한 고객신뢰의 중요한 대상으로 나타나, 신뢰 대상은 다차원적인 구성개념임이 밝혀졌다. 이들 3차원의 신뢰는 모두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기업신뢰가 판매원신뢰와 제품/서비스신뢰보다 재구매 의도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원신뢰와 제품/서비스신뢰의 영향요인으로 역량과 선의를, 기업신뢰의 영향요인으로 기업 평판과 물리적 환경을 설정하여 검증한 결과 역량과 선의는 판매원신뢰와 제품/서비스신뢰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신뢰의 경우, 평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물리적환경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ulti-dimensional Trust Building Process to Explain Customer Satisfaction on e-Commerce

  • Choi, Jae-Won;Sohn, Chang-Soo;Lee, Hong-Joo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71-576
    • /
    • 2007
  • Advanced online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made the e-commerce environments evolved rapidly. In the e-commerce area,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ler and buyer is the "trust." Considering the purpose of purchase and satisfaction of website, the users may face problems such as consumer's transaction security or personal information sharing when they make transactions over web sites. It could be difficult to pursue the goal for the users to purchase product or service over online if the seller or service provider cannot establish trust to the customers. In this paper, through multi-dimensional viewpoints of trust, satisfaction can be accounted for by cue-based trust and experienced trust. The purchase intention mediates the experienced trust when online users purchase products or use online service.

  • PDF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Focused on the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n Gangwondo-

  • Kim, Sun-Ok;Park, Sung-Yong;Lee, Hee-Choo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5호
    • /
    • pp.983-997
    • /
    • 2010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provide the citizens with administrative services. Heightening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contributes the citizens' happiness and the stream of times through organizations' change. To provide high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 to citizens, trust in organizations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capital.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needs through this social capital. Factors about trust variabl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variables are extracted through the theoretical discussions. To do the research, public servants in 7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of Gangwondo were asked to do the survey about how trust in organizations affects organizationa performances. The results explain that trust variable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which is high in trust is high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rust in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mproves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ternally and the organization will obtain trust from the citizens externally.

P2P파일공유에서 신뢰가 고객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s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in P2P File Sharing)

  • 조철호;강병서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3-47
    • /
    • 200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casual relationships among trust evaluation factors, trust,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in the P2P file sharing service. We applied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est the hypotheses and research model. As a result of this study, trust evaluation factors affect trust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both of trust and customer satisfaction affect re-use intention respectively and significantly. Also trust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significantly. Specifically, trust was empirically confirm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preced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tion in the P2P file sharing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trust is important factor that P2P companies have to emphasize to raise user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의 상사신뢰, 조직신뢰와 공유가치 인식도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University Hospital Nurse's Trust in Supervisor, Organizational Trust and Perception on the Shared Value on Innovative Behavior)

  • 민순;신철화;신명기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9-98
    • /
    • 2014
  •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ust in supervisor, organizational trust and perception on the shared value on innovative behavio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34 nurses from University hospital of G city.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test, ANOVA, Scheffe-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equipped with SPSS 21.0.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correlation among trust in supervisor, organizational trust and percep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study is the basis to improve innovative behavior of nurses by providing alternatives for achieving trust in supervisor, organizational trust and perception, for sake of efficient management of human resource of nurse of University hospital. This study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s from Chosun Nursing College 2013.

  • PDF

Computational Trust and Its Impact over Rational Purchasing Decisions of Internet Users

  • Noh, Sang-U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4권4호
    • /
    • pp.547-559
    • /
    • 2010
  • As web-based online communities are rapidly growing, the agents in the communities need to know their measurable belief of trust for safe and successful interac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putational model of trust resulting from available feedbacks in online communities. The notion of trust can be defined as an aggregation of consensus given a set of past interactions. The average trust of an agent further represent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stribution of its trustworthiness and untrustworthiness. Furthermore, we precisely describe the relationships among reputation, trust and average trust through concrete examples showing their computations. We apply our trust model to online social networks in order to show how trust mechanisms are involved in the rational purchasing decision-making of buyers and sellers, and we summarize our simulation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