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ruck

검색결과 1,075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 of Co-Driver on Job Content and Depression of Truck Drivers

  • Hatami, Ali;Vosoughi, Shahram;Hosseini, Agha F.;Ebrahimi, Hossei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0권1호
    • /
    • pp.75-79
    • /
    • 2019
  • Background: Since the presence of a co-driver can be considered as a companion, partner, or friend for a driver through eliminating driver's loneliness, i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health and safety of driv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drivers on depression and occupational stress on male truck drivers. Methods: This study was an interventional case-control study. Seventy truck driver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case (33 truck drivers with co-drivers) and control (37 truck drivers without codrivers). Two Goldberg depression inventories (for evaluating driver's depression) and the Karasek job content questionnaire (for evaluating driver's job stress) were used to collect data which were completed by interview.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job content values for the case group were higher in all dimensions except job nature. The comparison of the percentag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Depression rate in drivers with co-driver is truly less than depression rate in drivers without co-driver.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mensions of job content and depression rate.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laimed that a co-driver decreases stress and loneliness of drivers, as well as increases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nd, in turn, leads to a decrease in job-related depression.

IoT 자중계 시스템을 활용한 건설폐기물 수집·운반 차량의 운행 및 적재패턴 분석 (Analysis of the Driving & Loading Pattern of the Construction Waste Collecting Trucks Using IoT On-Board Truck Scale System)

  • 김종우;정영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74-87
    • /
    • 2020
  • 과적차량은 도로 주행환경의 안전을 위협하고 도로구조물의 수명단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주요 원인이다. 자중계는 화물차량에 탑재하여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유일한 장비로, 운전자는 스스로 과적상태를 확인하고 운행 전 상차 시 적재중량을 조절하여 과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적 적재물 중 골재 및 토사가 전체의 36.55%로 주요 과적적재물로 나타나 이를 주로 운송하는 30대의 건설폐기물 수집·운반차량을 선정하였으며, 자중계의 시범설치 및 원격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운행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운전자에게 중량을 인지할 수 있는 중량표시 앱을 배포하기 전 1달과 배포한 후 1달 동안 운행데이터를 비교하여 과적 예방효과를 분석하였다. 자중계로부터 제공받은 적재중량을 인지함으로써 과적운행이 6.1%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운송량을 극대화하면서 단속을 우려하여 원거리로 우회 주행을 할 필요가 없어 운송거리와 시간이 줄어 운송 효율이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간 화재진압을 위한 원격조종 무인소방 시스템 (Tele-operation System of Unmaned Fire Truck for Real-time Fire Suppression)

  • 강병훈;이성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6
    • /
    • 2022
  • 본 연구는 실시간으로 원격제어가 가능한 무인소방 시스템을 제안한다. 안전지대에 위치한 조종자가 화재현장에 투입된 무인 소방대차를 무선통신으로 원격조종함으로서 재난 및 긴급 상황에 신속하고 안전한 방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화전에 연결되어 고압으로 살수 작업이 가능한 무인 소방트럭에 대하여 제안하고, 이를 시제품으로 개발 하였다. 또한 LTE통신 상황에서 서로 다른 영상형식에 따른 시간지연과 FPS를 정량화하여, 효과적인 실시간 원격 조종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검증을 위하여, 안전지대의 조종자와 무인소방대차를 3km 떨어진 곳에 위치시키고 주행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무인소방대차를 LTE통신을 통하여 접속하고, 영상과 모션을 조종자에게 전달하여 평균 120msec의 시간지연으로 주행 테스트한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중차량중량분포를 이용한 차량하중모형 개발(II) - 연행차량 효과 분석 및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Vehicular Load Model using Heavy Truck Weight Distribution (II) - Multiple Truck Effects and Model Development)

  • 황의승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3A호
    • /
    • pp.199-20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신뢰도기반 도로교설계기준을 위한 새로운 활하중모형을 개발하였다. 합리적 하중모형과 함께 하중의 통계적 특성의 구축은 신뢰도기반 설계기준의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 이전 논문에서는 WIM 또는 BWIM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집된 국내 8개 지역의 자료를 분석하여 교량수명기간동안의 예상최대중량을 구하였다. 차종별 총중량의 확률분포는 상위 20%의 자료를 이용하여 극한분포(Gumbel분포)로 가정되었으며 이 확률분포를 사용하여 교량수명기간동안의 최대중량을 예측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교량상에 두 대 이상의 차량이 동시에 재하되는 경우를 분석하였다. 여러 자료를 이용하여 동시재하의 확률을 구하였으며 이에 따른 동시재하차량의 총중량을 이전 논문과 같은 확률분포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10-200 m까지의 지간별로 예측된 하중효과를 모사할 수 있는 공칭하중모형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하중모형은 기존의 하중모형 뿐만 아니라 국외의 여러 기준들과 비교분석되었다.

교통류에 영향을 주는 화물차 군집주행 운영 조건 분석 (Analysis of Truck Platooning Operation Conditions Affecting Traffic Flow)

  • 정하림;이영택;박상민;조현배;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06-117
    • /
    • 2021
  •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화물 운송이 도로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물차 군집주행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화물차 군집주행은 연속된 두 대 이상의 화물차들이 하나의 군집을 구성해 주행하는 것으로 도로 용량의 증가와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물차 군집주행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교통 조건, 화물차 군집주행 운영 조건에 따른 시나리오를 생성하였다. 화물차 군집주행 운영 조건의 영향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평균통행속도, 차로변경방해건수, 진출입구간방해건수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군집 내 화물차 수, 군집 내 화물차 간격, 군집 간 간격은 평균통행속도와 차로변경방해 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군집주행 화물차 비율이 LOS와 무관하게 평균통행 속도와 차로변경방해건수에 강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물자동차 UBI 도입을 위한 운행 평가 모델 구축 (Development of Driving Evaluation model of a truck for UBI)

  • 유검근;원종운;이석;권용장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469-481
    • /
    • 2016
  • 화물자동차 사고는 전체 교통사고의 약 12.64%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화물자동차의 경우 사고 발생 시 피해규모가 크며 사망률도 매우 높다. 이러한 이유로 2012년도에 화물차 보험료는 대폭 인상되었고 화물자동차 운전자들의 부담이 매우 높은 실정이지만, 화물자동차의 과속, 과적 등은 줄어들고 있지 않는 추세이다. 화물자동차 운전자들이 자발적으로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화물자동차 운전자들이 자발적으로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Usage-Based Insurance(UBI)를 선정하였다. UBI란 운전자가 안전운전을 할수록 보험료를 할인하는 제도로 화물차 운전자들이 안전운전을 하는 동시에 보험료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BI를 도입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운전자들의 운행 평가를 하는 방법이다. 운전자들의 운행 평가를 통해 보험료 할인/할증률을 결정할 수 있고, 합리적으로 운행 평가를 실시하여야 운전자들이 납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화물자동차의 주요 사고 원인을 규명한 뒤 각각의 사고 원인들과 사고와의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운행평가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건식 레미콘의 생산설비 (Manufacturing Equipment for Truck-mixed Concrete)

  • 최민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9-55
    • /
    • 2002
  • 레미콘의 생산방식은 콘크리트의 비빔을 정치식 배치플랜트(stationary batch plant)내의 고정믹서로 행하는가, 아니면 운반장비인 트럭 믹서(truck mixer)의 드럼으로 행하는가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센트럴믹스(central mix), 쉬링크믹스(shrink mix), 트럭 믹스의 3가지로 분류된다.(중략)

고속도로 지정차로제 위반과 교통사고 심각도와의 관계분석: 화물차량을 대상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ation of Designated Lane Usage and Accident Severity on Freeways)

  • 김주희;이수범;김다희;홍지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19-127
    • /
    • 2012
  • 도로에서의 안전한 주행을 위해서는 차량들의 전방 시야 확보와 주행속도가 비슷한 차량들의 동일차로 형성이 중요하다. 하지만, 화물차와 같은 대형차량은 승용차에 비해 주행속도가 낮고, 차체가 커서 승용차와 차로를 공유할 때에 사고의 위험을 높이게 된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고자 우리나라 도로교통법은 차로통행기준을 지정하고 있으나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화물차량의 교통사고 심각도 분석을 통해 지정차로제의 당위성을 제공하고, 고속도로 안전대책마련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고심각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지정차로 위반여부 등 18개 독립변수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고속도로 화물차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지정차로 위반여부, 날씨, 주야, 갓길주정차 관련여부 변수로 나타났다. Wald 값 비교 결과, 지정차로 위반변수가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정차로 통행방법의 철저한 준수가 요구되며, 효과적인 단속활동 등 대책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대형트럭 조종성 향상을 위한 설계인자 최적조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al Combination of Design Parameters for Improving Handling Performance of a Large Truck Using Design of Experiments)

  • 문일동;이동환;오재윤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8권6호
    • /
    • pp.799-806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 scheme for finding an optimal combination of design parameters affecting on the handling performance of a large truck using design of experiments. The average of the sum of peak-to-peak roll angles at the first and second part of the double lane is used as an objective function for design of experiments. Six design parameters are selected from all possible parameters affecting on the handling performance. The table of orthogonal arrays is made by 27 times simulations. A computational model of a large truck is developed by MSC/NASTRAN and MSC/ADAMS, and verified the reliability of it with the results of vehicle tests performed in a double lane change course. It is used for the simulations. Analyses of variance and factor effect of the table of orthogonal arrays are performed. This paper proposes an optimal combination of those six design parameters for improving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he large tr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