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pterospermum japonicu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한국산 덩굴용담과 좁은잎덩굴용담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Studies of Korean Tripterospermum japonicum (Max.) Max. and Pterygocalyx volubilis Max.)

  • 백원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1-73
    • /
    • 2003
  • 한국산 용담과 식물중, 덩굴식물인 좁은잎덩굴용담속과 덩굴용담속에는 각기 1분류군씰 분포한다. 이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으며, 줄기, 잎, 자방, 악, 자방의 횡단면, 주두, 잎표피, 주맥표면, 화관열편 표면, 밀선, 종피와 화분의 형태를 조사하여 두 속간의 한계 와 유연관계를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두 분류군의 식별형질로는 주로 열매형질(삭과와 장과), 부화관의 유무와 화분형 질(망상과 유선상)로 의존해 왔으나, 조사결과 외부형태형질(뿌리, 잎, 꽃받침, 주두, 약)과 내 부형태형질(꽃받침, 자방) 그리고 미세구조(화피열편의 표면, 잎의표면, 주맥의 표면, 종피)에서도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두 분류군의 분포는 한반도 육지역에 분포하는 것은 전부 좁은잎덩굴용담이었고 덩굴용담은 해양성기후대인 제주도와 울릉도에서만 발견되었다.

한국의 신분류군(신종, 신변종과 신품종) 식물에 대하여(3) (New Taxa of Korean Flora (3))

  • Lee, Yong No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4권1호
    • /
    • pp.27-30
    • /
    • 1981
  • 한국의 신분류군 식물에 대하여 3신종, 2변종과 1품종을 다음과 같이 발표하는 바이다. Astragalus koraiensis Y. Lee 정선황기 ; A. nakaianus Y. Lee 제주황기; Commelina minor Y. Lee & Oh Y. 애기닭의장풀: Cirsium rhinoceros Nakai var. albiflorum Y. Lee 흰바늘엉겅퀴 ; Tripterospermum japonicum (Sieb. & Zucc.) Max. va. albiflorum Y, Lee 흰덩굴용담 Adenophora remotiflora (Sieb. & Zucc.) Maq. form. albiflora Y. Lee 흰모시대.

  • PDF

멸종위기 식물 덩굴용담의 기내번식에 미치는 생장조절제 효과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micropropagation of a rare and endangered species, Tsuru-rindo (Tripterospermum japonicum))

  • 문흥규;김선자;박소영;김용욱;이재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3-17
    • /
    • 2009
  • 멸종위기 식물 덩굴용담의 기내증식법 개발을 위하여 기내증식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6가지의 기본배지 시험에서 MS 배지가 줄기증식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싸이토키닌 가운데 BA 처리는 3.0 mg/L농도까지 증식에 유의적인 증식효과를 보였고, 그 이상 농도에서는 증식이 억제되었다. Kinetin과 TDZ는 BA 만큼 증식에 효과적이지 못했다. 발근에 있어 TDZ는 저농도에서도 발근을 현저히 억제하였으나, BA와 kinetin은 저농도 처리 조건에서 자발적인 발근이 이루어 졌다. 한편 지베렐릭산 ($GA_3$)의 처리는 줄기신장의 유의적인 효과가 있었다. 증식중인 줄기는 인공상토에 기외삽목하여 90% 이상 발근이 가능하고 정상적인 생장이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식물체는 토양이식 다음해에 개화되고 과실을 맺었다.

중국과 북한 접경지역 두만강 일대의 Flora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y of the flora at Tumen river area, border of North Korea and China)

  • Ahn, Young-Hee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5-132
    • /
    • 2003
  • This study was executed by China along with the Tumen river, which formed border of North Korea and China. As a result 91 family, 282 genera, 363 species, 57 variety 4 species, total 424 taxa of vascular plants were identified. The examination area was include the region that had various vegetation such as upper swampy land, seashore dune, a river, a high mountain grassy plain, deciduous tree zon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zone. The followings are representative plants, which found in an examination area but not in South Korea. Picea koraiensis, Larix gmelini var. principis-ruprechtii, Betula playphylla, Ulmus pumila, Populus koreana, Ledum palustre var. diversipilosum, Rhododendron parvifolium, Salix brachypoda, Phacelurus latifolius, Carex gotoi, Carex capricornis, Calla palustris,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Lilium davuricum, Astragalus membranaceus, Trifolium lupinaster, Ledebourieila seselodeds, Polemonium racemosum, Scutellaria baicalensis, Linnaea borealis, Thladiantha dubia, Inula helenium, Trollius hondoensis, Hypocaeris ciliata, Aconitum kirinense, Aconitum arcuatum, Potentilla viscosa var. macrophylla. And there are 21 rare and endangered species, which Korean Forest Sevice designated, such as Aconitum koreanum,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Polygonatum stenophyllum, Drosera rotundifolia, Iris setosa, Jeffersonia dubia, Lilium davuricum, Lilium cernum, Paeonia obovata, Penthorum chinense, Phacelurus latifolius, Rosa marretii, Sparganium stoloniferum, Thymus quinquecostatus, Trillium tschonoskii, Utricularia japonica, Tripterospermum japonicum, Vaccinium uliginosum, Vaccinium vitis-idaea, etc. Especially, plants like, Acanthopanax senticosus, Jeffersonia dubia and Lillum cernum which have high values of ornamental, and medical use are in an extinction crisis. High swampy land was formed to upper stream of Tumen river. It showed representative vegitation, like Carex sp., Scirpus radirans, Eriophorum latifolium. Wetlands plant and a dune plant were mixed in down stream area of Tumen river. On a dune, seashore plants, such as Carex kobomugi, Salsola collina, Raphanus sativus var. raphanistroides, Rosa rugosa, Scutellaria strigillosa, Linaria japonica, Phacelurus latifolius were appeared frequently.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덩굴용담의 기내생장에 미치는 광질 및 환기효과 (Effect of different light sources and ventilation on in vitro shoot growth and rooting of a rare and endangered species, Tsuru-rindo(Tripterospermum japonicum))

  • 문흥규;박소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215-221
    • /
    • 2008
  • 소멸위기 식물인 덩굴용담을 재료로 기내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광질 및 환기효과를 조사하였다. 무처리 혹은 환기가 가능한 2종의 배양용기에 신초를 배양한 다음 5가지의 서로 다른 광질 1) 형광등, 2) 100% 적색광(R), 3) 70% 적색광+30% 청색광(R7B3), 4) 50% 적색광+50% 청색광(R5B5), 및 5) 100% 청색광 하에서 4주간 배양하였다. 실험을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근율은 형광등과 적색광에서 $80{\sim}100%$로 높았고, 특히 환기 처리시 100%의 발근율을 보였다. 광질별로는 적색광이 절간신장을 촉진시키고 청색광은 억제하는 경향이었다. 전반적으로 환기처리 시 진녹색의 큰 잎으로 자랐고, 액아의 발달을 억제하여 1-2개의 우세줄기로 생장하였다. 2. 식물체의 총 생체중은 적색광과 청색광이 7:3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광 R7B3에서 가장 높았고, 특히 환기처리 시 식물체 당 257.7 mg으로 가장 높았다. 식물체의 충실을 나타내는 건물율(dry matter)은 적색광에서 가장 낮았고, 청색광에서 15%로 가장 높았으며, 청색광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건물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광질별 총 엽록소 함량은 환기처리 하의 혼합광 R7:B3 및 R5:B5에서 29.5 ${\mu}g/g$ FW와 31.2 ${\mu}g/g$ FW으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광합성에 관여하는 carotenoid 함량에 있어서도 모든 광질에서 환기 처리 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덩굴용담의 기내배양은 배양목적에 따른 광질의 선택이 중요한 요소이며, 발근을 위해서는 적색광을 처리함이 좋고, 건전한 식물체의 생장은 혼합광 R7:B3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든 광질 하에서 환기처리가 건전한 줄기생장 및 발근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식물의 효율적인 기내생장을 위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내용으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