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p pattern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8초

수도권 광역도시철도 하루 시간대별 이용 빈도에 의해 구분된 역 집단과 통행자의 통행 연쇄 패턴 간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iurnal Patterns of Passenger Ridership and Passenger Trip Chains on the Metropolitan Seoul Metro System)

  • 이금숙;박종수;김호성;조창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92-608
    • /
    • 2010
  • 본 연구는 수도권 광역도시철도 이용에서의 통행 연쇄 패턴으로 구분한 이용자 집단 특성과 총 이용 빈도 및 시간대 별 이용빈도로 구분한 역 집단 특성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수도권 광역도시철도 역 이용의 일반 특성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도 6월 하루 동안 수도권 광역도시철도 전체 357개 역을 이용한 274만여 명의 역 이용지를 11개 통행 연쇄 패턴으로 구분하고, 이 중 2통행 수 이하의 단순 통행 5개 패턴에 해당하는 240만여 명의 통행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용객 수 및 시간대 별 출발 및 도착 비율에 근거하여 4개의 역 집단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특히 역 집단 간에는 계층적 구조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루 동안의 역 이용 빈도가 역 집단 별로 일관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모든 이용자 집단에 있어 동일하나, 시간대 별 이용 비율은 역 이용자의 최초 통행의 도착역이 최종 통행의 출발역과 같은가 여부, 최초 통행의 출발역이 최종 통행의 도착역과 같은가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지하철 탑승 패턴 분류 (Classification of Subway Trip Patterns from Smart Card Transaction Databases)

  • 박종수;김호성;이금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91-100
    • /
    • 2010
  • 서울 수도권 지하철 승객들의 탑승 패턴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효율적인 수도권 지하철 시스템을 입안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에 대용량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용한 패턴을 탐사하거나 귀중한 패턴의 분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 새로운 지하철 탑승 분류를 정의하고 하루 약 천만 건 트랜잭션들로 구성된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하철 승객들의 11 가지 탑승 패턴을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시된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탑승 패턴들을 분류하기 위하여 하루 동안의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왕복-탑승 패턴, 통근 패턴, 예상치 못한 흥미로운 패턴들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각 분류된 패턴에 대해서 시간대별로 승객수를 지하철 트랜잭션의 승차시간과 하차시간 기준으로 그래프로 설명하여 유용한 패턴의 특성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대구시 대중교통체계 개편에 따른 이용자 통행패턴 및 시내버스 서비스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User's Travel Pattern and Bus Service Satisfaction Index for Public Transportation Reform in Daegu)

  • 황정훈;김갑수;전종훈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53-62
    • /
    • 2006
  • 본 연구는 대구시 대중교통체계 개편 후 이용자 의식조사를 토대로 대중교통체계 개편 전후의 이용자 통행패턴의 변화 및 환승통행,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중교통체계 개편으로 환승통행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버스를 이용한 통행패턴에서 버스와 지하철간의 환승을 통한 통행패턴으로의 변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승요금 무료할인제 실시로 환승에 대한 경제적 부담감의 감소와 버스노선체계 개편으로 대중교통이용자의 통행패턴이 다양화되었기 때문이다 환승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무환승 희망비율이 높게 나타난 환승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물자동차의 통행행태 분석(통행사슬 분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ruck Trip Chaining)

  • 성홍모;김찬성;신승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16
    • /
    • 2008
  • 본 연구는 그동안 여객보다 상대적으로 소홀히 되어온 화물통행의 행태분석을 통행사슬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화물자동차 통행분석에 대한 운행특성 지표들은 공간 및 통행패턴별로 설명되지 못하였음을 지적하고, 2005년 수행된 제3차 전국물류현황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전체 분석대상 화물자동차는 약 13,000대 이었으며 화물자동차의 통행일지 자료를 도면위에 맵핑을 통하여 통행사슬을 새롭게 분류하였다. 또한 약 13,000대의 화물자동차에 대한 물리적 특성지표 및 운행효율성지표를 산정하고 앞서 정의한 통행사슬과 연관지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업용 화물자동차가 자가용 화물자동차보다 다소 우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리적 지표에서 공간적으로 볼 때, 도시내와 광역권은 비슷하고 지역간은 통행거리와 통행시간이 길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운행효율성 지표는 지역간, 지역내 및 광역 권에서 자가용 화물자동차보다 영업용 화물자동차의 효율성이 약간 높은 것인 것으로 분석되었나 단순 왕복 및 복잡정도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영업용 화물자동차의 경우, 적재능력이 높을수록 효율성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Estimation of Freight Trip Generation Rates based on Commodity Flow Survey in Korea

  • Park, Minchoul;Sung, Hongmo;Chung, Sungb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5권4호
    • /
    • pp.139-143
    • /
    • 2012
  • In Korea, almost 700 industrial parks are under operation. Generally, industrial parks consist of national industrial parks and local industrial parks which are managed by a central government and by local governments respectively. The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and Vietnam etc. have constructed many industrial parks, which result in the change of land use pattern and also affect future trip demands. Therefore, in estimating traffic demands,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industrial park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methodology in estimating a freight trip generation rate with the data based on a nationwide commodity freight survey. The result showed that it is desirable to apply freight trip generation rate by the industry sector in estimating freight trip generations and using the production area of firm as an indicator. Specially, the reliability of the rates through a survey could be made sure because a sample rate based on firms in industrial parks was over 25% and the response rate was over 67%. The sample rate and response rate are very superior as compared to surveys conducted in many other countries. Because industrial park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forecasting transportation demand in pre-feasibility studies of transport and logistics projects, it is expected that the accuracy of freight trip demands would be improv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텔레매틱스 기술을 이용한 자동차 주행 패턴 및 냉간 배출거리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Vehicle Driving Pattern and Cold Emission Length by using on-board Telematics Devices)

  • 최상진;김필수;박성규;박건진;김진윤;홍영실;장영기;김정;김정수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34-744
    • /
    • 2013
  • In this study, the telematics device was installed on the car (OBD-II) to collect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conditions from each sample vehicle.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domestic driving pattern was analysed and the ratio of cold start length was estimated. As a result of analysis for driving pattern, we found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driving on the hourly or seasonal basis. Then, the driving pattern of the rush hours, weekdays, and weekends could be derived. Also, from the study, an average of 2.22 times per day occurred in a single trip and average driving distance for the trip was 15.72 km.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cold start length was analyzed to be 16.11%. The seasonal cold start length has big difference from season to season (Winter 26.63%, Summer 8.22%, Intermediate 12.65%). There wa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side temperature and ratio of cold start length.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cold emission estima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domestic ratio of cold start length that driving pattern and temperature in Korea is reflected.

Transient Diagnosis and Prognosis for Secondary System in Nuclear Power Plants

  • Park, Sangjun;Park, Jinkyun;Heo, Gyunyo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1184-1191
    • /
    • 2016
  • This paper introduces the development of a transient monitoring system to detect the early stage of a transient, to identify the type of the transient scenario, and to inform an operator with the remaining time to turbine trip when there is no operator's relevant control. This study focused on the transients originating from a secondary system in nuclear power plants (NPPs), because the secondary system was recognized to be a more dominant factor to make unplanned turbine-generator trips which can ultimately result in reactor trips. In order to make the proposed methodology practical forward, all the transient scenarios registered in a simulator of a 1,000 MWe pressurized water reactor were archived in the transient pattern database. The transient patterns show plant behavior until turbine-generator trip when there is no operator's intervention. Meanwhile, the operating data periodically captured from a plant computer is compared with an individual transient pattern in the database and a highly matched section among the transient patterns enables isolation of the type of transient and prediction of the expected remaining time to trip. The transient pattern database consists of hundreds of variables, so it is difficult to speedily compare patterns and to draw a conclusion in a timely manner. The transient pattern database and the operating data are, therefore, converted into a smaller dimension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transient pattern database, dealing with principal components, and optimizing similarity measures.

열동전자식 MCCB의 열적 스트레스에 따른 소손 패턴 및 작동 특성 (Damage Pattern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a Thermal Magnetic Type MCCB according to Thermal Stress)

  • 이재혁;최충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9-7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arbonization pattern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an MCCB. The MCCB is consisted of the actuator lever, actuator mechanism, bimetallic strip, contacts, up and down operator, arc divider or extinguisher, metal operation pin, terminal part, etc. When the actuator lever of the MCCB is at the top or the internal metal operation pin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part, the MCCB is turned on or off. It means trip state if the actuator lever or the internal metal operation pin moves to back side. In the UL 94 vertical combustion test, white smoke occurred from the MCCB when an average of 17~24 seconds elapsed after the MCCB was ignited and black smoke occurred when an average of 45~50 seconds elapsed. It took 5~6 minutes for the MCCB surface to be half burnt and took an average of 8~9 minutes for the MCCB surface to be entirely burnt. In the UL 94 test, the MCCB trip device operated when an average 7~8 minutes elapsed. If the MCCB trip has occurred, it may have been caused by an electrical problem such as a short-circuit, overcurrent, etc., as well as fire heat. From the entire part combustion test according to KS C 3004, it was found that the metal operation pin could be moved to the MCCB trip position without any electrical problems.

도시부 경로자료를 이용한 통행의 공간적 규칙성 분석 (Analysis of Spatial Trip Regularity using Trajectory Data in Urban Areas)

  • 이수진;장기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96-110
    • /
    • 2018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통행 정보 수집이 용이해지면서, 신규 교통정보 생성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그 중 수요 및 교통량에 대한 추정 및 예측은 교통 운영에 필수적인 주요 지표 중 하나로, 특정 지점 혹은 구간의 통행 패턴이 반복됨을 전제로 한다. 기존에는 이러한 통행 규칙성을 증명하기 위해 설문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해당 방식은 높은 비용과 응답자 기억에 의존하는 응답으로 높은 정확도를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 ETC시스템, 스마트카드 등의 방법으로 통행데이터 수집이 용이해지면서, 다양한 시각에서 통행 규칙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대규모 경로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별통행자가 여러 날에 걸쳐 공간적으로 유사한 통행사슬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간적 통행 유사성을 새롭게 정의하며, 서열정렬 알고리즘인 Dynamic Time Warping을 이용하여 일별 통행사슬 간 공간적 차이를 산정한다. 또한 산출된 공간적 통행 규칙성을 통해 고정적 교통수요 추정의 지표 및 교통서비스로의 활용방안을 논 하고자 한다.

자유류 난류와 표면 트립 와이어가 구 주위 유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ree-Stream Turbulence and Surface Trip Wire on the Flow past a Sphere)

  • 손광민;최진;전우평;최해천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6년 제4회 한국유체공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7-190
    • /
    • 2006
  • In the present study, effects of tree-stream turbulence and surface trip wire on the flow past a sphere at $Re\;=\;0.4\;{\times}\;10^5\;{\sim}\;2.8\;{\times}\;10^5$ are investigated through wind tunnel experiments. Various types of grids are installed upstream of the sphere in order to change the tree-stream turbulence intensity. In the case of surface trip wire, 0.5mm and 2mm trip wires are attached from $20^{\circ}\;{\sim}\;90^{\circ}$ at $10^{\circ}$ interval along the streamwise direction. To investigate the flow around a sphere, drag measurement using a load cell, surface-pressure measurement, surface visualization using oil-flow pattern and near-wall velocity measurement using an I-type hot-wire probe are conducted. In the variation of free-stream turbulence, the critical Reynolds number decreases and drag crisis occurs earlier with increasing turbulence intensity. With increasing Reynolds number, the laminar separation point moves downstream, but the reattachment point after laminar separation and the main separation point are fixed, resulting in constant drag coefficient at each free-stream turbulence intensity. At the supercritical regime, as Reynolds number is further increased, the separation bubble is regressed but the reattachment and the main separation points are fixed. In the case of surface trip wire directly disturbing the boundary layer flow, the critical Reynolds number decreases further with trip wire located more downstream. However, the drag coefficient after drag crisis remains constant irrespective of the trip lo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