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choderma disease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6초

화본과식물에 발생하는 설부소입균핵병균(雪腐小粒菌核病菌)의 동정 및 발생상태에 관한 연구 -II. Typhula incarnata의 생육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 (Studies on the Ecology of Occurrence and Identification of Typhula Snow Mold of Graminous Plants -II. Several Factors Affecting Growth of Typhula incarnata-)

  • 김진원;이두형;심규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43
    • /
    • 1992
  • Typhula incarnata 의 생육온도는 $-5{\sim}10^{\circ}C$의 범위이었으며 $10{\sim}15^{\circ}C$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6 균 핵은 고온에서 형성량이 많았으며 pH 5.4-6.2 에서 균사의 생장이 가장 좋았다. 기본배지에서 탄소원을 첨가했을 때 이눌린, 가용성 전분, 갈락토스, 포도당, 만노스, 만닛톨, 자당, 맥아당, 셀로비로스, 트레할로스, 라휘노스 및 덱스트린 등이 다른 탄소원보다 균의 생육이 더 좋았다. 23종의 질소원 중에서는 글리신, 셀린, 황산암모니움, 아스파라진, 아스파라틴산(酸) 및 ${\beta}-alanine$ 등이 T. incarnata 의 균사생장에 가장 좋았다. 시스틴과 시스테인은 질소원으로서 적합하지 않았고 암모니아태(態) 질소가 질산태(態) 질소보다 균의 생육이 더 좋았다. 감자배지, 오트밀배지 및 V-8 배지 등은 균의 생육과 균핵형성에 가장 좋았다. 톤을 첨가한 감자 배지에서는 T. incarnata 의 건물중이 감소하였으며, 자당(蔗糖)을 첨가하면 생육이 좋았다. T. incarnata 의 균핵은 흙속에서 생존력이 저하 되었으며 부발아(不發芽)된 균핵으로부터 Trichoderma viride와 세균이 검출되었다. 토양속의 오리새 생엽초는 T. incarnata에 의한 착생(着生)이 살균 또는 무살균(無殺菌)의 고엽초보다 $0^{\circ}C$에서 좋았다. 살균고엽초에서의 T. incarnata 의 부생능력은 $10^{\circ}C$보다는 $0^{\circ}C$에서 좋았다. 살균 또는 무살균의 기질에 착생된 부생균은 Cladosporium sp., Fusarium sp., Mucor sp., Pythium sp., 및 수종의 미동정균(未同定菌)이 경쟁균으로서 검출되었으나 $0^{\circ}C$에서의 생엽초에서는 착생(着生)되지 않았다. Bentgrass의 설부갈색소립균핵병에 대해서 살균제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폴리옥신과 티람의 혼합제가 가장 좋았고, 이프로디온, 이프로디온과 옥신 구리의 혼합제, 지오파내이트-메틸, 마이클로브탄일 및 톨클로포스-메틸의 순으로 좋았다.

  • PDF

표고수확후배지 퇴비 물 추출물에서 Bacillus subtilis BSM 320의 고밀도 배양 및 표고 푸른곰팡이병의 생물학적 방제 (High density culture of Bacillus subtilisBSM320 in aqueous extract of composted spent mushroom substrate of Lentinula edodes and biological control of green mold disease )

  • 김자윤;박세현;박성준;황보주형;강희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0-144
    • /
    • 2023
  • 본 연구는 길항성 미생물, Bacillus subtilis BSM320을 이용한 표고 푸른곰팡이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목적으로 하였다. B. subtilis BSM320는 표고 톱밥배지 에서 분리된 T. hazianum을 포함한 3 Trichoderma 분리균주 대해 균사 생장을 억제하는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B. subtilis BSM320은 1% glucose를 포함하는 LeCSMS물 추출물(LeCSMS WE)에서 4.2 × 109±113.7 cfu/mL 세균수로 고밀도 배양 되었으며 상용배지 Lurina-Bertani broth 배지보다 높은 세균 밀도를 보였다. B. subtilis BSM320의 LeCSMS WE 배양액은 표고 자실체에 약해 없이 표고 톱밥 배지에 발생하는 푸른곰팡이병에 대하여 75%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그 결과는 LeCSMS 물 추출물 배양 B. subtilis BSM320는 표고 푸른곰팡이병의 생물학적 방제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을 시사한다.

은행나무 추출물의 생물활성 및 천연물농약으로 이용 가능성 (Bioactivities of Korean Ginkgo (Ginkgo biloba L.) Extract and Its Potential as a Natural Pesticide)

  • 이향범;김한나;김미경;김창진;권오성
    • 식물병연구
    • /
    • 제9권2호
    • /
    • pp.99-103
    • /
    • 2003
  • 본 연구는 국내산 은행나무(Ginkgo biloba) 뿌리, 열매껍질, 가지 등 부위별 추출물의 진균류, 일반세균 및 해충에 대한 생물활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푸른곰팡이 병균(T.harzianum) 및 대장균(E.coli) 등에 대해 200 ug/disc 농도에서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줄기부위가 더 높은 항미생물활성을 보였다. 특히 버섯 배양상 표면에 1mg/ml 수준으로 처리할 경우 푸른 곰팡이병의 발생을 상당히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은행나무 부위별 추출물을 500 ug/ml으로 공시 해충을 처리하였을 경우 대부분의 추출물이 살충활성을 보이며 벼멸구, 배추좀나방, 두점박이응애에 대해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벼멸구에 대해서 8u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살충활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국내산 은행나무 추출물이 항미생물 및 살충활성이 확인되었는 바 식물유래 병해충 방제용 천연물 농약으로서의 잠재성을 보여주었다.

Efficacy of Newer Molecules, Bioagents and Botanicals against Maydis Leaf Blight and Banded Leaf and Sheath Blight of Maize

  • Malik, Vinod Kumar;Singh, Manjeet;Hooda, Karambir Singh;Yadav, Naresh Kumar;Chauhan, Prashant Kumar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21-125
    • /
    • 2018
  • Maize (Zea mays L.; 2N=20) is major staple food crop grown worldwide adapted to several biotic and abiotic stresses. Maydis leaf blight (MLB) and banded leaf and sheath blight (BLSB) are serious foliar fungal diseases may cause up to 40% and 100% grain yield loss, respectively. The present studies were undertaken to work out the efficacy of chemicals, botanicals and bioagents for the management of MLB and BLSB under field condition for two seasons Kharif 2014 and 2015. Five molecules (propiconazole 25 EC, hexaconazole 25 EC, carbendazim 50 WP, mancozeb 75 WP and carbedazim 12 WP + mancozeb 63 WP), two bioagents i.e. Trichoderma harzianum and T. viridae and three botanicals namely azadirachtin, sarpagandha and bel pathar were tested for their efficacy against MLB. Eight newer fungicides viz., difenconazole 250 SC, hexaconazole 5 EC, carbendazim 50WP, validamycin 3 L, tebuconazole 250 EC, trifloxystrobin 50 WG + tebuconazole 50 WG, azoxystrobin 250 EC and pencycuron 250 SC were evaluated against BLSB.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of propiconazole at 0.1%, carbendazim 12 WP + mancozeb 63 WP at 0.125% and sarpagandha leaves at 10% against MLB pathogen, whereas validamycin at 0.1% and trifloxystrobin 25 WG + tebuconazole 50 WG at 0.05% were found effective against BLSB. The slow rate of disease control virtually by the bioagents might have not shown instant effect on plant response to the yield enhancing components. The identified sources of management can be used further in strengthening the plant protection in maize against MLB and BLSB.

Bacillus sp. N32 균주가 생산하는 항균 단백질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proteins produced by Bacillus sp. N32)

  • 이미혜;박인철;여윤수;김수진;윤상홍;이석찬;정태영;구본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6-65
    • /
    • 2006
  • 작물 근권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5,000여 길항 균주로부터 Erwinia 및 Pseudomonas등의 세균과 Trichoderma, Colletotrichum 등 곰팡이의 성장을 동시에 억제하는 Bacillus sp. N 32 균주를 선발 동정 하였다. 특히 Bacillus sp. N32 균주는 고추 탄저병균인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대하여 열에 저항성이 있는 단백질과 열에 민감한 단백질의 2종류의 항균 단백질을 동시에 생산함을 단백질 침전과 활성 검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 항균 단백질들을 FPLC를 이용한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방법으로 분리한 후 SDS-PAGE와 bioautography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항균 단백질의 유전자들을 선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알려진 그람양성 세균의 대표적인 열 저항성 항균 펩타이드 생합성 유전자 서열을 primer로 이용한 PCR 방법으로 fengycin의 생합성 유전자 단편을 분리하고 이 PCR 산물을 이용하여 Bacillus sp. N32 균주의 cosmid library로부터 fengycin의 생합성 유전자 cluster중 일부를 분리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또한 열에 민감한 항균 단백질 생산 유전자는 이 항균 단백질을 SDS-PAGE 및 electroblotting으로 분리한 뒤 N-terminal 부위의 15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하고 이를 DNA 염기배열로 치환한 다음 probe로 이용하여 ${\lambda}-ZAP$ library로부터 항균 단백질 생산 유전자가 포함된 다수의 clone을 선발하였다.

인삼 연작토양에서 관수 및 인삼뿌리 잔사물이 토양 미생물상 및 뿌리썩음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rigation and Ginseng Root Residue on Root Rot Disease of 2-Years-Old Ginseng and Soil Microbial Community in the Continuous Cropping Soil of Ginseng)

  • 이성우;이승호;서문원;박경훈;장인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45-353
    • /
    • 2018
  • Background: Some phenolics detected in the soil may inhibit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ginseng (Panax ginse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rrigation and ginseng root residue addition on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and root rot disease in 2-year-old ginseng. Methods and Results: Each $20{\ell}$ pot was filled with soil infected with ginseng root rot pathogens, and irrigated daily with $2{\ell}$ of water for one month. After the irrigation treatment, ginseng fine root powder was mixed with the irrigated soil at a rate of 20 g per pot. In descending order, ${NO_3}^-$, electric conductivity (EC), exchangeable Na (Ex. Na) and K (Ex. K) decreased due to irrigation. In descending order, ${NO_3}^-$, EC, Ex. K, and available $P_2O_5$ increased with the additon of ginseng powder to the soil. The abundance of Trichoderma crassum decreased with irrigation, but increased again with the incorporation of ginseng powder. The abundance of Haematonectria haematococca increased with irrigation, but decreased with the incorporation of ginseng powder. The abundance of Cylindrocarpon spp. and Fusarium spp., which cause ginseng root rot, increased with the incorporation of ginseng powder. The abundance of Arthrobacter oryzae and Streptomyces lavendulae increased with irrigation. The abundance of Streptomyces lavendulae decreased, and that of Arthrobacter spp. increased, with the incorporation of ginseng powder. Aerial growth of ginseng was promoted by irrigation, and ginseng root rot increased with the incorporation of ginseng powder. Conclusions: Ginseng root residues in the soil affected soil nutrients and microorganisms, and promoted ginseng root rot, but did not affect the aerial growth of ginseng.

느타리버섯 균상재배 중 배지에서 분리한 미생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 isolated from Cotton Waste Media for the Oyster Mushroom Cultivation)

  • 이찬중;전창성;정종천;오진아;한혜수;엄나나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0-124
    • /
    • 2010
  • 본 시험은 재배과정 중 균상배지에서 분리한 세균들의 특성을 조사하여 버섯균의 생육 및 병원균과의 연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정상적으로 버섯을 수확한 농가의 경우 버섯생육초기에 분리한 세균일수록 버섯균주에 대해 저해정도가 감소하였으나, 생육이 진행될수록 저해균의 수가 증가하였으나, 버섯 수확에 실패한 농가의 경우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합성배지에 분리세균을 도말한 후 느타리버섯 균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정상적 농가의 경우 살균 직후 보다 생육이 진행될수록 저해균의 수가 증가하였지만, 실패한 농가는 오히려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톱밥배지에서는 버섯생육초기보다 후기에 분리한 세균이 저해하는 정도가 오히려 낮았다. 또한 이들 분리 세균은 분비성 물질을 통해서 버섯균의 생육과 증식에 영향을 미쳤다. 분리 미생물 중 세균성갈반병의 원인균인 Pseudomonas tolaasii을 강하게 억제하는 미생물은 거의 없었으며 소수의 균주에서 약한 길항력을 보였다. 그러나 세균성갈색무늬병을 일으키는 P. agarici에 대해서는 강한 억제력을 보이는 균주가 많이 존재하였으며, 푸른곰팡이병의 원인균인 Trichoderma harzianum을 강하게 억제하는 미생물도 배지내에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배지내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하고 이들 다양한 미생물과 버섯균의 상호작용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느타리버섯 재배과정 중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전국 미곡종합처리장에서 채집한 2009년산 쌀과 가공부산물 시료의 독소생성곰팡이 오염 (Toxigenic Fungal Contaminants in the 2009-harvested Rice and Its Milling-by products Samples Collected from Rice Processing Complexes in Korea)

  • 손승완;남영주;이승호;이수민;이수형;김미자;이데레사;윤종철;류재기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280-287
    • /
    • 2011
  •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미곡종합처리장의 가공단계별 7종의 쌀 시료에 대한 곰팡이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다. 곰팡이독소를 생산하는 곰팡이인 Aspergillus spp., Fusarium spp., Penicillium spp., Alternaria spp.가 우점하고 있었고, 포장곰팡이인 Fusarium과 Alternaria는 남부지방에 저장곰팡이인 Aspergillus와 Penicillium는 중부지방에 오염이 많았다. 또한 원료벼에서 가공단계가 진전될수록 Fusarium과 Alternaria와 같은 포장곰팡이의 오염 정도는 낮아졌으나 심하게 오염된 전라도 시료에서는 크게 낮아지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Aspergillus와 Penicillium과 같은 저장 곰팡이의 오염 정도는 가공단계가 진전될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7종의 쌀 시료에는 총 35종의 곰팡이 속(genus)이 오염되어 있었으며 이 중 Myrothecium spp.는 우리나라 쌀 시료에서 처음으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주식인 쌀의 수확 후 저장, 가공과정의 곰팡이독소의 오염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