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chloroethylene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6초

조건의 변화에 따른 수중 환경 내에서의 철 용해 분석 (Analysis of aqueous environment iron dissolution in different conditions)

  • 배연욱;민지은;박재우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807-810
    • /
    • 2008
  • 영가철(ZVI)를 사용하는 투수성 반응벽체(PRB, Permeable reactive barrier)는 TCE(Trichloroethylene)와 같은 난분해성 유기물질이 포함된 지하수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ZVI(Zero-valent iron)가 Ferric iron으로 산화되면서 TCE를 ethene으로 환원시킨다. Ferric iron으로 변화된 iron은 환원과정을 통해 Ferrous iron으로 다시 재생을 시켜야 PRB의 처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Ferric iron을 Ferrous iron으로 환원시키기 위해서 철환원 박테리아(IRB, Iron-reducing bacteria)를 이용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IRB가 Ferric iron을 환원시키기 위해서 Ferric iron을 용해를 한다는 concept으로 실험을 해보았다. 실험은 증류수(DI water, De-ionized water), DI-water에 배지를 포함한 용액, 그리고 DI-water에 배지 및 IRB가 포함된 용액, 이 3가지 조건으로 수행했다. 실험결과 $Fe^{3+}$의 용해가 IRB가 포함된 용액, 배지가 포함된 용액, 증류수 순으로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통계적 분석 방법을 이용한 국가지하수수질측정망의 오염 등급 정량화 및 평가 (Qua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Groundwater Quality Grade by Using Statistical Approaches)

  • 윤희성;배광옥;이강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7권1호
    • /
    • pp.22-32
    • /
    • 2012
  •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to grade groundwater quality quantitatively using statistical approaches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groundwater in wells included in the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GQMN). The proposed analysis method is applied to GQMN data from 2001 to 2008 for nitrate nitrogen, chloride, trichloroethylene, potential of hydrogen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The analysis results are obtained as groundwater quality grades of the groundwater representing each of the monitoring stations. The degree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is analysed for water quality parameters, district, and usage. The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is relatively high by nitrate nitrogen, bacteria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t Seoul, Incheon, Gwangju, Gyeonggido and Jeollad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by nitrate nitrogen and trichloroethylene is especially high when the groundwater is used for agricultural and industrial water, respectively. It is evaluated that potable groudnwater in GQMN is significantly vulnerable to nitrate nitrogen and bacteria contamination.

흰쥐와 마우스에서 Ethanol이 요중 트리클로로에틸렌 대사산물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Species Differences in Effect of Ethanol to Urinary Metabolites Excretion of Trichloroethylene in Mice and Rats)

  • 강은용;박정덕;홍연표;장임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4호
    • /
    • pp.680-691
    • /
    • 1998
  • 본 연구는 흰쥐와 마우스에서 TCE 경구투여 후 주대사산물인 TCE-OH와 TCA의 요중 배설량과 시간에 따른 배설량의 변화와 이에 대한 ethanol의 영향 및 종간의 차이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TCE 경구 투여 후 요중 TTC 배설양상은 실험동물의 종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흰쥐에서는 TTC 배설량이 투여량에 따라 증가하다가 체중 kg당 1,000 mg 용량 이상에서 포화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마우스에서는 2,000 mg까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투여용량에 따른 TTC 배설 량은 흰쥐보다 마우스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2. TCE 투여 후 경과시간에 따른 대사산물 배설양상은 종이나 투여용량에 관계없이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TCE-OH는 12시간에서 거의 대부분$(82.8\sim87.6%)$이 배설되었으며, TCA는 12 시간 $(39.2\sim41.6%)$과 24시간$(33.4\sim36.6%)$에 최고치를 보였고 그 후 서서히 배설되었다. 3. Ethanol 전처치시 횐쥐에서는 TTC와 TCE-OH 배설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1), TCA 배설량은 증가하지 않았다. 마우스에서는 TTC, TCE-OH 및 TCA 배설량 모두 ethanol 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HPLC-MS/MS를 이용한 트리클로로에틸렌 대사산물의 다중 분석법 확립 (Multiple Determinations of Trichloroethylene Metabolites in a Concurrent Biological Media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 안영아;고영림;이승호;신미연;전중대;김성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4-126
    • /
    • 2014
  • Objectives: We aimed to develop a measurement method of five metabolites of trichloroethylene (TCE) in a concurrent biological sample, e.g., trichloroacetic acid (TCA), dichloroacetic acid (DCA), S-(1,2-dichlorovinyl) glutathione (DCVG), S-(1,2-dichlorovinyl)-L-cysteine (DCVC), and N-Acetyl-S-(1,2-dichlorovinyl)-L-cysteine (NAcDCVC) and to validate the method before application to pharmacokinetic study. Methods: TCE metabolites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HPLC-ESI-MS/MS) with as little as 50 ${\mu}L$ of serum and urine. DCA, TCA and NAcDCVC were extracted with diethyl ether, while DCVC and DCVG were extracted by solid phase extraction. This method was valida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for bioanalytical method validation of the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Toxicological Research. Then, we determined the five metabolites in five strains of mice at 24 hr after exposure to 1 g TCE /kg body weight. Results: The limits of detection for the five metabolites in biological samples ranged from 0.001 to 0.076 nmol/mL, which is comparable to or better than those previously reported. Most calibration curves showed good linearity ($R^2=0.99$), and between-batch variation was less than 20% expressing acceptable robustness and reproducibility. Using this method, we found TCA and DCA were detected in all test mice at 24 hr after the oral administration while NAcDCVC and DCVC were detected in some strains, which showed strain-dependent metabolism of TCE. Conclusions: The present method could provide robust and accurate measurements of major key metabolites of TCE in biological media, which allowed concurrent analysis of TCE metabolism for limited amounts of biospecimens.

양이온-비이온 혼합계면활성제의 첨가가 영가철을 이용한 TCE환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tant on Reductive Dechlorination of Trichloroethylene by Zero-Valent Iron)

  • 신민철;최현덕;양중석;백기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6호
    • /
    • pp.38-45
    • /
    • 2007
  •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ele, TCE)는 지하 환경으로 누출되었을 경우 대표적인 고밀도 불용성 유체(dense non aqueous phase liquids, DNAPLs)를 형성하여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며,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SEAR(Surfactant-enhanced aquifer remediation) 공법으로 처리를 하여도 소량이 계면활성제와 함께 지하수에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SEAR공법으로 처리 후 잔존하는 TCE가 계면활성제와 함께 존재할 때, 영가철(zero valent iron, ZVI)로 이루어진 투수성 반응벽체(PRB)에서의 TCE 거동을 조사하였다. 특히 계면활성제의 독성과 반응속도의 영향을 고려하여 양이온과 비이온 혼합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혼합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ZVI를 이용한 TCE의 분해는 계면활성제의 구조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경향을 보였다. TCE의 제거율을 살펴보면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친수성기인 polyoxyethylene(POE) 사슬이 짧을 경우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였고, 상대적으로 긴 POE사슬일 경우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첨가량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다. 친수성기가 트리메틸암모늄 (trimethylammonium)인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피리디늄(pyridinium)를 가지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보다 더 높은 TCE 제거율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SEAR 후처리를 위해 PRB 적용시 잔존하는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실제 현장적용의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CE와 Phenanthrene에 대한 CFW의 흡착특성 분석 (Analysis on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FW for the TCE and Phenanthrene)

  • 한중근;이승현;이기석;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3-61
    • /
    • 2011
  • 본 연구는 E/K 정화기법이 적용된 PRB 공법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된 CFW(Carbonized Foods Waste)를 반응물질로 적용하고자 회분식 흡착실험(Batch Test)을 실시하였으며, 유기오염물질에 대한 흡착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서 사용된 유기오염물질은 Phenanthrene과 Trichloroethylene(TCE)이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SDS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Brij$^{(R)}$30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Phenanthrene과 TCE의 흡착효율은 각각 99%와 26%로 나타났으며, Phenanthrene에 대한 CFW의 흡착효율이 4배 정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Langmuir와 Freundlich 흡착등온 모델에 적용한 결과, Phenanthrene은 Langmuir 모델에 일치하였고, TCE는 그 구분이 불분명하였다. 또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회분식 흡착실험을 실시한 결과, Phenanthrene의 경우에는 계면활성제가 방해요소로 작용하여 흡착지체현상이 발생했으며, 계면활성제가 적용되지 않은 흡착효율에 비하여 6~8% 정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TCE는 계면활성제가 반응촉매제로 작용하여 최대 81%까지 흡착효율이 증가하였으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서 보다 높은 흡착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계면활성제의 적용과 관계없이 Phenanthrene에 대한 흡착효율이 TCE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PRB 공법에 E/K 정화기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보다 높은 흡착효율이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A Case of Occupational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Associated with Trichloroethylene

  • Jae, Young;Hwang, Eu Dong;Leem, Ah Young;Kang, Beo Deul;Chang, Soo Yun;Kim, Ho Keun;Park, In Kyu;Kim, Song Yee;Kim, Eun Young;Jung, Ji Ye;Kang, Young Ae;Park, Moo Suk;Kim, Young Sam;Kim, Se Kyu;Chang, Joon;Chung, Kyung So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6권2호
    • /
    • pp.75-79
    • /
    • 2014
  • Trichloroethylene (TCE) is a toxic chemical commonly used as a degreasing agent, and it is usually found in a colorless or blue liquid form. TCE has a sweet, chloroform-like odor, and this volatile chlorinated organic chemical can cause toxic hepatitis, neurophysiological disorders, skin disorders, and hypersensitivity syndromes. However, the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HP) attributed to TCE has rarely been reported. We hereby describe a case of HP associated with TCE in a 29-year-old man who was employed as a lead welder at a computer repair center. He was installing the capacitors on computer chip boards and had been wiped down with TCE. H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complaints of dry coughs, night sweats, and weight losses for the past two months. HP due to TCE exposure was being suspected due to his occupational history, and the results of a video-associated thoracoscopic biopsy confirmed the suspicions. Symptoms have resolved after the steroid pulse therapy and his occupational change. TC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 potential trigger of HP. Early recognition and avoidance of the TCE exposure in the future is important for the treatment of TCE induced HP.

과황산(persulfate) 산화반응을 이용한 염소계 화합물(TCE, PCE) 분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sulfate Oxidation to Remove Chlorinated Solvents (TCE/PCE))

  • 송경호;도시현;이홍균;조영훈;공성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549-556
    • /
    • 2009
  • Trichloroethylene (TCE)와 tetrachloroethylene (PCE)은 주로 드라이클리닝 및 산업 세척액으로 쓰이는 염소계 화합물이며, 발암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 In situ chemical oxidation (ISCO)는 토양 및 지하수를 처리하는 기술로, 지표 아래에 존재하는 오염된 지역까지 산화제를 전달하여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기술이다. ISCO에 사용되는 산화제 중 persulfate는 강력한 산화제인 sulfate 라디칼 (${SO_4}^{-{\cdot}}$)을 발생시켜 처리하는 기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TCE와 PCE의 분해에 persulfate 산화공정을 적용하여 초기 pH (3, 6, 9, 12), persulfate의 농도 (0.01, 0.05, 0.1, 0.3, 0.5 M), 초기오염물질농도 (10, 30, 50, 70, 100 mg/L)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초기 pH가 3 일 때, TCE와 PCE는 각각 93.2%와 89.3%로 가장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낸 반면, 초기 pH가 12 일 때, TCE 55.0%와 PCE 31.2%로 가장 낮은 효율을 보여 pH가 높아질수록 처리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ersulfat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TCE/PCE의 처리효율이 증가하였으며, 가장 높은 persulfate의 농도 (0.5 M)에서의 처리효율은 96.5% (TCE), 95.7% (PCE) 였다. 반면 초기오염농도가 높아질수록 처리효율은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가장 빠른 분해속도를 나타내는 조건은 pH 3, persulfate 농도 0.5 M, 그리고 오염물질 (TCE/PCE) 농도 10 mg/L이었고, 이때 구해진 1차 분해속도 상수 ($k_{obs}$)는 1.04 (TCE)와 1.31 (PCE) $h^{-1}$ 였다.

전자산업단지에서의 대기중 휘발성유기화합물 오염도 특성 (Industrial Characterization of VOCs Concentrations in Electronics Area)

  • 최우건;조장제;장정욱;김태오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3-254
    • /
    • 2003
  • 구미시 산단지역은 반도체, LCD, 브라운관, 정보통신기기 등 첨단전자 정보통신산업을 위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섬유와 기타 합성수지 산업도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 구조로 인해 전자산업에서는 세척제로 Trichloroethylene과 Dichloromethane등이 사용되며, 섬유와 합성수지 산업에서는 Toluene과 같은 유기용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산업을 위주로 형성된 구미 산단지역의 대기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이하 VOCs)의 농도를 여름과 겨울철로 나누어 측정ㆍ평가하여, 구미지역 유해오염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략)

  • PDF

애뉼러 흐름 및 애뉼러스 유동층 광반응기에서 Trichloroethylene 의 광촉매 분해반응 특성 (TCE degradation by a photocatalysis in the annular flow & the annulus fluidized bed photoreactor)

  • 임탁형;김상돈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1-164
    • /
    • 2002
  • 대기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의 하나인 TCE (Trichroloethylene)를 제거하는 기술들은 설치비 및 운전비가 많이 요구되는 흡착, 응축, 소각기술 들이 있으며, 이를 대체하는 신기술로 광촉매 반응으로 유기휘발물을 상온과 상압에서 광반응시켜 제거함으로서, 설치 및 조업비 측면에서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