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FW for the TCE and Phenanthrene

TCE와 Phenanthrene에 대한 CFW의 흡착특성 분석

  • 한중근 (중앙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이승현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토목공학과) ;
  • 이기석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토목공학과) ;
  • 홍기권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1.03.07
  • Accepted : 2011.03.25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dsorption capacity of CFW(Carbonized Foods Waste), which is produced by the process of recycling waste, in PRB method that Electrokinetic(E/K) method was applied. The batch te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FW for adsorbing the organic compounds. The organic compounds used in the batch test were Phenanthrene and Trichloroethylene(TCE), and the anionic surfactant(SDS) and the nonionic surfactant(Brij$^{(R)}$30) were used for the surfactants. The results of the batch test confirmed that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Phenanthrene was 99% and TCE was 26%. The each compounds compared with the adsorption isotherms, which is calculated by the Langmuir and Freundlich mode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henanthrene is fitted to the linear Langmuir model, whereas the distribution of TCE is unclear. The results of the batch test used in surfactants confirmed that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CFW using Phenanthrene was reduced to 6~8%. However,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CFW in TCE was increased up to 81% by surfactants. Especially, the nonionic surfactant was excellent in the adsorption of CFW using TCE. Nevertheless,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CFW in Phenanthrene was still higher than TCE. Therefore,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CFW in Phenanthrene was better than in TCE. In PRB method using E/K method, the adsorption of CFW used nonionic surfactant is better to use than the anion surfactants on the organic compounds.

본 연구는 E/K 정화기법이 적용된 PRB 공법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된 CFW(Carbonized Foods Waste)를 반응물질로 적용하고자 회분식 흡착실험(Batch Test)을 실시하였으며, 유기오염물질에 대한 흡착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서 사용된 유기오염물질은 Phenanthrene과 Trichloroethylene(TCE)이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SDS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Brij$^{(R)}$30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Phenanthrene과 TCE의 흡착효율은 각각 99%와 26%로 나타났으며, Phenanthrene에 대한 CFW의 흡착효율이 4배 정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Langmuir와 Freundlich 흡착등온 모델에 적용한 결과, Phenanthrene은 Langmuir 모델에 일치하였고, TCE는 그 구분이 불분명하였다. 또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회분식 흡착실험을 실시한 결과, Phenanthrene의 경우에는 계면활성제가 방해요소로 작용하여 흡착지체현상이 발생했으며, 계면활성제가 적용되지 않은 흡착효율에 비하여 6~8% 정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TCE는 계면활성제가 반응촉매제로 작용하여 최대 81%까지 흡착효율이 증가하였으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서 보다 높은 흡착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계면활성제의 적용과 관계없이 Phenanthrene에 대한 흡착효율이 TCE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PRB 공법에 E/K 정화기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보다 높은 흡착효율이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탁현, 박철환, 감상용 (2008), "톱밥에 의한 염색폐수의 흡착처리", 대한환경공학학회지, 제30권, 제4호, pp.439-445.
  2. 류안나, 한상원, Sushil Raj Kanel, 최희철 (2006), "계면활성제 이용표면개질 나노영가철을 이용한TCE 분해", 대한환경공학회 2006 춘계학술연구발표회, pp.503-506.
  3. 박종섭, 김인수 (1998),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의 용해도와 생분해에 미치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영향", 대한환경공학회 1998 춘계학술연구발표회, pp.558-559.
  4. 박지연 (2000), 동전기 기술과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탄화수소 오염토양의 정화, 석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원.
  5. 신성호, 우승한, 박종문 (2003), "토양 슬러리 시스템에서 Phenanthrene 생분해에 대한 계면활성제 영향 모델링", J. Korean Ind. Eng. Chem., Vol.14, No.6, pp.750-758.
  6. 이종영 (2010), 중금속으로 오염된 지반에서 음식폐기물 탄화재를 적용한 PRB정화기법,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7. 이항숙, 강주원, 양원호, 정문식 (1998),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흡착제 제조 및 수중 Trichloroe- thylene(TCE) 흡착제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제24권, 제2호, pp. 20-31.
  8. 최승필, 이종원, 이현석, 정흥조, 이재욱 (2002), "천연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암모늄 제거의 흡착평형과 고정층 흡착",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Vol.8, No.2, pp. 3393-3396.
  9. 한상재 (2000), Electrokinetic 기법에 의한 오염토의 전기삼투와 중금속 이동 특성,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0. 한중근, 이명호, 이종영, 김영웅, 홍선미 (2007), "음식물탄화재의 중금속 흡착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중앙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논문집, 제37권, 제1호, pp.67-72.
  11. 환경부 (2011),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 14조(폐기물 처리 등의 구체적인 기준.방법).
  12. KS L ISO 18757 (2007), 파인세라믹스-기체 흡착 BET법에 의한 세라믹 분말의 비표면적 측정방법.
  13. Giles, G.H., MacEwan, T.H., Nakhwa, S.N. and Smith, D. (1960), "A system of classification of solution adsorption isotherms and its use in diagnosis of adsorption mechanism and in measurement of specific surface areas of solids.", J. Chem. Soc., Studies in adsorption Part Xl., pp.3973-3993. https://doi.org/10.1039/jr9600003973
  14. Han, J.J., Hong, K.K., Kim, Y.W. and Lee, J.Y. (2010a), "Enhanced electrokinetic(E/K) remediation on copper contaminated soil by CFW(carbonized foods waste)",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177, pp.530-538. https://doi.org/10.1016/j.jhazmat.2009.12.065
  15. Han, J.J., Lee, J.Y., Hong, K.K., Lee, J.Y., Kim, Y.W. and Hong, S.M. (2010b),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u^{2+}$ and $Zn^{2+}$ from aqueous solution using carbonized food waste", Journal of Material Cycles and Waste Management, Vol.12, No.3, pp.227-234. https://doi.org/10.1007/s10163-010-0292-y
  16. USEPA (1997), Permeable reactive subsurface barriers for the interception and remediation of chlorinated hydrocarbon and chromium(VI) plumes in ground water, EPA/600/F-97/008.

Cited by

  1. 음식폐기물 탄화재로 충진된 PRB설계법 제안을 위한 컬럼실험 vol.10, pp.2, 2011, https://doi.org/10.12814/jkgss.2011.10.2.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