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rial fishing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6초

자연재해로 인한 어업피해 전보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emnity System of Fishery Damage by Natural Disasters)

  • 김인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1044-1057
    • /
    • 2014
  • This study has seen about a indemnity system of fishery damage by natural disasters such as a problem and improvement methods of government aid system and system on accident insurance for cultured fishery products. Recently, in the situation that the demage of aquaculture industry caused by frequent typhoon resulted from global warming and abnormal changed of weather is nasty, the accident insurance for cultured fishery products is necessary to show its true quality and to protect fishers against natural disasters owing to the limitation of government's aid for them. However, The objects of accident insurance for cultured fishery products which is progress on, is too short to apply, so that it is absolutely insufficient to fulfill the demands of culturing fishermen. Therefore, It could be a certain preparation to magnify the range of object items of it and to convert the trial industry being adjusted to limited area into full scale industry to adjust over all nationally. Furthermore, This insurance is complicated and strict to join rather than other insurances. As it can be seen by examples that got in trouble, despite culturing fishermen applied to join the insurance, they took all demage because the insurance was not realized. So, It is hard to say that causes impute the responsibility of it to the authority of insurance, not culturing fishery. They should simplify the registration process, limit the period each registration process and consider a countermeasure to complete it. Concerning compensation for the loss, agriculture part is easier to investigate the loss due to remained dead crop damaged by natural disaster, meanwhile, in fishing part, especially in case of cultivation of fish, it is difficult to investigate the loss and demage because crops are blown all together with typhoon when it comes plus the facilities of them are also very old. Consequently to solve the problem needs more positive attitude as it is policy insurance.

다수어종에 대한 적정어획강목의 추정 (The Estimation of Optimum Harvesting Mesh Size for Multiple Species of Fish)

  • 김삼곤;이주희;박정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0권2호
    • /
    • pp.86-96
    • /
    • 1994
  • In order to estimate the optimum harvesting mesh size of multispecies, the 24 species of catching data which were taken by fishing trial of trawl gear in Korean Southern Coast and East China Sea during 1991-1993 year were grouped and divided by the Cluster analysis method, considering first maturity length and body width, body height, body girth based on the first maturity length. With the same method, the above groups were subdivided by the potential escape such as possible escape index, range factor and selection factor. In case of the species devoid of selection parameters, these species were first subdivided by the use of possible escape index and length range factor. Next, the optimum harvesting mesh size of multispecies was proper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ptimal mesh size of a fish estimated by first maturity length against selection factor.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ach optimum harvesting mesh size of Psenopsis anomala, Priacanthus macra-canthus, Trachurus japonicus, Argyrosomus argentatus was 71.1-79.5mm, and Saurida undosquamis was 65.5mm. 2. Each optimum harvesting mesh size of Scomber japonicus, Pseudosciaena crosea, Pseudosciaena Polyactis, Sebastes thompsoni, Doderleinia berycoides was 78.5-85.6mm, and Bembras japonicus, Sphyraena pinguis was 48.4-51.3mm. 3. Each optimum harvesting mesh size of Zeus faber, Pampus argenteus, Zenopsis nebulosan was 118.4-124.1mm, and Caranx equula was 91.4mm, and Thamnaconus modestus was 131.2mm, and Pagrus major was 149.4mm. 4. Each optimum harvesting mesh size of Upeneus bensasi, Callanthias japonicus, Sardinops melanosticata, Konosirus punctatus was 36.8-42.8mm, and Acropoma japonicum was 21.2mm, and Apogon lineatus was 26.3mm.

  • PDF

자유항주 모형시험을 활용한 선박 충돌사고 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yback of Ship Collision Accident Using Free Running Model Test)

  • 박한솔;손남선;표춘선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60권6호
    • /
    • pp.450-459
    • /
    • 2023
  • According to Korea Maritime Safety Tribunal, there have been 14,100 maritime accidents from 2017 to 2021. Among those accidents, ship collision accidents have been up to 1,275 cases. But in the accidents relating to small ships like a fishing vessel, analyzing the causes of the accidents would depend on statements of the persons related because there is often no navigational data. But those statements can be incorrect and give rise to disagreements between them so that it causes conflicts with each other during the trial. So a replay system of ship collision accident (RESCA)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reproduce the ship collision accident by using AIS, V-PASS or radar data. But the reproduced trajectory of ship collision accident is needed to be verified because it can be unreasonable physically. So a method to verify the reproduced trajectory and collect the physical data on ship collision accident is newly designed by using free running test. In the RESCA, the accident is reproduced using the navigational data from the trajectory for a ship and measured from free running model test for the other ship at the same time. Through free running test, the behavior of the model ship is transformed from model scale into real scale. In order to check into the accuracy of the new method, free running model tests by using RESCA are carried out on the actual ship collision accidents.

원격어군탐지기의 시작 및 그 응용에 관한 연구 III - 정치망내에서의 어군행동 조사 - (Stuidies on the Trial Manufacture of Telesounder and its Application III -Fish Behavior in a Set Net-)

  • 이원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1권1호
    • /
    • pp.63-73
    • /
    • 1995
  • 원격어군탐지기를 시험제작하여 정치망의 원통, 비탈그물 및 헛통에 원격어군탐지기와 기록식어군탐지기를 각각 설치하고, 1994년 10월 26~27일에 걸쳐 정치망에 입망하는 어군의 입망상태, 어군의 행동 및 정치망 어구의 변화를 조사하여, 원격어군탐지기의 실용성에 대해서 평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치망내의 해상이 동국에서 탐지한 어군탐지기의 기록과 그것을 원격으로 전송한 육상고정국의 어군기록은 잘 일치하였다. 2. 비탈그물과 원통의 밑판그물은 불규칙적인 변동을 하였으며, 그 지속시간은 원통그물쪽이 더 길었고, 그 변동폭은 각각 약 3.6m와 6.0m였다. 3. 헛통입구와 비탈그물에서 어군의 주간에 약 5~7m 수층으로 입망하였고, 야간에는 전수층으로 분산되어 입망하였으며, 주간보다 야간에 더 많이 입망하였으나 새벽에는 입망어군이 매우 적었다. 4. 원통에서의 어군은 주간에는 그물의 아래쪽 수심 약 8m 수층에 분포하였으며, 야간에는 부상하여 전수층에 분산하여 분포하였고, 새벽에는 밀집된 군을 형성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조사 당시 정치망에 어획된 어종은 약 20종으로서, 총어획량은 약 500kg이었는 데, 그 중에서 멸치의 어획이 가장 많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 시험제작한 원격어군탐지기는 정치망에 입망하는 어군의 행동이나 분포특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매우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Multi-Beam 초음파진동자의 수중원격제어에 관한 연구 (Underwater Telemetering by Ultrasonic Multi-Beam Transducer)

  • 최한규;신형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7권1호
    • /
    • pp.31-40
    • /
    • 1991
  • 원격측정에 의한 어군의 탐지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기존 net recorder를 4개의 진동자로 사용할 수 있는 멀티비임 시스템으로 바꾸어, 이들을 직선배열과 평면배열하여 어군탐지범위의 확대폭과 어군의 위치측정에 대한 원격제어 실험을 행하고 그 유용성을 검토.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선배열에 의한 표적의 탐지범위는 수심과 진동자 간격의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4개의 진동자를 배열하면 4배까지 확대할 수 있었다. 2. 진동자를 직선배열하여 정치망입구에서 어군을 관측한 결과 길그물에 아주 가까운 2.5~3.5m의 수층으로 많이 입망되었으며, 창그물에 가까운 3.5~4.5m의 수층으로도 어느 정도 입망되었다. 3. 표적의 실제위치와 진동자의 평면배열에 의하여 구한 위치오차는 표적의 수심이 1m, 1.5m, 2m일 때 각각 5.9~27.1cm, 3.2~28.9cm, 3.5~25.8cm였으며, 68.3% 확률원의 반경은 각각 14.6cm, 17.7cm, 17cm였다. 4. 평면배열에 의하여 헛통에서 어군의 행동을 관측한 결과 조류의 방향과 정반대 방향으로 거슬러 유영하면서 자루그물에 입망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직선 및 평면배열에 의한 어군, 수온, 해저 등과 같은 수중정보는 1,800m까지 원격측정이 가능하였으며, 본 실험의 경우 발신기의 수심이 3m이상이면 어느 곳에서라도 원격측정이 가능하였다.

  • PDF

실선 시험에 의한 저층 트롤 어구에 관한 연구-II -어구의 수중 형태에 관하여- (A study on the bottom trawl gear by the trial of a stern trawler-II -On the net shape of a bottom trawl gear-)

  • 조봉곤;고광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4호
    • /
    • pp.281-286
    • /
    • 2000
  • 저층트롤 실물 어구를 이용한 해상 실험을 통하여 예망 중인 어구의 망구 형태에 관련되는 전개판의 간격 및 망고 등을 예망 속도별, 끌줄의 길이별로 측정하고, 이론적인 수치 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실물어구의 수중 현황을 해석함으로서 어구의 효율적인 운용과 어획효과의 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수중 현황을 해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개판의 전개간격은 예망 속도와 끌줄길이의 증가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며 끌줄 길이에 의한 증가율이 예망 속도에 의한 증가율보다 현저히 크게 나타났으며, 그 간격의 변화는 57.0∼82.8m로서 후릿줄과 그물목줄 및 그물길이 전체의 43∼62%를 차지하였다. 2. 망구의 높이는 예망 속도와 끌줄길이의 증가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하며, 예망 속도에 의한 감소율이 끌줄 길이에 의한 감소율보다 현저히 크게 나타났는데 그 높이의 변화는 3.1∼4.0m로 나타났다. 3. 양 날개끝의 간격이 커지면 망고는 낮아지나 끌줄 길이가 증가할수록 날개 끝 간격의 증가에 대한 망구 높이 감소율의 비는 점차 작아졌다. 4. 망고에 대한 양 날개 끝 간격의 비는 예망속도와 끌줄 길이의 증가에 따라 점차 커졌는데, 그 비는 4.17∼7.81로 나타났다.

  • PDF

홍치에 대한 트롤 끝자루의 망목선택성 분석 (Analyses of Mesh Selectivity in Trawl Cod - end for Priacanthus macracanthus)

  • 김삼곤;염말구;박창두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8권1호
    • /
    • pp.41-47
    • /
    • 1996
  • 우리 나라 주변해역의 새로운 어업질서의 개편과 국제어업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다획을 위한 어구어법의 발전적 모색에서부터 선택적어업기술과 이와 관련한 연구가 보다 많이 요구되고 있으며, 우리 나라와 같이 원양어업을 대상으로 급진적으로 성장해 온 어업국은 연근해어업의 중요성이 새롭게 제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1년 6월부터 1992년 12월중에 시험조업기간을 통해 어획된 홍치를 대상으로 망목선택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장과 체고의 관계식은 BH=0.2562TL+2.9628, 전장과 체위의 관계식은, BG=0.6204TL+8.6402, 전장과 체중의 성장관계식은 $BW=7.34{\times}10^{-5}TL^{2.6956}$이었다. 2. 시험끝자루의 망목내경이 51.2mm, 7.02mm, 77.6mm 및 88.0mm에서 50% 선택체장과 선택계수는 각각 94.8mm, 1.85; 159mm, 2.27 ; 204mm, 2.09 ; 217.3mm, 2.18이었다. 3. 망목의 내경이 51.2mm, 88.0mm 끝자루의 범위내에서 규준곡선의 기울기와 절편은 각각 2.70, -5.7이었으며, 선택계수는 2.11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