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status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32초

도심지역 수목 높이값 측정을 위한 무인항공기에서 취득된 스테레오 영상의 활용 가능성 고찰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sing UAV Stereo Image for Measuring Tree Height in Urban Area)

  • 이수암;김수현;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6_2호
    • /
    • pp.1151-1157
    • /
    • 2017
  • 가로수는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한 중요한 개체이다. 특히 도시 협곡에서 가로수 높이는 대기 오염물질의 제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 높이를 정확히 측정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목의 높이 측정을 위해 대상지역의 무인항공기 영상을 정밀하게 보정하여 스테레오 영상 기반으로 수목의 높이를 추출하는 방식을 시도해보았다. 무인항공기의 영상 정렬은 공선방정식 기반의 SfM(Structure from motion)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보정된 영상을 수치도화기에 적용하여 도시 협곡지역의 가로수 높이를 측정하였다. 가로수와 인접 건물의 높이를 함께 취득하였으며 정확한 지물의 높이 계산을 위해 도로면의 평균높이를 함께 산출하여 처리하였다. 그 결과로 수목의 높이 측정 및 건물과의 상대적인 높이값 차이 산출을 수치도화기를 이용한 육안 분석을 통해서 빠르게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를 제작하지 않고도 건물과 수목의 상대적인 높이 차이를 산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비전문가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향후 사용자가 영상 내 수목이나 건물의 한 지점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해당 개체의 높이값을 추출하는 연구 및 영상에서 자동으로 수목을 추출한 뒤 수고가 함께 취득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기술의 개발 및 연구는 이후 도심지내 환경 정책 및 가로수 등의 현황파악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을숲 유형에 따른 수종분포와 관리현황 - 경산시 마을숲을 대상으로 - (Tree Species Distribution Based on Village Forest Types and Management Status - A Case Study of Village Forests in Gyeongsan City -)

  • 이명훈;김용식;신현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77-584
    • /
    • 2009
  • 경산시에 있는 32개의 마을숲을 전수조사 하여 입지에 따른 마을숲의 유형을 분류한 바, 동구숲 8개소(25.0%), 동산숲 6개소(18.8%), 하천숲 7개소(21.9%) 및 마을주변숲 11개소(34.4%)를 확인하였다 동구숲에 출현하는 주요수종은 느티나무가 34.3%, 은행나무가 11.2% 및 아까시나무가 10.5% 등을 확인하였으며, 동산숲의 경우 소나무가 56.8%, 상수리나무가 26.4% 및 느티나무가 4.3% 등을 확인하였다. 하천숲의 경우 느티나무가 40.4%, 왕버들이 27.1% 및 말채나무가 5.5% 등을 확인하였으며, 마을주변숲의 경우 느티나무가 21.7%, 상수리나무가 10.8% 및 말채나무가 8.9% 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마을숲의 대부분(71.9%)은 도로 때문에 분획화되어 서식처의 기능이 축소되었다. 마을숲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마을숲 복원을 위한 후대목의 육성 그리고 교육 및 홍보를 통한 마을숲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등 관리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Plant Diversity, Tree Regeneration, Biomass Production and Carbon Storage in Different Oak Forests on Ridge Tops of Garhwal Himalaya

  • Sharma, Chandra Mohan;Tiwari, Om Prakash;Rana, Yashwant Singh;Krishan, Ram;Mishra, Ashish Kuma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4호
    • /
    • pp.329-343
    • /
    • 2016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on ridge tops of moist temperate Oak forests in Garhwal Himalaya to assess the plant diversity, regeneration, biomass production and carbon assimilation in different Oak forests. For this purpose, three Oak forest types viz., (a) Quercus leucotrichophora or Banj Oak (FT1; between 1,428-2,578 m asl), (b) Quercus floribunda or Moru Oak (FT2; between 2,430-2,697 m asl) and (c) Quercus semecarpifolia or Kharsu Oak (FT3; between 2,418-3,540 m asl) were selected on different ridge tops in Bhagirathi catchment area of Garhwal Himalaya. A total of 91 plant species including 23 trees (8 gymnosperms and 15 angiosperms), 21 shrubs and 47 herbs species belonging to 46 families were recorded from all the ridge top Oak forests. The highest mean tree density ($607{\pm}33.60trees\;ha^{-1}$) was observed in Q. floribunda forest with lower mean total basal cover (TBC) value ($48.02{\pm}3.67m^2ha^{-1}$), whereas highest TBC value ($80.16{\pm}3.30m^2ha^{-1}$) was recorded for Q. semecarpifolia forest, with lowest mean stem density ($594{\pm}23.43stems\;ha^{-1}$). The total biomass density (TBD) across three Oak forests ranged between $497.32{\pm}83.70$ (FT1) and $663.16{\pm}93.85t\;ha^{-1}$ (FT3), while the total carbon density (TCD) values ranged between $228.75{\pm}22.27$ (FT1) and $304.31{\pm}18.12t\;ha^{-1}$ (FT3). Most of the tree species were found with good regeneration (GR) status (average 45%) in all the forest types whereas, few species were found not regenerating (NR) (average 17%) however, few new recruitments were also recorded. ANOVA (Post-Hoc Tukey's test at 5% significance level) indicated significant forest-wise differences in TBC, TBD and TCD (in tree layer); family and evenness (in shrub layer only) values, while in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iced in density values of tree, seedling and herb layer.

국가산림자원조사 고정표본점 자료를 활용한 산림자원변화 평가에 관한 고찰 (Assessment on Forest Resources Change using Permanent Plot Data in National Forest Inventory)

  • 임종수;김은숙;김철민;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239-247
    • /
    • 2015
  • 국가산림자원조사는 고정표본점의 설치 및 재조사하여 산림자원의 현황 파악 및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체계로 개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최근 3년간 재조사된 자료를 활용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산림자원 변화 탐지를 위한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평가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조사시점에 따른 고정표본점의 토지이용변화는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중요한 활동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초지를 포함한 6개 토지이용범주의 명확한 정의에 따른 고정표본점의 구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 및 대표수종 변화의 경우, 조사차수별 매트릭스 구축에 의해 임상 및 대표수종의 변화 평가가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청북도의 경우 임목지로 유지된 624개 표본점 중에서 92개소(15%)에서 대표수종이 변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5개 임분변수 (임목본수, 흉고단면적, 임분재적, 평균 흉고직경, 그리고 평균수고)에 대한 생장율과 변화량을 추정한 결과 임분밀도와 관련된 임목본수와 흉고단면적은 감소하였으며, 임분재적의 생장율은 약 3.7%로 분석되었다. 임분변수 변화량의 불확실성을 평가한 결과, 임목본수를 제외한 임분변수는 5% 이내로 정확도가 높지만, ha당 임목본수는 상대적으로 변화량이 크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54.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플러 연구현황과 전망 (The Status and Prospect of Poplar Research in Korea)

  • 구영본;여진기
    • 임산에너지
    • /
    • 제22권2호
    • /
    • pp.1-17
    • /
    • 2003
  • 포플러는 생장이 빠르고 세대가 짧아 임목육종의 모델 수종으로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다른 어떤 수종보다 임목 육종성과가 많은 수종이다. 국내에서 개발된 신품종 포플러는 도입종으로 이태리포플러(p. eurmericana“I-214”,“I-476”), 이태리포플러 1, 2호(p. euramericana“Eco 28”, p. deltoides “Lux”), 교잡종으로 현사시 1, 2, 3, 4호(P. alba x p. glandulosa No. 1. 2. 3, 4), 양황철나무(P. nigra x P. maximowiczii), 수원포플러(P. koreana x P nigra var. italica) 등이 있으며, 신발육종으로 사시나무가 있다. 신품종으로 개발된 포플러류의 조림 실적은 지금까지 935,162 ha로 그 중 이태리포플러가 745,773ha, 현사시가 184,636 기타 신품종이 4,753ha가 조림되어 국토 녹화뿐만 아니라 농촌 경제에도 기여한 바 크다. 포플러와 관련되어 개발된 기술은 신품종 포플러의 적지판정, 교배가 불가능한 원연종간 교배, 무성증식법 등 수많은 기술을 개발 한 바 있다. 앞으로도 포플러는 용재수 및 가로수, 공원수 등 녹음수로서 뿐만 아니라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 축산폐수 등 각종 환경 오염물질 정화수로도 전망이 대단히 밝은 수종이다.

  • PDF

도시 숲 산불피해지의 시비에 따른 식재 수목의 생장 및 양분 동태 (Growth and Nutrient Dynamics of Planted Tree Species Following Fertilization in a Fire-Disturbed Urban Forest)

  • 김춘식;백경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2호
    • /
    • pp.143-152
    • /
    • 2024
  •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봉대산 산불피해지의 식생복원을 위해 2009년에 조림된 4 수종(백합나무, 왕벚나무, 상수리나무, 곰솔)을 대상으로 시비처리 후 임목생장 및 토양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림 4년 후인 2013년 4월과 2014년 3월 복합비료(N6P4K1)를 시비하고 2016년 10월까지 매년 임목의 생장과 토양 및 잎의 양분 동태를 조사하였다. 조림목의 흉고직경 생장 증가에 대한 시비구와 대조구 사이의 회귀계수(slope)는 4 수종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 시비는 조림목의 흉고직경 생장에 효과가 있었으나, 수고 생장의 회귀계수는 곰솔을 제외하고 유의성이 없었다. 시비 처리에 따른 토양 호흡과 토양 EC 값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토양수분 함량, 토양 유기탄소 및 전질소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토양 유효 인, 교환성 칼슘과 마그네슘은 시비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조림목의 잎 내 질소 및 인 농도는 시비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칼륨, 칼슘, 마그네슘 농도는 시비의 영향이 뚜렷하지 않았다. 조사한 4 수종 중 왕벚나무와 백합나무는 잎 내 양분 농도가 상수리나무나 곰솔에 비해 높아 토양 양분요구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시 숲의 산불피해 복원지에 시비 처리는 조림된 수목의 생장과 토양 양분의 유효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제왕절개분만 산욕부와 신생아의 가정간호 사례분석 (A Case Analysis of Home Health Care for Cesarean Postpartum Women and Their Newborns)

  • 김혜숙;최연순;전은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96-705
    • /
    • 1994
  •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a basis for home health care management for women following Cesarean delivery. Furthermore it was initiated as an possible application of home health care in the future. In this study, client selection criteria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assessment tools for home health care, recording system and problem oriented recording system were revised from Jun's(1993) methods. The selection criteria tool for home health care for women who had a Cesarean delivery was structured and consisted of five areas : physical status, functional status, psychological-emetional status, educational needs status and environmental status. The structured assessment tool consisted of general items, obstetric history, past medical history, methods of feeding, medications taken before ad-mission, laboratory results, discharge instructions, discharge medications, family tree, economic status, environmental status, a map, health assessment of women and their newborns. The visit note consisted of the date : nursing problems : nursing process including initial assessment : nursing goals : visit plan : health status of the postpartum women and their newborn : nursing diagnoses : nursing implementation evaluation : summary : next visit plan and revision. The problem oriented recording system consisted of the date, problem numbers, nursing diagnoses, problem appearance date, problem resolution dat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The seven cases having had a Cesarean delivery were discharged on an average on the 5th day after the Cesarean birth. The total number of home visits was 13. According to Cordon's functional health patterns the total possible nursing diagnoses was 34 diagnoses for the methers and their newborns. Among the 34 diagnoses, there were 13 diagnoses in the health perception /management pattern, 7 in the psychosocial health perception / management pattern, 8 in the psychosocial self-perception, 2 in the nutrition / metabolism pattern of physical function, 2 in the knowledge deficit of newborn management, anxiety related to newborn management, knowledge deficit related to disease process of new-born, anxiety related to disease process of newborn anxiety related to prognosis of baby's condition, knowledge deficit related to newborn jaundice each appeared once.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nursing diagnoses was related to not the number of visits but to the number of nursing diagnoses decreasing. The con-tent of the home health care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assessment, direct care, counseling, education, family care. The recommend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Home health care nurses for Cesarean postpartum women and their neonates requires comprehensive knowledge of pregnancy, delivery, and the postpartum period and of the neonate so that they can provide appropriate care and holistic views. Most of cases terminated after the second visit, this outcome may be related to the subjects being discharged on the 5th day after delivery. Therefore, study done with earlier discharge after delivery may have different outcome. It is very hard to assess psychological aspects that need follow-up and to develop communication channels.

  • PDF

우리나라의 조경공사의 조경수목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I) (Study on the Utilization Status of the Woody Landscape Plants in Korea ( I ))

  • 이동철;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41
    • /
    • 1987
  • 본 조사는 우리나라의 조경공사에 있어 조경수목의 사용실태를 조사분석하여 이의 생산 및 유동의 개성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얻고저 수행하였다. 1983년 및 1984년의 2개년간 11개종합조경업체에 수주된 328개 조경공사에 사용된 조경수목의 사용실태를 조사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목과 관목수종은 식재비율은 1:6이었고 상녹과 낙엽수종의 식재비율은 1:4였으며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수종은 화양목, 향나무, 느티나무, 은단풍이었고 사용량이 가장많은 수종은 쥐똥나무, 개나미, 회양목, 산철쭉이었다. 2) 관목의 경우 쥐똥나무 개나미 및 회양목 3개수종의 사용량이 전체관목사용량의 $\frac{1}{2}$을 크게 상회하는 심한 편중도를 나타내었으나 교목에 있어서는 잣나무를 위시한 8개수종의 사용량이 전체교목사용량의 $\frac{1}{2}$를 점하였다. 3) 비고시수종에 비해 고시수종의 수는 $\frac{1}{4}$에 불과하였어나 고시수종의 사용한도는 비고시수종의 6배이며 고시품목의 사용량은 전체의 82.5%를 점하였고 고시품목사용율은 교목보다는 관목 그리고 낙엽보다는 상록수종에서 현저히 높았다. 4) 비고시규격품보다는 고시규격품의 사용량이 현저히 많았고 동일수고일 때 수관건 혹은 근원직경 또는 흉고식경이 큰 규격이 현저히 선호되는 경략이었는데 우리나라 규격은 일본규격에 비해 수고에 대한 수관건 혹은 근원직경 또는 흉고직경비율이 현저히 높았다.

  • PDF

웰니스 지역사회 중심의 고혈압 치료율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중심으로 (The Study on Hypertension Cure Rate Management Centering around Wellness Local Community : With GwangJu as a Central Figure)

  • 양유정;박종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351-361
    • /
    • 2021
  • 본 연구는 웰니스 지역사회 중심의 고혈압 치료율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역회건강조사를 이용하여 광주광역시의 고혈압 치료 요인을 파악하고, 고혈압 치료율 관리 방안을 수립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7년부터 2019년까지의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총 685,820건 중 광주광역시 조사자료 13,714건을 추출하였다. 조사자료 중 30세 이상 고혈압 진단 경험이 있는 자 2,941건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SAS 9.4, SAS Enterprise Miner 15.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는 고혈압 진단 경험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광주광역시 고혈압 진단 치료율 차이는 성별, 연령, 결혼 유무, 교육수준, 경제활동 여부, 월 가구소득으로 나타났고,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고혈압 치료율 차이는 현재흡연, 월간음주, 고위험음주, 아침식사, 양호한 건강수준 인지, 당뇨 동반 및 당뇨 치료, 연간 미충족 의료, 연간 보건기관 이용 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혈압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과 대화식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일에게 나타난 요인은 연령, 결혼유무, 당뇨 동반 및 당뇨 치료여부, 연간 미충족 의료여부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광주광역시는 낮은 연령층에게 고혈압 치료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합병증 질환이 발생되지 않도록 효율적인 대책 마련과 함께 보건 교육학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청소년 지위비행의 위험군 탐색에 관한 연구 (Identifying High Risk Group of Adolescent Status Delinquency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Group)

  • 박영미;이혜경;백수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92-905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7차년도 자료인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하여 청소년 지위비행의 고위험군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1,979명 중 지위비행 집단은 264명으로 전체의 13.3%로 나타났다. 청소년 지위비행의 고위험군은 남자이면서 긍정적 양육방식을 낮게 인식하는 군이었다. 긍정적 양육방식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성별, 정서문제, 교사관계, 성취가치 순이었다. 청소년 지위비행을 예방하기 위해 양육방식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남자 청소년에게 특화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공격성에 초점을 두었던 그 동안의 중재에서 더 나아가, 우울, 사회적 위축 등의 정서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중재가 요구된다. 특히 청소년에게 중요한 학교환경에서 교사관계가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밝혀진 바, 청소년 지위비행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교육, 상담기법에 대한 훈련을 통한 교사와의 관계 증진이 청소년 지위비행을 예방하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