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Size

검색결과 834건 처리시간 0.028초

토지이용특성을 고려한 서울시 교통사고 발생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Models in Seoul Considering Land Use Characteristics)

  • 임삼진;박준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30-4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에 기반을 두는 새로운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다양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변수에 대한 시장분할 및 추가변수 도입을 토대로 Data Mining 기법의 하나인 의사나무결정법(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을 활용하여 새로운 유형별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주민등록인구수, 통근 등 활동변수와 활동의 대상이 되는 도로규모, 유발시설 등이 교통사고를 설명하는 변수로 도출되었다.

Anomaly Sewing Pattern Detection for AIoT System using Deep Learning and Decision Tree

  • Nguyen Quoc Toan;Seongwon Cho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2호
    • /
    • pp.85-94
    • /
    • 2024
  •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ings (AIoT), which combines AI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has recently gained popularity. Deep neural networks (DNNs) have achieved great success in many applications. Deploying complex AI models on embedded boards, nevertheless, may be challenging due to computational limitations or intelligent model complexity. This paper focuses on an AIoT-based system for smart sewing automation using edge devices. Our technique included developing a detection model and a decision tree for a sufficient testing scenario. YOLOv5 set the stage for our defective sewing stitches detection model, to detect anomalies and classify the sewing pattern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testing, the proposed approach achieved a perfect score with accuracy and F1score of 1.0, False Positive Rate (FPR), False Negative Rate (FNR) of 0, and a speed of 0.07 seconds with file size 2.43MB.

Effect of Sowing Time on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of Quercus floribunda Lindl.

  • Karki, Himani;Bargali, Kiran;Bargali, SS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3호
    • /
    • pp.199-208
    • /
    • 2018
  • Quercus floribunda (Tilonj oak) is among the five species of Quercus and an evergreen tree found in Kumaun Himalayan region. Timing of germination is a crucial event determining the success of seedling establishment and survival. The aim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wing date on the germination and morphological responses of Tilonj oak (Quercus floribunda), cultivated during the month of August-September, with supplementary irrig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sowing seeds at two dates with one month interval in glass house conditions at DSB Campus, Nainital, Uttarakhand, India. Present study revealed that higher germination percentage (46.67 %) was recorded at sowing time $S_2$ as compared to the sowing time $S_1$ (32.86 %). Germination percentage as well as seedling growth were affected by sowing date though the differences were insignificant. At both the sowing dates, highest germination percentage was recorded for large seeds (32.86-46.67 %) followed by medium (31.43-33.33 %) and lowest germination (6.67-7.14 %) was recorded for small size seeds. In all parameters assessed, sowing time $S_2$ had the best performance in combination with large seed size. Thus, September is suitable month for best germination, growth and seedling vigour and large seed size is recommended to silviculturists and tree planters. The information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s vital both for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of degraded lands.

Newly recorded species of the genus Synura (Synurophyceae) from Korea

  • Jo, Bok Yeon;Kim, Han So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1호
    • /
    • pp.9-18
    • /
    • 2017
  • Background: Species in the heterokont genus Synura are colonial and have silica scales whos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are used for classification. We examined the ultrastructure of silica scales and molecular data (nuclear SSU rDNA and LSU rDNA, and plastid rbcL sequences) to better understand the taxonomy and phylogeny within the section Petersenianae of genus Synura. In addition, we report the first finding of newly recorded Synura species from Korea. Results: We identified all species by examination of scale ultrastructure using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EM). Three newly recorded species from Korea, Synura americana, Synura conopea, and Synura truttae were describ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cell size, scale shape, scale size, keel shape, number of struts, distance between struts, degree of interconnections between struts, size of base plate pores, keel pores, base plate hole, and posterior rim. The scales of the newly recorded species, which belong to the section Petersenianae, have a well-developed keel and a characteristic number of struts on the base plate. We performe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based on sequence data from three genes in 32 strains (including three outgroup species). The results provided strong statistical support that the section Petersenianae was monophyletic, and that all taxa within this section had well-developed keels and a defined number of struts on the base plate. Conclusions: The phylogenetic tree based on sequence data of three genes was congruent with the data on scale ultrastructure. The resulting phylogenetic tree strongly supported the existence of the section Petersenianae. In addition, we propose newly recorded Synura species from Korea based on phylogenetic analys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S. americana, S. conopea, and S. truttae.

트리 구조를 이용한 수식 인식 연구 (A Study on Equation Recognition Using Tree Structure)

  • 박병준;김현식;김완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40-345
    • /
    • 2018
  • 수식은 일반 문장에 비해 복잡한 구조와 다양한 문자와 기호가 사용되어 단순한 키보드 입력만으로는 모든 문자 집합을 입력할 수 없어 한글이나 워드 같은 문서편집기 내에서도 자체적으로 구현된 수식 편집기를 사용하고 있다. 수식을 올바르게 표현하기 위해 구문을 해석할 수 있는 의미가 될 수 있는 사전 학습 정보가 필요하다. 문자가 입력되더라도 크기와 위치 서로간의 관계에 따라 다른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표현될 위치와 크기 등 문자와 기호들 간의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수식의 형태를 트리 모델로 표현한다. 문자인식 응용의 한 분야로 문자나 기호(부호)를 인식하는 기술을 이미 널리 알려졌지만, 수식을 입력과 해석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텍스트에 비해 복잡한 분석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수식의 문자를 인식하고 표현되는 위치와 크기의 결정을 빠르게 해석하는 수식 인식기를 구현하였다.

웨이브렛 기반 가변 블록 크기 플랙탈 영상 부호화 (Wavelet-Based Variable Block Size Fractal Image Coding)

  • 문영숙;전병민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27-133
    • /
    • 1999
  • 기존의 이산 웨이브렛 변환 기반 플랙탈 영상 압축은 프랙탈 부호화시 고정된 블럭 크기를 사용하므로 낮은 비트율에서 PSNR을 감소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플랙탈 부호화시 가변 블록 크기를 사용하여 PSNR을 개선하는 이산 웨이브렛 기반 프랙탈 영상 부호화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먼저 이산 웨이브렛 변환 계수들의 절대값을 최하고, 같은 공간 영역에 해당하는 다른 고주파 부대역의 이산 웨이브렛 변환 계수들을 묶어서 레인지 블록과 도메인 블록을 만든다. 그리고 각각의 레인지 블록 레벨의 레인지 블록에 대한 프랙탈 코드를 지정하고, 프랙탈 부호화,\ulcorner0\ulcorner부호화와 스칼라 양자화중 하나를 선택하여 만든 집합인 결정 트리 C를 만들고 스칼라 양자화기의 집합 q를 선택한다. 웨이브렛 계수, 프랙탈 코드와 결정 트리를 적응적 산술 부호화기를 사용하여 엔트로피 nq호화 한다. 제안된 방법은 낮은 비트율에서 PSNR을 개선하고 복원 영상의 블록킹 현상을 제거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서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프랙탈 부호화 방법과 웨이브렛 변환 부호화 방법에 비해 더 좋은 PSNR과 더 높은 압축율을 얻었다.

  • PDF

중부지방 낙엽송 조림지의 간벌 시기 추정 (Estimation of thinning period of Larix kaemferi Carr. plantation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 이종희;김홍은;권기철;정택상
    • 임산에너지
    • /
    • 제20권2호
    • /
    • pp.69-80
    • /
    • 2001
  • 중부지방 낙엽송 조림지에 대하여 식재후 적정한 1차 간벌 시기를 추정하기 위하여 충북대학교 부속 연습림(월악산)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충북대학교 부속 연습림내에 조림된 낙엽송의 수고곡선식은 H=4.25783+0.80024D(H=수고, D=흉고직경)이었다. (2) 본 연구대상지의 재적식을 구하기 위해 최소제곱법으로 회귀분석을 한 결과, 수고와 흉고 직경을 모두 독립변수로 하는 경우 재적식은 V=0.001474-0.002095D-0.000211H+0.000150D·H+0.000744D²+0.000008H²(V=재적(㎥), H=수고(m), D=흉고직경(cm)) 이었다. 한편, 재적에 대하여 흉고직경만을 독립변수로 한 경우는 V=0.000079-0.000512D+0.000826D²이었다. (3) 간벌시기 추정을 위한 기준으로는 수고 MAI의 극대점을 이루는 연령과 고사목에서 총 흉고직경 생장량의 평균치 이하로 떨어지는 시점의 연령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수고 MAI의 극대점에 도달하는 연령은 임분밀도와 유의성 있는 상관을 보이지 않아 정확한 간벌시기의 판단기준으로 삼을 수 없었다 (5) 간벌시기를 결정하는 추정식은 고사목의 흉고직경생장량의 경년변화를 토대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식은 Y=0.2825+0.01752X 이었다. (6) 관행적인 1.8m×l.8m의 식재밀도가 적용된 낙엽송 조림지에서 간벌 개시 임령은 12∼14년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 온대중부지역 소나무림 군락식재모델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Planting Model in the Central Cool Temperate Zone of Korea)

  • 홍석환;한봉호;곽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07-114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 온대중부지역 소나무림 군락식재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일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다양한 경급의 소나무림을 조사하였다. 유령림부터 장령림까지 총 $10{\times}10m(100m^2)$의 방형구 92개소를 설치하고, 출현개체별 규격을 모두 조사하였으며, 개체간 생육거리 분석을 위해 44개 조사구에 대해서는 1/100 scale로 교목층과 아교목층 수목의 위치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조사구의 교목층은 양호하게 발달해 있었으나, 아교목층의 흉고단면적이 교목층의 10%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으며, 관목층의 경우 일정한 피복율을 보이지 않고 조사구마다 매우 다양하였다. 이에 소나무 군락식재는 교목층과 관목층의 구조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관목층의 경우에는 특정 경향이 없어 식재하려는 인접 지역의 소나무림을 별도로 조사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군락식재 모델을 위한 소나무 교목층 흉고직경급별 단위면적당 생육개체수 및 단위면적당 생육개체수와 생육수목간 최단거리와의 회귀식은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옻나무 우죽의 수피생산량 분석 (Bark Production Analysis on Top Branch of Rhus verniciflua)

  • 송병민;이명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37-342
    • /
    • 2005
  • 본 연구는 옻을 채취한 옻나무에서 수피생산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옻나무의 직경에 따른 중량과의 관계와 우죽의 중량에 따른 수피와 건피량을 조사한 결과 옻나무중량에 대한 우죽중량의 비율은 평균 $48\%$였는데, 중량이 큰 나무들이 우죽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옻나무 직경이 최소한 8cm정도는 되어야 우죽에서 1kg이상의 건피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옻나무 우죽의 수피를 측정한 결과 생피무게는 $1.1{\sim}l.5kg$에 해당하는 옻나무가 $43.3\%$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0.5{\sim}1.0kg$$37.5\%$로 조사되어 전체 우죽의 $80\%$이상이 1.5kg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피를 말린 건피의 무게는 $0.6{\sim}1.0kg$에 해당하는 나무들이 $50.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0.1{\sim}0.5kg$으로 $25\%$로 나타나 전체 옻나무의 $75\%$정도가 1.0kg이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우죽중량에 대해 생피중량이 차지하는 평균비율은 $27\%$였으며, 우죽중량에 대한 건피중량의 평균비율은 $16\%$로 측정되었는데, 생피를 건조시켰을 때 평균건피중량은 생피의 $61\%$로 나타나 생피의 수분함유율이 평균 $39\%$로서 건피 1kg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죽 6.25kg이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타원편광 조명에 의한 초점심도 향상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for the enhancement of depth of focus by elliptical polarization illumination(EPI))

  • 박정보;김기호;이성묵
    • 한국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46-150
    • /
    • 1998
  • 광학적 분해능의 한계에 도달한 크기를 갖는 패턴의 분해능과 초점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여러 가지 결상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형 편광에서는 패턴 방향에 따라 TM mode 와 TE mode 사이에 contrast gap이 존재한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에서 이러한 conteast gap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방법으로 타원편광 조명법이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방향이 수직인 패턴이 함께 있는 임의의 마스크에 타원편광을 포함한 여러 편광 조건을 적\ulcorner해 봄으로써, 초점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편광 조명 상태를 찾았보았다. 각 편광 조건에 따른 초점심도는, 허용 가능한 노광량(Exposure Dose0과 Critical Dimension(CD)의 오차 범위에 대한 ED-Tree(Exposure-Defocus Tree)를 통해 구하였다. 그 결과, 광학계의 조건에 따라 타원편광 조명이 초점심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