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Length

검색결과 606건 처리시간 0.026초

가로수(街路樹) 식재(植栽)를 위한 무궁화의 생장조절(生長調節) (The Growth Control of Hibiscus syriacus for Street Trees Planting)

  • 박형순;이정호;김홍은;유재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445-449
    • /
    • 2001
  • 가로수용 무궁화를 만들기 위한 무궁화 수행유도 실험에서 무궁화의 지하고를 100cm, 150cm, 200cm로 하고 시비를 달리한 결과, 각각의 근원경 평균이 15.7mm, 13.8mm, 10.8mm로 지하고가 낮을수록 근원경의 생장이 우수하였으며, 분산분석의 결과도 지하고에 따른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비에 따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가로수로 식재하여 '99년부터 2000년까지 2년 동안 조사한 결과는 지하고 80~120cm, 121~150cm, 151-200cm에서 각각의 근원경 평균이 4.9mm, 4.5mm, 3.0mm의 값을 나타내 지하고 80~120cm, 121~150cm의 근원경 생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가로수용으로 무궁화를 육성하가 위해서는 먼저 수고와 지하고를 고려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본 실험의 결과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실험의 결과는 짧은 기간의 시험에 의한 것이므로 앞으로 계속하여 관찰 연구하여 보완하고자 한다.

  • PDF

최소 신장 트리를 이용한 센서 네트워크의 효과적인 구성 (An Efficient Design of Sensor Network Using Minimum Spanning Tree)

  • 김인범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79-86
    • /
    • 2009
  • 본 논문은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센서노드와 베이스 스테이션들을 제한 길이 간선 최소 신장 트리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센서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연결 트리를 신속하게 구축한다. 2000개 입력 노드 대상의 실험에서, 제안된 방법은 단순 최소 신장 트리 방법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길이의 증가 없이 네트워크 구축 시간을 94.7% 단축하였다. 이것은 제안된 방법이 센서 네트워크를 신속히 구축해야 하는 응용 등에 잘 적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GN이 도입된 에폭시 수지계의 트리 진전의 인가 전압 의존성 (Applied Voltage Dependence of Treeing Growth in GN Introduced Epoxy Resin System)

  • 안현수;심미자;김상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 /
    • pp.212-214
    • /
    • 1996
  • The growth of tree is affected by voltage, frequency, temperature, mechanical stress, etc..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applied voltage on the growth of tree in DGEBA/MDA/GN(10 phr) system. As applied voltage increased, the time to breakdown of the system reduced. As applied time increased, the tree length of X-axis increased with sigmoid shape, however, the tree length of Y-axis increased sharply at the initial step and then were nearly constant. The phenomena of tree were complicated more and more, as applied time increased.

  • PDF

Effect of trunk length on the flow around a fir tree

  • Lee, Jin-Pyung;Lee, Eui-Jae;Lee, Sang-Joon
    • Wind and Structures
    • /
    • 제18권1호
    • /
    • pp.69-82
    • /
    • 2014
  • Flow around a small white fir tree was investigated with varying the length of the bottom trunk (hereafter referred to as bottom gap). The velocity fields around the tree, which was placed in a closed-type wind tunnel test section,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using 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 technique. Three different flow regions are observed behind the tree due to the bottom gap effect. Each flow region exhibits a different flow structure as a function of the bottom gap ratio. Depending on the gap ratio, the aerodynamic porosity of the tree changes and the different turbulence structure is induced. As the gap ratio increases, the maximum turbulence intensity is increased as well. However, the location of the local maximum turbulence intensity is nearly invariant. These changes in the flow and turbulence structures around a tree due to the bottom gap variation significantly affect the shelter effect of the tree. The wind-speed reduction is increased and the height of the maximum wind-speed reduction is decreased, as the gap ratio decreases.

신경망과 의사결정 나무를 이용한 충수돌기염 환자의 재원일수 예측모형 개발 (Length-of-Stay Prediction Model of Appendiciti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Decision Tree)

  • 정석훈;한우석;서용무;이현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424-1432
    • /
    • 2009
  • 충수돌기염 환자의 LoS(Length of Stay)를 예측하는 것은 병상의 운영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Neural Networks와 Decision Tree를 이용하여 LoS와 연관이 높은 입력변수들을 찾아 그 의미를 분석하며, 찾아낸 입력변수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LoS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 그 성능을 비교하였다. 모형의 예측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Bagging과 Boosting 등의 Ensemble 기법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Decision Tree 모형이 Neural Networks 모형보다 좀 더 적은 수의 속성을 가지고도 거의 통일한 예측력을 보였으며, Ensemble 기법 중에서는 Bagging 기법이 Boosting 기법보다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의사결정나무 기법은 Neural Networks 기법에 비해 설명력이 있으며, 충수돌기염의 LoS 예측에 매우 효과적이었고, 중요 입력 변수의 선정에도 좋은 결과를 보여줌에 따라 향후 적극적인 기법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근사 최소 스타이너 트리를 이용한 효율적인 클러스터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 (A Design of Efficient Cluster Sensor Network Using Approximate Steiner Minimum Tree)

  • 김인범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7A권2호
    • /
    • pp.103-112
    • /
    • 2010
  • 클러스터 센서 네트워크는 여러 개의 중심 노드 주위에 다른 입력 노드들이 밀집된 분포를 보이는 센서 네트워크이다. 최소 스타이너 트리는 스타이너 포인트들을 도입하여 모든 입력 노드들을 최소 비용으로 연결하는 트리이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노드와 베이스 스테이션의 연결인 간선들을, 클러스터 내에서와 클러스터 사이에서 각각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근사 최소 스타이너 트리를 반복적으로 생성하여, 단축된 길이의 클러스터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행 시간 복잡도가 O($N^2$)인 제안된 방법으로 생성된 클러스터 센서 네트워크들은, 본 논문의 실험에서 유클리드 최소 신장 트리 방법의 네트워크들과 비교하여 생성 시간이 1170.5% 증가하였으나 최소치보다 0.1% 증가된 길이의 네트워크는 20.3%의 증가된 시간에 생성이 가능했다. 이 클러스터 센서 네트워크의 평균 길이는 유클리드 최소 신장 트리 방법과 비교하여 최대 3.7%, 평균 1.9% 감소되었다.

Studies on Variability of Wood Properties in Stem of Pinus koraiensis (II) - Differences in Tracheid Length, Microfibril Angle, and Compression Strength in South and North Sides of Stem -

  • Kim, Byung-Ro;Mishiro, Akiyosh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2호
    • /
    • pp.45-50
    • /
    • 1998
  • Tracheid length, microfibril angle, and compression strength were examined in south and north sides of Pinus koraiensis. The sample tree was 57 years old and had been planted in central Korea. Tracheid length on the south side of the tree ranged from 2.87 to 3.40mm and on the north ranged from 3.60 to 3.53mm and mean values were 3.15 mm for the south and 3.26mm for the north. Tracheid length was 0.11 mm longer on the north side than on the south. Microfibril angle on the south side ranged from $12.6^{\circ}$ to $20.3^{\circ}$ and that on the north from $6.8^{\circ}$ to $13.5^{\circ}$; mean values were $16.6^{\circ}$ on the south side and $9.6^{\circ}$ on the north. Microfibril angle was $7.0^{\circ}$ greater on the south side than on the north side. For compression strength on the south and north sides,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95% level was found only at l.3m above the ground level of the sample tree; for compression limit stress, significant difference at this level was found at 1.3 and 5.3m above the ground level. However, compression strength and compression limit stress were greater on the north side than on the south side.

  • PDF

생물학 서열 데이타베이스에서 부분 문자열의 선적도 추정 (Estimation of Substring Selectivity in Biological Sequence Database)

  • 배진욱;이석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0권2호
    • /
    • pp.168-175
    • /
    • 2003
  • 지금까지 문자열 데이타에 대한 선택도 추정은 문자열들의 등장 회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카운트 서픽스 트리'를 생성한 뒤, 이 트리를 이용하여 부분 문자열들의 선택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그런데, 문자열 데이타가 생물학 서열처럼 매우 길어질 경우 카운트 서픽스 트리를 생성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길이가 q인 부분 문자열들만을 삽입한 '카운트 큐그램 트리'를 제안한다. 카운트 큐그램 트리는 서열 내의 길이가 q 이하인 모든 부분 문자열(큐그램) 들의 정확한 등장 회수를 저장하고 있으며, 문자열의 전체 길이 N에 상관없는 크기로, O(N) 시간에 생성 가능하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카운트 큐그램 트리를 이용한 'k번째 최대겹침' 추정 방법을 제시한다. 이 추정 방법은 질의 문자열을 길이 q인 부분 문자열로 나눌 때 부분 문자열들의 겹치는 정도 k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방법으로 이전 연구에서 제시한 '최대겹침' 방법을 확장하였다. q와 k를 변화시키며 진행한 실험 올 통해 대부분의 경우에 매우 정확하게 선택도를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트리 구조 어휘 사전을 이용한 연결 숫자음 인식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Connected-Digit Recognition System Using Tree Structured Lexicon Model)

  • 윤영선;채의근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50호
    • /
    • pp.123-137
    • /
    • 2004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implementation of connected digit recognition system using tree structured lexicon model. To implement efficiently the fixed or variable length digit recognition system, finite state network (FSN) is required. We merge the word network algorithm that implements the FSN with lexical tree search algorithm that is used for general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fast search and large vocabulary systems. To find the efficient modeling of digit recognition system, we investigate some performance changes when the lexical tree search is applied.

  • PDF

DGEBA/MDA/SN/HQ 계에서 발생하는 교류 트리의 프랙탈성 (Fractal Characteristics of AC Tree Grown in DGEBA/MDA/HQ System)

  • 조영신;심미자;김상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588-1590
    • /
    • 1996
  • The fractal characteristics of AC electrical tree grown in DGEBA/MDA/ SN/HQ system was investigated. As the applied voltage decreased, tree initiated after retardation. All the trees were fractals in spite of tile applied voltage. Fractal dimension increased with tree length. When the tree grew slowly, the fractal dimension or tile degree of treeing deterioration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