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atment selection

검색결과 1,206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 of body weight at photostimulation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welfare aspects of commercial layers

  • Fazal Raziq;Jibran Hussain;Sohail Ahmad;Muhammad Asif Hussain;Muhammad Tahir Khan;Assad Ullah;Muhammad Qumar;Fazal Wadood;Gull-e-Faran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3호
    • /
    • pp.500-508
    • /
    • 2024
  • Objective: Due to current selection practices for increased egg production and peak persistency, the production profile, age at maturity, and body weight criteria for commercial layers are constantly changing. Body weight and age at the time of photostimulation will thus always be the factors that need to be adequately addressed among various production systems. The 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ullets' body weight (low, medium, and heavy) on their performance, welfare, physiological response, and hormonal profile. Methods: With regard to live weight, 150 16-week-old pulle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using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and held until the 50th week.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evaluate the data under the CRD, and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 was used to distinguish between treatment means. Results: In comparison to the medium and light birds, the heavy birds had higher body weight at maturity, an earlier age at maturity, and higher egg weight, eggshell weight, eggshell thickness, egg yolk index, breaking strength, egg surface area, egg shape index, egg volume, and hormonal profile except corticosterone. However, the medium and light birds had lower feed consumption rates per dozen eggs and per kilogram of egg mass than the heavy birds. Light birds showed greater body weight gain, egg production, and egg specific gravity than the other categories. At 20 weeks of age, physiological response, welfare aspects, and catalase were non-significant; however, at 50 weeks of age, all these factors-aside from catalase-were extreme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layers can function at lower body weights during photostimulation; hence, dietary regimens that result in lighter pullets may be preferable. Additionally, the welfare of the birds was not compromised by the lighter weight group.

차광처리에 따른 갯활량나물의 생리 특성 (Shading Treatment-Induced Changes i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rmopsis lupinoides (L.) Link)

  • 조승주;김동학;윤정원;정은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2호
    • /
    • pp.198-209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차광 수준에 따른 광환경의 차이가 갯활량나물의 생리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차광 처리에 따른 갯활량나물의 엽면적당 건중량, 엽록소 함량, 엽록소 형광 반응 및 광합성 특성을 측정하였다. 갯활량나물의 경우 차광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엽면적이 증가하고 엽면적당 건중량이 감소하여 낮은 광도 조건에서 광형태형성학적인 적응을 보였다. 생리생태학적 적응 반응은 50% 차광 수준에서 엽록소 함량, 광포화점, 광합성률, 탄소고정효율, 기공전도도, 증산속도, 수분이용효율 등 전반적으로 광합성 기능이 양호했던 반면, 95% 차광 수준에서는 생육에 필요한 최소 광도 조건이 충족되지 못하여 광합성 기능이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갯활량나물의 생육에 있어서는 50% 차광 수준이 가장 적절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갯활량나물의 효과적인 현지외 보전을 위한 적지 선정 및 기반 조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후 차광 처리에 따른 식물 생장에 대한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응집제 및 탈수튜브(KOMIR-Tube 시스템)를 활용한 광산배수 슬러지 탈수 영향인자 평가 (Assessment on Impact Factor for Dehydration of Mine Drainage Sludge Using Flocculant and Dewatering Tube(KOMIR-Tube System))

  • 박미선;고주인;박관인;백승한
    • 자원환경지질
    • /
    • 제57권2호
    • /
    • pp.263-270
    • /
    • 2024
  • 광산배수 슬러지를 대상으로 응집제와 탈수튜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시스템(이하 KOMIR-Tube 시스템)의 탈수율 향상을 위한 영향인자를 평가하였다. 실험은 KOMIR-Tube 시스템으로 탈수 시 함수율 90 % 이상인 semi-active 시설 슬러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내실험을 통해 응집제 및 투입량을 결정하였고, 현장실험을 통해 탈수율을 확인하였다. 실내실험 결과, 슬러지 탈수처리 시 응집제 선정은 침강성(sedimentation) 이외 여과성(filterability)을 같이 평가해야 하고, 이때 형성된 플럭의 적정 크기는 최소 0.7 mm 이상의 크기를 유지해야 탈수율을 향상할 수 있었다. KOMIR-Tube 시스템을 이용한 현장실험 결과, 슬러지 함수율은 강우 및 습도 등 환경적 기후 조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슬러지 탈수처리는 강우량과 습도가 낮은 4월~5월에 수행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슬러지의 주요 구성광물 결정도에 따라 탈수율 차이를 보였다. 특히 철수산화물 중 페리하이드라이트보다 침철석 구성비가 높은 경우, 탈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페리하이드라이트의 결정도가 침철석 보다 낮고 결정형태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침철석은 결정도가 높고 침상을 이루고 있어 응집 및 탈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KOMIR-Tube 시스템을 이용한 광산배수 슬러지 탈수 시 탈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응집제, 기후조건, 결정성 광물의 존재 유무 그리고 철화합물의 결정도 및 입자 형태로 나타났다.

Surgical Outcomes of Cervical Esophageal Cancer: A Single-Center Experience

  • Yoonseo Lee;Jeonghee Yun;Yeong Jeong Jeon;Junghee Lee;Seong Yong Park;Jong Ho Cho;Hong Kwan Kim;Yong Soo Choi;Young Mog Shi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1호
    • /
    • pp.62-69
    • /
    • 2024
  • Background: Cervical esophageal cancer is a rare malignancy that requires specialized care. While definitive chemoradiation is the standard treatment approach, surgery remains a valuable option for certain patients. This study examined the surg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cervical esophageal cancer. Methods: The study involved a retrospective review and analysis of 24 patients with cervical esophageal cancer. These patients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between September 1994 and December 2018.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1.0±10.2 years, and 22 (91.7%) of them were male. Furthermore, 21 patients (87.5%) had T3 or T4 tumors, and 11 (45.8%) exhibited lymph node metastasis. Gastric pull-up with esophagectomy was performed for 19 patients (79.2%), while 5 (20.8%) underwent free jejunal graft with cervical esophagectomy. The 30-day operative mortality rate was 8.3%.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mplications included leakage at the anastomotic site in 9 cases (37.5%) and graft necrosis of the gastric conduit in 1 case. Progression to oral feeding was achieved in 20 patients (83.3%). Fifteen patients (62.5%) displayed tumor recurrence. The median time from surgery to recurrence was 10.5 months, and the 1-year recurrence rate was 73.3%. The 1-year and 3-year survival rates were 75% and 33.3%, respectively, with a median survival period of 17 months. Conclusion: Patients with cervical esophageal cancer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faced unfavorable outcomes and relatively poor survival. The selection of cases and decision to proceed with surgery should be made cautiously, considering the risk of severe complications.

Prognostic Value of 18F-FDG PET/CT Radiomics in Extranodal Nasal-Type NK/T Cell Lymphoma

  • Yu Luo;Zhun Huang;Zihan Gao;Bingbing Wang;Yanwei Zhang;Yan Bai;Qingxia Wu;Meiyun Wa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5권2호
    • /
    • pp.189-198
    • /
    • 2024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utility of radiomics features extracted from 18F-fluorodeoxyglucose (FDG) PET/CT combined with clinical factors and metabolic parameters in predicting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and overall survival (OS) in individuals diagnosed with extranodal nasal-type NK/T cell lymphoma (ENKTCL).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26 adults with ENKTCL who underwent 18F-FDG PET/CT examination before treatment were retrospectively includ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raining (n = 88) and validation cohorts (n = 38) at a ratio of 7:3. 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ion Cox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select the best radiomics features and calculate each patient's radiomics scores (RadPFS and RadOS). Kaplan-Meier curve and Log-rank test were used to compare survival between patient groups risk-stratified by the radiomics scores. Various models to predict PFS and OS were constructed, including clinical, metabolic, clinical + metabolic, and clinical + metabolic + radiomics models. The discriminative ability of each model was evaluated using Harrell's C index. The performance of each model in predicting PFS and OS for 1-, 3-, and 5-years was evaluated using the time-dependent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Results: Kaplan-Meier curv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radiomics scores effectively identified high- and low-risk patients (all P < 0.05). Multivariable Cox analysis showed that the Ann Arbor stag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 and RadPFS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FS. Further, β2-microglobuli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score, SUVmax, and RadOS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OS. The clinical + metabolic + radiomics model exhibited the greatest discriminative ability for both PFS (Harrell's C-index: 0.805 in the validation cohort) and OS (Harrell's C-index: 0.833 in the validation cohort). The time-dependent RO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linical + metabolic + radiomics model had the best predictive performance. Conclusion: The PET/CT-based clinical + metabolic + radiomics model can enhance prognostication among patients with ENKTCL and may be a non-invasive and efficient risk stratification tool for clinical practice.

The Value of Adding Ductography to Ultrasonography for the Evaluation of Pathologic Nipple Discharge in Women with Negative Mammography

  • Younjung Choi;Sun Mi Kim;Mijung Jang;Bo La Yun;Eunyoung Kang;Eun-Kyu Kim;So Yeon Park;Bohyoung Kim;Nariya Cho;Woo Kyung Moo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9호
    • /
    • pp.866-877
    • /
    • 2022
  • Objective: The optimal imaging approach for evaluating pathological nipple discharge remains unclear. We investigated the value of adding ductography to ultrasound (US) for evaluating pathologic nipple discharge in patients with negative mammography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2003 to December 2018, 101 women (mean age, 46.3 ± 12.2 years; range, 23-75 years) with pathologic nipple discharge were evaluated using pre-ductography (initial) US, ductography, and post-ductography US. The imaging finding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standard reference was surgery (70 patients) or > 2 years of follow-up with US (31 patients). The diagnostic performances of initial US, ductography, and post-ductography US for detecting malignancy were compared using the McNemar's test or a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Results: In total, 47 papillomas, 30 other benign lesions, seven high-risk lesions, and 17 malignant lesions were identified as underlying causes of pathologic nipple discharge. Only eight of the 17 malignancies were detected on the initial US, while the remaining nine malignancies were detected by ductography. Among the nine malignancies detected by ductography, eight were detected on post-ductography US and could be localized for US-guided intervention. The sensitivities of ductography (94.1% [16/17]) and post-ductography US (94.1% [16/17])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initial US (47.1% [8/17]; p = 0.027 and 0.013, respectively).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post-ductography US (96.9% [31/3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initial US (83.3% [45/54]; p = 0.006). Specificity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initial US than for ductography and post-ductography US (p = 0.001 for all). Conclusion: The combined use of ductography and US has a high sensitivity for detecting malignancy in patients with pathologic nipple discharge and negative mammography. Ductography findings enable lesion localization on second-look post-ductography US, thus facilitating the selection of optimal treatment plans.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 대한 가족 중심 중재 효과: 체계적 고찰 - 부모 교육 및 부모 코칭 중심으로 - (Effects of Family-Centere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South Korea: A Systematic Review - Focusing on Parent Education and Parent Coaching -)

  • 최윤미;유은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5-78
    • /
    • 2023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하여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가족 중심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문헌검색은 2011년부터 2021년 사이의 문헌을 RISS, KISS, DBpia를 통하여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자폐스펙트럼' OR '전반적발달장애' OR '고기능 자폐' OR '아스퍼거' AND '부모 교육' OR '가족중심중재' OR '부모코칭' OR '부모훈련' OR '가족참여' 등을 적용하였다. 선정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11편의 실험연구를 선정하였다. 결과 : 연구 참가자의 일반적 특성, 중재 전략 및 효과, 중재 프로토콜을 확인한 결과, 연구대상은 영유아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가장 많았고, 가족 중심 중재에 어머니들이 주로 참여하였다. 가족 중심 중재의 효과는 아동과 부모에게서 모두 나타났으며, 아동에게서는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 대한 효과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부모에게서는 양육 스트레스 감소 및 양육효능감 향상을 보였다. 중재 전략은 감각통합 중재, 반응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중심 중재가 가장 많았고, 발달 중심 중재, 긍정적 행동 지원 중재(Positive Behavioral Supports; PBS), 중심축 반응 훈련(Pivotal Response Training; PRT)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가족 중심 중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기능뿐만 아니라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임상 활용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isk Factor Analysis of Morbidity and 90-Day Mortality of Curative Resection in Patients with Stage IIIA-N2 Non-Small Cell Lung Cancer after Induction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 Ga Hee Jeong;Junghee Lee;Yeong Jeong Jeon;Seong Yong Park;Hong Kwan Kim;Yong Soo Choi;Jhingook Kim;Young Mog Shim;Jong Ho C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4호
    • /
    • pp.351-359
    • /
    • 2024
  • Background: Major pulmonary resection after neoadjuvant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nCCRT) is associated with a substantial risk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associated risk factors to facilitate the selection of suitable surgical candidates following nCCRT in stage IIIA-N2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atients diagnosed with clinical stage IIIA-N2 NSCLC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following nCCRT between 1997 and 2013. Perioperative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morbidity and mortality were analyzed using univariable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 total of 574 patients underwent major lung resection after induction CCRT. Thirty-day and 90-day postoperative mortality occurred in 8 patients (1.4%) and 41 patients (7.1%), respectively.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n=6, 4.5%) was the primary cause of in-hospital mortality. Morbidity occurred in 199 patients (34.7%). Multivariable analysis identified significant predictors of morbidity, including patient age exceeding 70 years (odds ratio [OR], 1.8; p=0.04), low body mass index (OR, 2.6; p=0.02), and pneumonectomy (OR, 1.8; p=0.03). Patient age over 70 years (OR, 1.8; p=0.02) and pneumonectomy (OR, 3.26; p<0.01)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mortality in the multivariable analysis.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surgical outcomes following nCCRT are less favorable for individuals aged over 70 years or those undergoing pneumonectomy. Special attention is warranted for these patients due to their heightened risks of respiratory complications. In high-risk patients, such as elderly patients with decreased lung function, alternative treatment options like definitive CCRT should be considered instead of surgical resection.

외래유전자를 주입한 소 수정란에서 형질전환가능 수정란의 선발 (Preselection of Bovine Blastocysts Expressing Exogeneous Gene Following Microinjection)

  • 공일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7-176
    • /
    • 1997
  • 본 연구는 수정란을 수란우에 이식하기 이전에 형질전환가능 수정란을 선발할 수 있다면 형질전환동물의 생산에 크게 도움이 되므로 3.2 kb $\beta$-actin promoter (lacZ/n대) DNA를 미세주입하여 배반포기배에서의 발현을 확인하여 이들을 선발할 수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엿다. 채란된 난포란은 10%FBS, 5$\mu\textrm{g}$/ml LH, 0.5$\mu\textrm{g}$/ml FSH, 100 unit/ml penicillin 및 100 $\mu\textrm{g}$/ml streptomycin이 함유된 TCM199에 22~24 시간동안 체외성숙을 유도후 5$\mu\textrm{g}$/ml heparin으로 수정능획득을 유도한 1$\times$106 sperm/ml의 정자로 체외수정을 시켰다. 체외수정후 18~20시간째에 vortexing에 의해 과립막세포를 제거하고 원심분리시켜 자/웅전핵이 확인되는 수정란의 핵에 3~4 ng/${\mu}\ell$ lacZ/neo DNA를 미세주입하였다. 모든 수정란의 배양은 3 mg/ml BSA, 20${\mu}\ell$/ml NEM AMINO acids 및 40${\mu}\ell$/ml BME amino acids가 함유되어 있는 CR1aa 배양액에 neo/DNA로 transfected 된 BRL 단층에서 실시하였다. G418에 대한 적정농도를 찾기 위하여 정상적인 수정란에 0, 50, 100 및 200 $\mu\textrm{g}$/ml G418를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8일째에 30.3%(44/145), 8.7%(13/150), 0.7%(1/151) 및 0% (0/134)의 수정란이 배반포기까지 발달하였다. 그래서 본 실험에서는 일정하게 100$\mu\textrm{g}$/ml G418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총 1,127개의 수정란을 미세주입후 G418 없는 배양액에서 710개 (63.0%)가 분할하였다. 미세주입후 48시간째에 2-세포기이상 분할된 수정란을 대조구 및 100$\mu\textrm{g}$/ml G418처리구를 무작위로 할당하여 배양하였으며, 또한 740개의 정상수정란도 같은 반복수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미세주입한 수정란은 8일 후 11.6%(26/255) 및 5.2% (14/267)가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에서 배반포기까지 발달하였으며 정상수정란은 27.2% (151/740)가 배반포기 배까지 발달하였다. 미세주입후 대조구에서는 23.1$\pm$2.6/70.7$\pm$4.7 (32.7%)의 할구가 $\beta$-Gal 활력을 보였고, 반면에 100$\mu\textrm{g}$/ml G418 처리구에서는 40.3$\pm$4.1/48.8$\pm$7.5 (82.6%)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비록 mosaic 형태로 외래유전자가 발현되었지만 대조구에서 87.0% (26/30개)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인 반면, G418 처리구에서는 모든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P<0.05). 그러나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의 ICM colony에서는 영양배엽과 내배엽을 제외한 epiblast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결과로부터 $\beta$-actin promoter/lacZ gene이 integration되지 않는 것인지 또는 다만 염색 확인이 되지 않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는 없다. 이상의 결과는 미세주입후 G418에서 배양한 배반포기배에서는 대부분의 할구에서 주입된 gene을 발현하고 있었으나 ICM colony에서는 특히 epiblast에서는 발현되지 않거나 침묵하고 있었다. 비록 G418 처리구에서 훨씬 더 높은 비율로 주입된 gene이 발현되고 있으나 총세포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이후 형질전환동물의 생산과 ES like-cell의 설립에는 감소될 것으로 사려된다. 그러나 형질전환 수정란의 선발 및 형질전환동물의 생산능력에 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려된다.

  • PDF

동맥경화성 하지 동맥 폐색증에 대한 우회로 수술의 효과 (The Effect of a Bypass Operation for Atherosclerotic Arterial Obstructive Disease at the Lower Extremity)

  • 최원석;박재민;이양행;한일용;전희재;윤영철;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610-618
    • /
    • 2008
  • 배경: 동맥경화성 하지 동맥 폐색증의 치료는 보존적 운동 요법, 약물 요법, 수술 방법 등으로 증상의 완화 및 혈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데 그 중 동맥간 우회로 수술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본원에서 시행한 우회로 수술의 단기 추적 결과를 조사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 개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여 향후 치료의 지표로 삼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6월에서 2006년 4월까지 본원 흉부외과에서 동맥경화성 하지 동맥 폐색증으로 진단받고 동맥간 우회로 수술을 받았던 환자 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증상과 Ankle-brachial index (ABI)의 변화를 통해 우회로 수술의 효용성을 파악하고 수술 후 합병증, 하지 절단율 그리고 이식편 개존율 등을 통해 단기 결과를 확인하였다. 성별, 연령, 흡연 유무, 동반 질환, 문합 위치, 이식편의 크기와 종류 등의 항목으로 개존율에 미치는 위험인자를 확인하였다. 이외에 폐색 부위, 약 복용 등을 각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전체 평균 추적 기간은 $29.4{\pm}13.1$개월이었다. 결과: 대상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65.95{\pm}9.61$세로 남성이 88예였으며 허혈성 하지 통증이 가장 많은 증상이었다. 동반 질환으로는 고혈압(61%), 당뇨병(42%), 심장 질환(35%) 순이었고 흡연자는 88명(91.7%)이었다 동맥 폐색 부위 중 가장 많은 부위는 표재성 대퇴동맥으로 44예(40%) 이었다. 수술 방법 중 이식편으로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인조 혈관을 이용한 대퇴-슬와동맥간 우회로술을 가장 많이 시행하였으며 대복재정맥도 11예에서 사용하였다. ABI는 수술 전 $0.30{\pm}0.11$에서 수술 후 $0.63{\pm}0.11$으로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01). 수술 후 1년, 3년 이식편 개존율은 각각 86.4%, 68.0%이었다. 개존 실패를 보인 경우는 29예(30.21%)였으며 남성, 흡연 그리고 고혈압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가 실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이 중 고혈압이 위험인자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42). 결론: 동맥경화성 하지 동맥 폐색증의 동맥간 우회로 수술은 하지 통증, 파행증의 호전과 하지 절단을 예방하는데 비교적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장기적인 이식편 개존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남성 흡연자의 금연을 적극 유도하고 고혈압 환자의 철저한 혈압 조절이 동반됨과 동시에 수술시 적절한 이식편의 선택, 규칙적인 약물 복용, 꾸준한 외래 추적관찰 등의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