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admill exercise

검색결과 470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에서 Treadmill과 Cycle Ergometer의 비교 분석 (Comparison of Treadmill and Cycle Ergometer in Male Korean College Students)

  • 장윤수;박재민;최승원;안강현;이준구;양동규;김세규;장준;안철민;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1호
    • /
    • pp.26-34
    • /
    • 1999
  • 연구배경: 최대 산소 섭취량 ($VO_2$ max) 은 답차 운동시 자전거시 보다 높게 측정이 되는데, Hassen과 Wasserman 등에 의하면 답차 시 약 1.11배 정도 높게 측정된다고 하였다. $VO_2$ max는 나이, 성별, 키, 체중 등 뿐만 아니라 인종, 사회문화적 배경 및 운동 습관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 연령의 성인을 대상으로 답차와 자전거 운동시 $VO_2$ max와 무산소 역치에서의 산소 섭취량 (AT)을 측정, 비교하였다. 방법: 1998 년 6월부터 9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재학중인 남학생 44명을 대상 으로 하였다. 이들을 무작위로 2군으로 나누어 24명은 답차를 우선 시행 후 1주일 후 자전거로 운동을 시행하였고 20명은 자전거를 우선 시행 후 답차를 시행하였다. 증상 제한적 최대 운동 시행토록 하였으며, 최소한 호흡 교환비(RER) 가 1.1을 초과한 경우, 최대 산소 섭취량이 30초 이상 평점을 이룬 경우, 최대 운동시 심박 예비율이 15% 미만이거나 또는 호흡 예비율이 30% 미만일 경우를 최대 운동으로 정의하였고 이들 중 한가지라도 충족시키지 못한 경우에는 최대운동을 하지 않은 것으로 (submaximal exercise) 간주하여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AT는 V-slope method로 구하였다. 결과: 답차 운동시의 $VO_2$ max와 AT 의 값은 각각 $45.1{\pm}6.66 m\ell$/kg/min, $26.0{\pm}6.78 m\ell$/kg/min 이었으며, 자전거 운동시에는 각각 $34.9{\pm}5.89 m\ell$/kg/min, $19.5{\pm}4.77 m\ell$/kg/min 이었다. 측정-$VO_2$ max/예측 $VO_2$ max 의 값은 답차 운동시 $98.8{\pm}13.24 %$ 이었으며, 자전거 운동시 $84.4{\pm}13.42 %$ 이었다. 자전거의 결과로 답차 운동시 $VO_2$ max 의 예측치를 구할 때 쓰이는 Hassen등의 공식을 이용하여 이를 실제 답차 운동시 얻어진 $VO_2$ max값과 비교해 보았을 때 두 값 사이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1). 최대 운동시 심박 예비율, 산소/맥, 호흡 예비율, $V_E$/MVV, $V_E/VCO_2$는 (답차 운동과 자전거 운동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 그러나 $V_E/VO_2$, Vd/Vt, Ti/Ttot는 차이가 없었다. AT에서는 산소/맥, 호흡 예비율, $V_E$/MVV, Ti/Ttot값은 차이가 있었으나 나머지 값들은 그렇지 못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보았듯이 답차와 자전거 사이의 차이가 크므로 결과의 해석에 이용시 유의해야 할 것이며, 향후 한국인에서 적용할 수 있는 참고치를 구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The Effect of Silk Amino Acid Supplementation on the Level of Blood Energy Substrates and Hormones during Prolonged Exercise

  • Zhang Seok-Am;Lee Nam-Hee;Kim Yong-Hwan
    • 한국식품영양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년도 Annual Meeting and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171-184
    • /
    • 2004
  • The silk amino acid supplementation is unknown to affect the release of several hormones related to energy production and metabolism during prolonged exerci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ilk amino acid supplementation on the level of blood amino acid, energy substrates and hormones level during prolonged treadmill exercise in college taekwondo player. A prolonged treadmill test was carried out 60 min at 65% of maximal heart rate on 8 athletics.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orm antecubital vein of subjects at rest bed 30 minute before test, after exercise and rest 1 hour. The subjects were supplemented silk amino acid (6,390 mg/day) fur 4 week. The silk amino acid supplementation did not produce significant changes on the levels of blood lactate, ammonia, amino acid, glucose,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 LDL, seratonin and leptin at rest bed 30 minute before test, after exercise and rest 30 minute. The silk amino acid 4 week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the levels of blood amino acid, energy substrates and hormones during prolonged treadmill exercise.

  • PDF

소년체전 육상선수들의 최대 운동부하 전.후 혈중 생리적 변인 변화에 관한 연구 (The change of the Pre-Post a maximal exercise on the Physiological Variable in the athletics children runners)

  • 구성완;박한수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Pre-Post maximal exercise for analyze the Physiological Variable(Lactate, LDH, Glucose) in the runners. The subjects were 12 volunteers 6 sprinters and 6 distance runners who agreed to intention of this study. Subjects performed until possible all-out trials.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a median cubital vein Pre-Post exercise and every rest 5min during the all-out trial.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 ; 1) Lactate of Pre-Post exercise in treadmill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printers and distance runners, but showed significant in sprinters and distance respectively 2) LDH of Pre-Post exercise in treadmill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printers and distance runners, and that showed no significant in sprinters and distance respectively 3) Glucose of Pre-Post exercise in treadmill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printers and distance runners, and showed no significant in distance, but showed significant in sprinters therefor, since the runners has an intermittent characteristic which includes a frequent momentary change, it needs the fitness training that being consisted of various training, in the training method, it needs the training process which is from the whole fitness to specific fitness to improve general physical ability.

  • PDF

저강도 treadmill 운동이 streptozotocin 유도 당뇨쥐의 혈당, 인슐린 및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w-Intensity Treadmill Exercise on Blood Levels of Glucose, Insulin and Lipid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세종;서혜림;고정림;염종우;예정복;이선주;김경환;손원협;장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45-251
    • /
    • 2004
  • 본 연구는 streptozotocin으로 당뇨병을 유도하는 조건들을 농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고, 적절한 조건에서 당뇨쥐에서의 저강도의 treadmill 운동이 체중과 혈중의 당, 인슐린 및 지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 I에서 STZ 주사량이 40 mg/mg으로 높아질수록 정상군에 비해 혈당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반대로 체중과 인슐린 농도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II에서 STZ 주사를 한 모든 군에서 혈당이 유의하게 증가하지만 BE군은 C군에 비해 그 증가율이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며, 운동이 인슐린 농도와 혈중지질 농도를 정상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뇨 유발 전부터 운동을 실시한 경우 그 효과가 더욱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앞으로 당뇨 유발의 정도와 운동 빈도 및 강도와 관련된 더욱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당뇨유발 흰쥐에서 트레드밀 운동이 망막의 혈관내피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on Modul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Expression in the Retina of Diabetic Rats)

  • 김대영;김태운;김창주;정선영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1권3호
    • /
    • pp.363-372
    • /
    • 2012
  • 당뇨병의 주된 합병증 중 하나는 새로운 혈관 생성과 신경퇴화의 특징을 보이는 증식성 망막증이다. 당뇨병에서는 고혈당증, 저산소증과 부적절한 대사조절 능력이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의 발현에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를 유발한 흰쥐에서 당뇨성 망막증에 대한 트레드밀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Sprague-Dawley계 흰쥐를 대조군, 운동군, 당뇨군, 당뇨운동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당 8마리씩 배정하였다. 당뇨는 streptozotocin을 50 mg/kg의 용량으로 주사하여 유발하였다. 운동군은 분당 8 m의 속도로 하루 30분씩 주 5회, 총 12주 동안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당뇨쥐의 망막에서 phosphoinositide 3-kinase(PI3K), phospho-protein kinase B(pAkt), hypoxia inducible factor-1α(HIF-1α), 그리고 VEGF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트레드밀 운동은 PI3K/Akt 신호전달체계를 억제하여 HIF-1α의 발현과 VEGF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본 실험 결과 트레드밀 운동은 망막의 새로운 혈관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당뇨성 망막증의 진행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트레드밀 운동이 고지방 식이 쥐 심근세포의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on autophagy related protein expression in the cardiac muscle of high-fat diet fed rats)

  • 정재훈;강은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1-101
    • /
    • 2020
  • 이 연구는 비만이 심장 조직에서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고지방 식이(20주)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후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고, 자가포식의 유도, 형성 그리고 자가포식포와 라이소좀 융합단계를 조절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SD rat)은 20주간의 고지방식이(탄수화물: 20%, 지방: 60%, 단백질: 20%)를 통해 비만을 유도하였으며,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주 5일, 하루 30분, 5분; 8m/min, 5분; 11m/min, 20분; 14m/min)을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정상식이 비교군(n=10), 고지방식이 비교군(n=10), 고지방식이 운동군(n=10)으로 구분하였다.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 실시 전과 후에 경구당부하검사를 실시하여 곡선 하 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을 산출하였으며, 공복시 인슐린 농도와 포도당 농도를 통해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과 체중 당 복부지방량(abdominal visceral fat/Body weight; AVF/BW)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심장 조직에서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을 분석하여 운동 트레이닝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장기간의 고지방식이를 통해 HFD-CON 그룹에서는 비만이 유도되었으며, ND-CON 그룹에 비해 체중, AUC, HOMA-IR, AVF/BW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한 HFD-TE 그룹에서는 AUC, HOMA-IR, AVF/BW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의 경우, 감소되는 경향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가포식 유도에 관여하는 mTOR와 AMPK는 비만상황에서 모두 감소되었지만, 운동을 통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포식 형성에 관련된 Beclin-1, BNIP3, ATG-7, p62, LC3는 비만상황에서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을 통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포식포와 라이소좀 융합단계 조절하는 Cathepsin L과 LAMP2는 비만상황에서 모두 감소되었으며, 운동을 통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레드밀 운동과 같은 신체활동은 대사성 질환에서 나타나는 병리학적 현상을 개선하고 자가포식 과정을 정상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트레드밀 운동이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일차적으로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한다.

트레드밀 운동 후 족욕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ot Bath on Blood Pressure Following Treadmill Exercise)

  • 이상열;이명희;윤창구;배성수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7-102
    • /
    • 200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foot bath on blood pressure(BP) following treadmill exercise. Methode : Subject of study were forty healthy males without any cardiovascular, musculoskeletal, and neurologic diseases. Following twenty minutes walking at a speed of 5m/s on the treadmill, ten twenty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received foot bath, on the dominant lower limb while sitting in chair. Foot bath was applied to the level of the lateral and medial malleoli keeping the temperature of the paraffin bath at $40{\pm}0.5^{\circ}C$. Twenty subjects in control group took a rest sitting in chair in a comfortable position. BP was measured in right brachial artery. BP was measured five times(before exercise, immediately after exercise, 5 minutes, 10 minutes, and fifteen minutes after exercise). Results : The study showed that for diastolic blood press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systolic blood pressure(SBP)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exercise compared with SBP before exercise (p<.05). In addition, SBP in five minutes after exercise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SBP in immediately after exercise (p<.05).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BP measured before exercise and SBP measured at the other measure time (p<.05). In five minutes after exercise, SBP in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BP in control group (p<.05). Similarly, in ten and fifteen minutes after exercise, SBP in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difference with SBP in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 Con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when foot bath was applied, the increased BP induced by the exercise returned to normal range rapidly.

  • PDF

Treadmill 운동과 DNA 및 칡 Catechin 섭취가 흰쥐 생체내 지방조성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Treadmill Exercise and the Intake of DNA and Crude Catechin (from Puerariae thunbergiana Roots) on the Body Fat Composition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in Rats)

  • 이치호;조진국;이은정;손영희;남혜영;최일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0-185
    • /
    • 2003
  • 본 연구는 운동부하와 DNA 및 칡 crude catechin의 급여에 의한 생체내 성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대조군, 운동부하군, 운동부하+DNA 및 운동부하+DNA+crude catechin 첨가군으로 나누어 사육하였다. 각각 0.4% DNA와 0.1% 칡crude catechins을 해당 횐쥐에 급식시켰으며, 운동부하군은 Treadmill에서 20 m/min의 속도로 6주 동안 운동시켰다. 사육실험종료 후 체중 증체량과 체지방무게를 먼저 칭량한 후, 항산화활성과 체지방조성을 ki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6주후 각 군간의 최종 체중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간장, 부고환주위지방 및 신장주위지방은 운동부하군, 운동부하+DNA 첨가군 및 운동부하+DNA+crude catechin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값(p<0.05)을 나타냈다. 또, 혈중 phospholipid, cholesterol 및 triglyceride농도는 운동부하군, 운동부하+DNA 첨가군 및 운동부하+DNA+crude catechin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p<0.05), HDL-cholesterol은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GPT 활성은 각 군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GOT활성은 운동부하를 처리한 군에서 적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TBA가는 각 군간에 유의 차가 없었다. 또, 혈중 NEFA 수준은 운동부하+DNA+crude catechin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5). 이상의 실험에서 운동과 더불어 crude catechin 섭취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혈청지질의 성분의 향상에 보조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육상선수들의 트래드밀운동 전 ${\cdot}$ 후 Blood Lactate, LDH, Glucose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Post a Treadmill Exercise on the Blood Lactate, LDH and Glucose in the Runners)

  • 박한수;신병철;채정룡;조성초;전희영;김형준;김모경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254-126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Pre-Post submaximal exercise for analyze the Blood Lactate, LDH(Lactate Dehydrogenase) and Glucose in the runners. The subjects were 12 volunteers 6 sprinters and 6 distance runners who agreed to intention of this study. Subjects peformed until possible all-out trials.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a Ante cubital vein Pre-Post exercise and every rest 5min during the all-out trial.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 1) Blood Lactate of Pre-Post exercise in treadmill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printers and distance runners, but showed significant in sprinters and distance respectively. 2) Serum LDH of Pre-Post exercise in treadmill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printers and distance runners, and that showed no significant in sprinters and distance respectively. 3) Blood Glucose of Pre-Post exercise in treadmill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printers and distance runners, and showed no significant in distance, but showed significant in sprinters. These data indicate first that the value of 4mmol/${\ell}$, commonly referred to as OBLA(Onset of Blood Lactate),may often underestimate the upper limit of tolerance to lactate during a maximal endurance peformance test until all-out. second, our date suggested that the sprinters exercise decreases serum LDH activities and the distance increases serum LDH activities. therefore serum LDH concentration changed following a different exercise. Third. for the concentration of the glucose in blood the sprinters was show to be higher. However it needs more studie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result and the fitness factor. therefor, since the runners has an intermittent characteristic which includes a frequent momentary change, it needs the fitness training that being consisted of various training. in the training method, it needs the training process which is from the whole fitness to specific fitness to improve general physical ability.

트레드밀 운동이 청소년기 흰쥐의 기억력과 해마 신경세포생성, BDNF, TrkB, 그리고 전뇌 콜린 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n Memory, Hippocampal Cell Proliferation, BDNF, TrkB, and Forebrain Cholinergic Cells in Adolescent Rats)

  • 이희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03-410
    • /
    • 2009
  • 본 연구는 청소년기 흰쥐를 대상으로 4주간의 저강도 트레드밀 운동이 기억력과 해마 신경세포생성, BDNF, Trkb, 중격 콜린세포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먼저 운동이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를 step-through avoidance에서 검사한 결과 운동을 실시했던 흰쥐의 retention latency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기억력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후 기억력 향상기전으로 해마에서 신경세포증식과 BDNF 및 TrkB 단백질 발현을 정량화 한 결과에서도 운동군의 신경세포 생성율과 BDNF와 TrkB 단백질 발현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운동을 통한 전뇌 콜린세포 수의 증가가 해마 신경세포생성과 BDNF 발현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기 운동이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