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yt-7f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7초

지체최소화를 위한 도시간선도로 좌회전현시체계 최적화에 관한 연구 (The Optimization of Left-Turn Phase Sequences on Signalized Arterials for Minimum Delay)

  • 김영찬;신언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7-174
    • /
    • 1997
  • 도시간선도로의 신호시간요소를 계획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이들은 통 과폭 최대화모형, 지체도 최소화 모형 그리고 이들 두 가지 모형의 통합모형으로 구분된다. 기존의 통합모형은 지체를 줄이기 위하여 최대 통과폭 모형인 PASSER-II로 최적화된 좌회 전현시순서를 TRANSYT-7F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통과폭 최대모형과 기존의 통합 모형은 지체를 최소화해주지 못하고, 반면에 지체도 최소화모형인 TRANSYT-7F는 좌회전 현시순서를 최적화 시켜주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모 형들의 갖고 있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좌회전현시를 최적화하면서 지체를 최소화해줄 수 있는 새로운 모형(KS_SIGNAL)을 개발하는데 있다. 개발된 모형은 MAXBAND 등과 같은 최대통과폭모형을 발전시킨 혼합정수계획법 형태를 갖는다. 평가결과에 의하면 개발된 모형 으로 최적화된 좌회전현시순서를 TRANSYT-7F에 사용할 경우 TRANSYT-7F나 PASSER-II 와 TRANSYT-7F를 통합한 기존 모형들보다 지체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5지 신호교차로에서의 안전을 고려한 신호현시 설계 (Safety Enhanced Signal Phase Sequence Design of a Rotary with Five Leg Intersection)

  • 박재완;김진태;장명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23-29
    • /
    • 2002
  • 일반적으로 4지 또는 3지의 교차로가 설계·운영되고 있으나 적지 않게 5지 또는 그 이상 의 원형 신호교차로가 실질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접근로 수에 따른 교차로 형태별 분류에 의하면 5지 이상의 교차로에서의 상충지 점의 수는 4지 교차로의 그것보다 월등히 높아 설계지침에서도 4지 이하의 교차로를 설계할 것을 권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5지 원형 신호교차로에서도 그 상충지점 수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5지 신호 교차로의 신호 설계는 교통소통이 아닌 교통안전측면에서 신호현시 순서 및 길이가 결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또 그러한 현시순서는 교차로 내 원활한 교통의 흐름을 심각한 수준으로 방해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5지 신호교차로의 안전을 고려한 현시순서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울산광역시에서 운영중인 공업탑 5지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현장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신호시간 설계모형은 TRANSYT-7F를 적용했다. TRANSYT-7F에서의 최적 신호현시의 길이를 토대로 기본적으로 "한 현시에 2개 교통류의 이동" 원칙에 따라 재배열하였다. 제안된 방법으로 보정된 신호현시 순서 및 길이를 사용하여 모의실험한 결과 TRANSYT-7F에서 제시한 최적 신호현시 순서 및 길이를 적용한 것에 비하여 평균 6.2%지체도 증가가 있었으나 교차로 내 상충수를 61.5% 줄이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TRANSYT-7F Delay Model에 의한 교차로 서비스수준 분석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Service Criteria of Intersection by TRANSYT-7F Vehicle Delay Model)

  • 서채연;김재국;이상국;문권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3-54
    • /
    • 1990
  • Six Levels of Service are defined for each type of facility for which analysis procedures as available. They are given letter designations, from A to F with Level of Service A representing the best operating conditions and Level of Service F the worst. Yet the appropriate criteria by vehicle delay model in our situations are not formed.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orm the criterion of by average approach delay based on the criterion of V/C ratio. Level-of-Service criterion of this study by TRANSYT-7F Delay Model is as follows. A:${\leq}35.5$ sec, B:${\leq}41$ sec, C:${\leq}48$ sec, D:${\leq}56.5$ sec, E:${\leq}66.5$ sec, F:>66.5 sec.

  • PDF

네트워크형 가로망의 교통신호제어 최적화 모형개발 (Development of Optimization Model for Traffic Signal Timing in Grid Networks)

  • 김영찬;유충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7-97
    • /
    • 2000
  • Signal optimization model is divided bandwidth-maximizing model and delay-minimizing model. Bandwidth-maximizing model express model formulation as MILP(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 and delay-minimizing model like TRANSYT-7F use "hill climbing" a1gorithm to optimize signal times. This study Proposed optimization model using genetic algorithm one of evolution algorithm breaking from existing optimization model This Proposed model were tested by several scenarios and evaluated through NETSIM with TRANSYT-7F\`s outputs. The result showed capability that can obtain superior solution.

  • PDF

대도시 교통신호시스템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Air Pollutants Emission Rates for Different Traffic Signal System in Metropolitan Area)

  • 홍민선;우완기;최종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3-100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ffic signal systmes and the air pollutants emitted by the motor vehicles at Kangnam Intersec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sures of effectiveness (MOE) in traffic studies is the delay to vehicles in the system. Delay represents indirect costs to the motorist in terms of time loss and a direct cost in terms of fuel consumption during idling. The results of TRANSYT-7F modeling was correlated among delay, fuel consumption and total travel tiem. Air pollutants emission rate can be calculated by the results of modeling and the Korean type emission factor. As expected the highest emissions, for air pollutants, are observed during the morning rush hours (07 : 00-10 : 00). For better results of modeling, the TRANSYT-7F model needs to modify for the Korean type of traffic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variation of air pollutants emission rat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traffic signal system.

  • PDF

가변차로제 효율성분석을 통한 설치기준 재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rrant Rearrangement Using Efficiency Analysis of Reversible Lane)

  • 오세창;최보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18
    • /
    • 2004
  • 국내에서는 복잡하고 심각해진 도시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1981년부터 교통체계관리 기법 중 가변차로제를 도입하여 현재 서울을 비롯한 주요 도시에서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가변차로제 시행에 따른 운영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고, 적용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경험치를 따른 설치기준을 이용하여 가변차로제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서울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가변차로 구간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가변차로 수행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 그 시행의 효율성을 높기 위한 방안으로서, 국내의 교통여건에 부합하는 가변차로제의 설치기준을 재설정 하였다. 가변차로제 시행 효과 분석을 위한 효과측정기준으로 평균지체와 연료소모량을 선정하였다. TRANSYT-7F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가변차로로 유입 유출되는 v/c별 교통량과 방향별 교통량비율, 그리고 기하구조측면으로 가변차로수와 가변차로 구간 내에서의 좌회전의 허용여부 이 네 가지 영향요소의 변화에 따른 각각의 상황별 가변차로제 시행효과를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왕복 6차로 구간의 경우 현재 가변차로제의 설치기준으로 제시된 방향별 교통량비율보다 더 작은 차이에서도 가변차로제 실시 효과의 의미를 부여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파를 이용한 거시적 단속류 시뮬레이션 모형개발 (A Development of Macroscopic Simulation Model for Interrupted Flow using Shockwave)

  • 이호상;정영제;김영찬;김대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1-201
    • /
    • 2008
  • 단속류의 교통시설 운영개선(TSM, Trasportation Systems Management)의 타당성 및 개선효과 분석을 위해 TRANSYT-7F(T7F)와 NETSIM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T7F는 현실적인 차량군의 압축 분산효과가 미흡하고, NETSIM은 구축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용량설정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충격파 모형은 T7F에 비해 차량군의 압축 분산을 더욱 사실적으로 묘사할 수 있으며, NETSIM에 비해서는 분석시간 단축, 적용용이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우수하다. 하지만, 수리적 계산의 어려움으로 인해 비현실적인 교통류관계식(Q-K곡선) 적용, 단순한 차량군 적용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충격파이론을 이용한 기존 분석모형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보다 현실적인 교통류관계식 적용, 새로운 차량군모형 개발, 연장충격파 개념 도입 등 새로운 분석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모형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T7F와 NETSIM과 비교 평가한 결과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차량과 보행자 동시신호최적화모형 개발 연구 (A Signal Optimization Model Integrating Traffic Movements and Pedestrian Crossings)

  • 신언교;김주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31-137
    • /
    • 2004
  • 기존 신호최적화모형에서 횡단시간은 직진신호시간에 대한 최소녹색신호시간으로 분석가에 의해 외부에서 주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실제로 차량이동류들에 대한 신호시간이 교통량/포화교통량 비에 의해 적절하게 배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횡단시간을 차량이동류와 동등한 이동류로 간주하여 이들을 동시에 최적화하는 신호최적화모형을 혼합정수선형계획법(BMILP)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차량 및 보행자 이동류들이 교차로를 상충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선형제약조건들과 목적함수들을 구축하였다. 제시된 모형은 적색시간에 발생되는 주 대기차량과 대기차량이 소거되는 동안에 대기차량 후미에서 발생되는 부 대기차량으로 구분하여 이들 에게 발생되는 지체시간의 상대적인 크기를 반영해주는 대기차량을 모형화하고 이를 최소화해 주는 차량 및 보행자를 위한 신호시간을 산정해주게 된다. 횡단시간과 접근로에서의 횡단보도 수 에 따라 구분된 시나리오들에 대한 모형 적용 결과 기존 TRANSYT-7F 보다 신호주기에 대한 비율이 작으면서도 큰 횡단시간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결과 TRANSYT-7F 적용시보다 지체시간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횡단시간이 클수록 그 감소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간선도로 신호연동화 효율의 평가를 위한 지체도 모형의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f Delay Model of Traffic Signal Progression Evaluation on Arterial)

  • 김영찬;황연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139
    • /
    • 1999
  • 신호 교차로의 지체도에 미치는 가장 큰 영향요소중의 하나는 신호연동인데 신호연동지체도 예측모형으로서 T7RANSTY-7F모형과 NETSIM모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는 컴퓨터 프로그래밍기법을 이용해야 하는 복잡함과 실행과정이 쉽지않다. 본 연구는 연동지체의 산정을 도로용량편람의 사용예처럼 간편하면서 시뮬레이션모형과 유사한 결과를 갖는 모형을 연구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연구의 범위는 차량군을 대상으로한 거시적모형이며 신호교차로 연동지체를 평가하는 해석적 모형이다. 그리고 정상류상태(v/c<1)를 대상으로 하면서 차량군지체만을 산정하는 모형이다. 본 연구방법은 차량군도착으로 형성되는 누적교통량·시간함수에 의한 지체도산정을 적분법으로서 두 개의 도착유형으로 구분하여 산출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로는 제안모형내에 차량군 연속진행의 도착패턴을 직접적으로 반영하였고 현실 특성에 부합된 차량군형태를 구성하였다. TRANSTY-7F모형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수계산으로도 적용할 수 있고 기존의 해석적 모형이 결여된 경우에 대한 지체도예측도 가능하였다.

  • PDF

교통시설 재해방지를 위한 신호체계 연동화에 관한 연구 - 광주시 동문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ignal Progression System for the Disaster Prevention of Traffic Facilities - A case study of Dong Moon Ro in Kwangju City -)

  • 황의진;류지협;임익현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59-67
    • /
    • 2008
  • 도시 도로상에서 교통재해를 일으키는 가장 큰 시설중 하나는 교차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호연동화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되는 광주시 동문로의 일부구간, 서방삼거리에서 무등 도서관을 사례지구로 선정하여 기시설되어 있는 시설들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도시교통신호체계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교통류 흐름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신호체계의 최적화 모형인 TRANSYT-7F모형을 이용하여 연동화 Simulation을 하였다. 그 결과, 신호주기의 변화에 따른 교통류 특성을 분석해 보면, P.I.지수, 지체도, 연료소비량의 변화는 최적신호주기를 중심으로 하여 신호주기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정지율은 최적신호주기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호주기를 연동화 하였을 경우 시간당 평균속도는 11.39Km의 향상을 가져와 개선되었고, P.I.값은 40.65%가 감소하여 교통류의 흐름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전체지연시간은 42.86%가 감소되었고, 시간당 연료소비량은 31.04%가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