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Warrant Rearrangement Using Efficiency Analysis of Reversible Lane

가변차로제 효율성분석을 통한 설치기준 재설정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4.02.28

Abstract

To solve the urban traffic congestion problem, Seoul and other major cities have operated the reversible lanes as Transportation Systems Manage-ment(TSM) method since 1981.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reversible lan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and the reversible lanes have been implemented based on the experiential warrants rather than the study-based warrants. In this Paper the effect of reversible lanes operation has been analyzed by using the average delay and the fuel consumption. Four factors such as in and out flow of directional v/c, the ratio of directional volume, the number of reversible lanes and left-turn treatment(prohibition of LTs or protected LTs) were used to estimate the implementation effect of reversible lane operation by using TRANSYT-7F simulation package. In the case of six-lane urban arterial, the lower ratio of directional volume was found to warrant the reversible lanes when the simulation-based method was applied compared with the current experiential warrants.

국내에서는 복잡하고 심각해진 도시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1981년부터 교통체계관리 기법 중 가변차로제를 도입하여 현재 서울을 비롯한 주요 도시에서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가변차로제 시행에 따른 운영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고, 적용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경험치를 따른 설치기준을 이용하여 가변차로제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서울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가변차로 구간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가변차로 수행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 그 시행의 효율성을 높기 위한 방안으로서, 국내의 교통여건에 부합하는 가변차로제의 설치기준을 재설정 하였다. 가변차로제 시행 효과 분석을 위한 효과측정기준으로 평균지체와 연료소모량을 선정하였다. TRANSYT-7F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가변차로로 유입 유출되는 v/c별 교통량과 방향별 교통량비율, 그리고 기하구조측면으로 가변차로수와 가변차로 구간 내에서의 좌회전의 허용여부 이 네 가지 영향요소의 변화에 따른 각각의 상황별 가변차로제 시행효과를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왕복 6차로 구간의 경우 현재 가변차로제의 설치기준으로 제시된 방향별 교통량비율보다 더 작은 차이에서도 가변차로제 실시 효과의 의미를 부여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교통학회(1992), 도로용량편람
  2. 도로교통안전협회(1985), 가변차선제 효율성에 관한 평가연구
  3. 도로교통안전협회(1991), 인천직할시 가변차선제 실시 타당성조사 및 실시설계
  4. 도철웅(1986), 'TSM전략과 효율측정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4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3-11
  5. 도철웅(1986), 교통공학원론(상), 청문각
  6. 서울시 지방경찰청(1994), 도로교통 운영관리
  7. 서울시 지방경찰청(1997), 서울시 가변신호 관제시스템 설계보고서
  8. 서채연외 3인(1990), 'TSM 사업의 효율측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논문집, 제35집
  9. 이환승(1994), 가변차선제 사례분석, 월간 교통안전, 통권 제143호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3), 도로교통 운영개선 실무서
  11. 황상호.박완용(1990), '가변차선구간의 교통특성에 관한 연구', 교통안전연구논집, 제9권
  12. 대한교통학회(2001), 도로용량편람
  13. TRB(1998), Highway Capacity Manual
  14. The Texas A & M Univ(1998), System, Transportation Systems Management
  15. Univ. of Florida(1991), TRANSYT-7F Users Guide, U.S DOT
  16. William R. Mcshane(1990). Roger P Roess, Traffic Engineering, Prentice Hall